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 compound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초

흰쥐 절치의 법랑질형성과 법랑모세포 변환주기에 불소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Fluoride Exposure on the Stages of Amelogenesis and Ameloblast Modulation in Rat Incisors)

  • 정문진;정순정;최백동;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6
    • /
    • 2008
  • 태아형성 시기에 투여된 불소가 법랑모세포의 법랑질형성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생후 11일 된 흰쥐의 하악 절치를 대상으로 대조군과 두 그룹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결과, 흰쥐태아 치아기의 조직학적 구성은 전분비대, 분비대 및 성숙대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성숙대에서는 법랑질에서 물과 유기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평탄끝 법랑모세포(smooth-ended ameloblast)와 무기이온을 추가로 공급하는 주름끝 법랑모세포(ruffle-ended ameloblast)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조직학적 구성은 흰쥐태아에서도 성체에서 관찰되는 구조들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법랑모세포의 전환주기를 알아보기 위한 형광물질(calcein)을 이용한 검사결과, 전환주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평균 1회가 감소되었는데 불소농도가 증가할수록 평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시상총길이에 대한 주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 비율보다 평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 비율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치아의 총길이에 있어서 100 ppm 불소투여군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200 ppm 불소투여군에서는 다소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험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와 주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가 절단연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향을 띄었고 성숙대의 길이도 절단연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불소투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환주기가 감소되고 이것은 치아의 총길이도 감소하게 되어, 결국 치아성장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 PDF

불소도포 및 지각과민처치제 적용 후 상아세관 폐쇄효과와 지속력 평가 (Occluding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Fluoride Compounds and Desensitizers on Dentinal Tubules)

  • 이예진;정문진;안용순;천수경;정순정;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2-283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병 의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소화합물과 지각과민처치제의 상아세관 폐쇄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전동칫솔질을 시행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유효성분의 지속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지 3개월 이내의 우식이나 수복, 보철물이 없는 건전한 사람의 대구치 35개를 선택하여 4등분하였고 이 중 135개의 시편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들 시편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과 5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였고, 실험군은 산성불화인산염, 불소바니쉬, Gluma, Super Seal, SE-Bond를 선정하여 대상치아에 도포하였다. 이후 1주(140회), 2주(280회), 4주(560회)에 해당하는 전동칫솔질을 시행하였고, 각 시편별 3부위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상아세관 폐쇄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동칫솔질 시행 1주, 2주, 4주에서 모두 불소바니쉬 도포군의 상아세관 폐쇄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SE-Bond 도포군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Gluma 도포군은 다른 실험군에 비해 가장 낮은 상아세관 폐쇄도를 나타냈으며, 칫솔질 시행 4주에서는 Gluma 도포군과 Super Seal 도포군이 다른 실험군에 비해 낮은 상아세관 폐쇄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처치 4주 후에도 불소바니쉬와 SE-Bond는 다른 실험군에 비해 상아세관 폐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지각과민 치료 시 불소바니쉬와 SE-Bond의 사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Practical Synthesis of 1,1-Difluoro- or 1-Fluoroalkenes from 2,2,2-Trifluoroacetophenone Derivatives

  • Kang, Min-Hyuk;Lee, Sun-Ah;Kang, Na-Na;Moon, Bong-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spc8호
    • /
    • pp.3022-3030
    • /
    • 2011
  • Since the discovery of the fact that compounds bearing a vinylic fluoride moiety often exhibit remarkabl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enzyme inhibitors, many synthetic methods for fluorine-substituted vinylic compounds have been developed. The synthesis of selectively fluorinated building blocks, such as arylsubstituted fluoro-alkenes, also has become an area of interest in recent years. Herein we describe a novel and practical method for the synthesis of 1,1-difluoro- and 1-fluoroalkenes starting from easily accessible trifluoroacetophenone derivatives. Various 1,1-difluoro- and 1-fluoroalkenes were prepared by the reaction of the corresponding tosyl hydrazones that were derived from trifluoroacetophenone derivatives by treating with alkyl or aryllithium reagents via addition-elimination and single electron transfer (SET) mechanism.

1,3-Dioxolan-2-yliden 유도체들의 합성과 항진균 활성 (Synthesis of 1,3-Dioxolan-2-yliden Derivative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ies)

  • 김영섭;김우정;김범태;박노균;박창식
    • 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66-571
    • /
    • 1999
  • (1H-1,2,4-Triazolyl) methy-4-(sub). phenyl-5-methyl-1,3-dioxolan-2-yliden (3)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es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ies. The designed compounds with a 1,2,4-triazolylmethyl group at the 4-position of 1,3-dioxolan-2-yliden moiety were synthesized by reaction of difluorinated olefins(2) with (2R, 3R)-2-(2,4-dihalophenyl)-1-(1H-1,2,4-triazol-l-yl) butane-2,3-diol (1). These compounds were tested for in vitro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16 fungi species. The MIC values were determined by the micro broth dilution method. In general, 1,3-dioxolan-2-yliden derivatives showed antifungal activities in vitro. Among them, (4R, 5R)-4-(2,4-difluorophenyl)-5-methyl-2-[1-(3,4-methylenedioxypheny)meth-ylidene)-1,3-dioxolon-4-yl(1H-1,2,4-triazollyl)methane showed superior antifungal activities to fluconazol and ketoconazol.

  • PDF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생존율에 미치는 tributyltin (TBT)과 triphenyltin (TPT)의 독성 (Toxicity of TBT and TPT Compounds on the Survival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 전중균;이미희;이지선;이경선;심원준;신영범;이수형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158-163
    • /
    • 2003
  • 유기주석화합물은 독성이 강하고 잔존력이 감하여 수계환경으로 유입되면 해양생태계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친다 이들 화합물이 해양생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어류나 패류 등의 산업적 가치가 큰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지 않지만, 해양생태계에서 먹이사슬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생산을 담당하는 플랑크톤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BT류의 TBTC, TBTO, TBTA, TBTB를 비롯하여 TPT류의 TPTC, TPTF, TPTH가 기수산 rotifer의 생존에 미치는 독성(96 hr-LC$_{50}$)을 조사.비교하였다. 그 결과, TBT류에서는 TBTA(1.1 ppb)가 가장 강하였고 TBTC (2.0), TBTB (3.3), TBTO (5.6)의 순이었으며, TPT류에서는 TPTF (1.0), TPTC (1.1), TPTH(1.6)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TPT류가 전반적으로 TBT류에 비해 독성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다.

Performance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PVDF/PVP and PSf membranes in MBR: A comparative study

  • Hazrati, Hossein;Karimi, Naser;Jafarzadeh, Yoones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1권2호
    • /
    • pp.159-166
    • /
    • 2020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polysulfone (PSf) and polyvinylidene fluoride/polyvinylpyrrolidone (PVDF/PVP) membranes in a membrane bioreactor (MBR) were investigated. The membranes were prepared via phase inversion method, and then characterized by a set of analyses including contact angle, porosity and water flux and applied in a lab-scale MBR system. Soluble microbial product (SMP),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 FTIR, gel permission chromatography (GPC)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analyses were also carried out for MBR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BR with PSf membrane had higher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which resulted in formation of larger flocs in MBR. However, in this MBR had high compressibility coefficient of cake layer was higher (n=0.91) compared to MBR with PVDF/PVP membrane (n=0.8); hence, the fouling was more profound. GPC analysis revealed that compounds with molecular weight lower than 2 kDa are more formed on PSf membrane more than PVDF/PVP membrane. The results of FTIR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polysaccharide and protein compounds on the cake layer of both membranes which was in good agreement with EPS analysi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concentration was higher for the cake on PSf membrane.

탄소나노튜브(CNT)-PVDF 막을 이용한 자연용존유기물 제거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by Carbon Nanotubes Modified PVDF Membrane)

  • 조현희;차민환;박재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8-156
    • /
    • 2012
  • In this research, the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s (CNTs) modified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was tested as a simply and beginning attempt to overcome membrane fouling because CNTs importantly affect the transport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Suwannee River fulvic acid (SRFA) as the representative of NOM was selected and its sorption results with single-walled CNT (SWCNT), multi-walled CNT (MWCNT), and oxidized MWCNT (O-MWCNT) were obtained through the batch experiment. SRFA sorption isotherms had a strong nonlinearity and its sorption capacity followed the order O-MWCNT < MWCNT < SWCNT. The adsorbed mass of SRFA on each CNT decreased as a function of pH due to their charge repulsion. For the CNT-PVDF membrane filtration experiments, the suspended CNT solution (10 mg/40 mL) was incorporated into $0.45{\mu}m$-PVDF membrane and 5 mg/L of SRFA solution was monitored using UV detector connected with high pressure pump after passing through CNT-PVDF membrane. The SRFA removal efficiency by MWCNT-PVDF membrane was the strongest among other modified membranes. This suggests that the CNT modified microfiltration (MF) membrane might effectively and selectively apply to treat the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organic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NOM.

Pt 박막의 SF$_6$/Ar과 C1$_2$/Ar 플라즈마 가스와의 표면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urface Reaction of Pt Thin Film with SF$_6$/Ar and Cl$_2$/Ar Plasma Gases)

  • 김상훈;주섭열;안진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3-67
    • /
    • 2001
  • 최근가지 Pt박막의 식각은 Cl 계열의 가스에 의한 물리적인 스퍼터링 기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F 계열의 가스에 의한 식각 특성은 상당히 미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플라즈마 식각 장비를 이용하여 $Cl_2$/Ar 가스와 $SF_{6}$/Ar 가스를 사용하여 Pt 박막의 식각 특성을 연구하였고, $SF_{6}$/Ar 가스의 경우 Pt 박막과 반응하여 휘발성의 식각 부산물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휘발성있는 platinum fluoride 화합물의 형성에 의해 식각률, 식각 측면형상과 표면 거칠기 특성개선도 얻을 수 있었다.

  • PDF

Methanesulfonyl Chloride의 전해불소화 반응 중 유해가스의 생성 및 제어 (Properties and Controls of hazardous gases from Electrochemical fluorination of Methanesulfonyl chloride)

  • 태범석;이종일;박영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6-136
    • /
    • 1996
  • Synthesis of perfluoromethanesulfonyl fluoride(PFMSF) which is a valuable precursor of perfluoro-chemicals such as surface modifier and fine chemicals was studied by electrochemical fluorination (ECF). In order to determine the termination of preelectrolysis, it was carried to monitor the variation of current during preelectrolysis by means of constant cell voltage operation. In a batch cell, chronopotentiometric electrolysis and various chemical analysis such as GC, GC/MS and If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otential change of electrode and synthesis and control of hazardous gases products. Termination of preelectrolysis was determinated by measurement the current and/or detection of $F_2$ gas generation. And during the preelectrolysis, an amount of generated $OF_2$ was shown that a lot of moisture was absorbed from air when a cell was filled with anhydrous hydrogen fluoride( AHF ). Above 4V cell voltage, $F_2$ gas was generated and acted on any form of fluorinating agents. In the ECF of MSC (methane sulfonyl chloride) by constant current operation, the potential of anode was intimately relation with generation of $SO_2F_2$. Exchange of Cl to F was dominatly occured in a initial stage. There were various gaseous products including PFMSF as main product and $C_4$ compounds.

  • PDF

Silver diamine fluoride가 타액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on Salivary Biofilm)

  • 서미경;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6-415
    • /
    • 2020
  • Silver diamine fluoride(SDF)는 우식의 정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약제로, 협조가 힘든 환자나 의과적인 문제로 치료를 받기 힘든 경우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타액 생물막을 이용하여 SDF 의 항미생물효과를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타액을 이용하여 획득피막 유사 구조를 형성한 후, 타액과 Streptococcus mutans를 첨가하여 우식원성의 타액 생물막을 형성하였다. 타액 생물막에 SDF 를 처리한 결과, 전체 미생물과 S. mutans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0). CLSM에서도 생물막 내 죽은 세포가 증가하였다.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 시편에 SDF를 처리한 후 우식원성의 생물막을 배양한 결과, SDF 를 처리할 경우 생물막 형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29). 연구 결과 SDF의 뛰어난 항미생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한 임상에서의 항우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