•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 containing gel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7초

청소년 교정환자들의 치은염 및 치아탈회 조절을 위해 사용한 겔형 불화주석($SnF_2$ gel)의 장기간 평가 (LONG-TERM EVALUATION OF A $SnF_2$ GEL FOR CONTROL OF GINGIVITIS AND DECALCIFICATION IN ADOLESCENT ORTHODONTIC PATIENTS)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5-245
    • /
    • 1995
  • 이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교정환자들의 치은염과 치아탈회를 조절하기위해 사용된 수종의 화학요법들에 관해 최근에 보고된 2개의 연구를 재검토하기 위함이다. 첫번째 연구(치은염 연구)는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기존의 칫솔법에 매일 2회 유효 주석 이온이 $90\%$이상 함유된 $0.4\%$의 겔형 불화주석($SnF_2$ gel)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와 기존의 칫솔법만을 사용하는 것 중 치태침착과 치은염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두번째 연구(치아탈회 연구)는 교정환자들을 대상으로 II00ppm의 불소가 함유된 치약만을 사용할 때와 이와 똑같은 치약과 $0.05\%$ 불화나트륨 양치액(NaF rinse)을 병용하여 양치하거나 이 치 약과 함께 $0.4\%$ 겔형의 불화주석을 사용할 때 치아탈회의 조절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치은염 연구에서는 모든 치아를 고정성 장치로 계속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교정환자 65명을 연령과 성별에 따라 두 군으로 지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치아탈회 연구에서도 30명을 추가(총 95명)하여 제 3군으로 지정하였다. 제1군(대조군, 35명)은 단지 표준화 불소(1100 ppm 불소) 치약만 사용하였다. 제 2군은 1 군과 같은 치약에 겔형의 $0.4\%$ 불화주석이 함유된 치약을(겔형 불화주석군, 표본수=30) 매일 2회씩 18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제 3군은(단지 치아탈회군만으로 이용) 같은 종류의 치약과 $0.05\%$ 불화나트륨 양치액을 사용하였다(불화나트륨 양치군, 표본수=30). 치태침착의 임상평가는 Plaque Index로, 치은의 염증은 Gingival Index로, 치관의 착색은 단일맹검(single-blind)으로,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기 전과 장착한 후 1, 3, 6, 9, 12, 18 개월마다 실시하였다. 치아탈회의 임상평가는 맹출한 모든치아의 순측면에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기 전과 장치 제거 3개월 후에 단일맹검으로 실시하였다. 치은염 연구에서 겔형 불화주석군($SnF_2$ gel group)이 대조군에 비해 교정치료 기간동안 시행한 모든 검사에서 Plaque Index(p<0.01)와 Gingival Index(p<0.001)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겔형 불화주석군에서 한 증례는 미미한 치관착색을, 두 증례는 보통정도의 치관착색을 보였다. 치아탈회 연구에서는 겔형 불화주석군과 불화나트륨 양치액군이 치료후 치아탈회값에서 치료전 치아탈회값을 뺀 치아탈회값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전체및 제1대구치에서 현저하게 낮은 값(p<0.05)을 보였다. 비록 겔형 불화주석군이 불화나트륨 양치액군보다 일관되게 낮은 치아탈회값을 보였을지라도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단지 유의성을 보이는 정도였다.

  • PDF

Influence of pain-relieving therapies on inflammation an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neuropeptides after dental bleaching treatment

  • da Silva, Livia Maria Alves Valentim;Cintra, Luciano Tavares Angelo;de Oliveira Gallinari, Marjorie;Benetti, Francine;Rahal, Vanessa;Ervolino, Edilson;de Alcantara, Sibele;Briso, Andre Luiz Frag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2호
    • /
    • pp.20.1-20.14
    • /
    • 2020
  • Objectives: To minimize the tooth sensitivity caused by in-office bleaching, many dentists us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topical desensitizing gels containing potassium nitrate and sodium fluorid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se substances on inflammation and the expression of substance 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in pulp nerve fiber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two r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s follows: GI, control; GII, only dental bleaching; GIII, only ibuprofen; GIV, ibuprofen administered 3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bleaching treatment and every 12 hours until the analysis; GV, only topical application of a desensitizing agent; and GVI, topical application of a desensitizing agent before dental bleaching. Placebo gel was applied to the upper left jaw and the bleaching agent was applied to the upper right jaw in all groups. Subsequently,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based on the time of analysis: 0, 24, and 48 hours after bleaching (n = 8). The rats were euthanized and the maxillae were processed and evaluated by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followed by the Dunn test (p < 0.05). Results: In the bleaching groups,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expression of neuropeptides decreased over time. The animals in which a desensitizing agent was applied showed better results within 24 hours. Conclusions: The use of a desensitizing agent had positive effects on inflammation and pain-related neuropeptide expression, minimizing the painful effects of dental bleaching treatment.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Organic Solvent-Stable and Detergent-Compatible Thermostable Alkaline Protease from Geo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KF4

  • Suleiman D Allison;Nur AdeelaYasid;Fairolniza Mohd Shariff; Nor'Aini Abdul Rahm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436-456
    • /
    • 2024
  • Several thermostable proteases have been identified, yet only a handful have undergone the processes of cloning,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and full exploitation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Our primary aim in this study was to clone a thermostable alkaline protease from a thermophilic bacterium and assess its potential for use in various industries. The research involved the amplification of the SpSKF4 protease gene, a thermostable alkaline serine protease obtained from the Geobacillus thermoglucosidasius SKF4 bacterium through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urified recombinant SpSKF4 protease was characterized, followed by evaluation of its possible industrial applications. The analysis of the gene sequence revealed an open reading frame (ORF) consisting of 1,206 bp, coding for a protein containing 401 amino acids. The cloned gen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measured at 28 kDa using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he partially purified enzyme has its highest activity at a pH of 10 and a temperature of 80℃. In addition, the enzyme showed a half-life of 15 h at 80℃, and there was a 60% increase in its activity at 10 mM Ca2+ concentration. The activity of the protease was completely inhibited (100%) by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however, the addition of sodium dodecyl sulfate (SDS) resulted in a 20% increase in activity. The enzyme was also stable in various organic solvents and in certain commercial detergents. Furthermore, the enzyme exhibited strong potential for industrial use, particularly as a detergent additive and for facilitating the recovery of silver from X-ray film.

동양배(신고(新高)) Protease의 정제(精製) 및 성질(性質)에 관(關)하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iental Pear(Niitaka, Pyrus pyrifolia Nak.) Protease)

  • 김성열;정해정;김승겸;신철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5-238
    • /
    • 1989
  • 동양배(신고(新高))에서 protease를 추출(抽出), 정제(精製)하여 그의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의 protease는 배의 과육(果肉)-정량(定量)과 5mM의 cysteine, 40mM 2-mercaptoethanol 및 2mM의 EDTA를 함유(含有)하는 0.1M-sodium phosphate buffer(pH6.5)0.7배량(倍量)(v/w)을 homogenizer에 넣고 10,000rpm으로 5분간(分間) 추출(抽出)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상기(上記) 방법(方法)에 의(依)해서 파쇄(破碎)한 것을 cheese cloth로 여과(濾過)하여 10,000g로 20분간(分間) 원심분리(遠心分離)하여 얻어지는 상징액(上澄液) 조효소액(粗酵素液)으로 하여 유안(硫安) 분획(分劃), Sephadex G-100 filtration 및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으로 단일(單一)한 효소단백질(酵素蛋白質)을 얻었다. 3. 정제효소(精製酵素)의 비활성(比活性)은 10.78배(倍) 증가(增加)하였고, 활성수율(活性收率)은 722%에 달(達)하였다. 4. 정제효소(精製酵素)의 분자량(分子量)은 SDS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하여 측정(測定)하였을 때 51,000이었으며, Km값은 $54.5mg/m{\ell}$이었다. 5. 본(本) 효소(酵素)의 작용(作用) 최적(最適) pH는 6.0이었고, pH5.5~6.5에서 안정(安定)하였으며, 작용(作用) 최적(最適) 온도는 $50^{\circ}C$이고, $50^{\circ}C$ 이하(以下)에서 안정(安定)하였다. 6. 본(本) 효소(酵素)는 casein을 가장 잘 분해(分解)하였고 hemoglobin 분해력(分解力)은 casein분해력(分解力)의 55%에 달(達)하였으며, elastin분해력(分解力)은 극(極)히 미약(微弱)하였다. 7. 본(本) 효소(酵素)는 p-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依)해서는 강(强)한 저해(沮害)를 받았고, $HgCl_2$, $MnSO_4$에 의(依)해서도 저해(沮害)를 받았으나 cysteine등(等)의 각종(各種) 환원제(還元劑), EDTA,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및 N-tosyl-L-phenylalanine chloromethyl ketone에 의(依)해서는 저해(沮害)를 받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