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idic Vector Control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디스크형 유체역학적 방향제어 시스템 성능해석 및 설계 인자 민감도 분석 (Performance and Sensitivity Analysis of Disk-type Fluidic Control System)

  • 조민경;한두희;성홍계;최현영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3-110
    • /
    • 2016
  • 유동 제어 시스템에 적용을 위한 디스크형 유체 소자 밸브의 성능해석 알고리즘을 수립하고 설계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유입 유량 발생에 따른 챔버의 압력 변화와 디스크 거동 변화를 예측 하였고 설계 변수들의 민감도 분석을 위해 Scattering plot 기법을 활용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유동 마하수에 가장 큰 민감도는 갖는 변수는 노즐 출구이며 밸브 응답 시간과 노즐 출구 모두에서 큰 민감도를 갖는 변수는 유입 유량임을 확인하였다.

Study on the Fluidic Thrust Vector Control Using Co-Flow Concept

  • Wu, Kexin;Jin, Yingzi;Kim, Heuy Dong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75-678
    • /
    • 2017
  • In the present, various methods have been employed to obtain the lesser thrust loss.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for optimizing the thrust vector control system. Thrust vector control based on coflowing shear layer is an effective method to control the primary jet direction in the absence of moving parts. Thrust vector in symmetric nozzles is acquired by secondary flow injections that result to boundary layer separation. The pressure in secondary flow inlet was varied to check the deflection angle of jet flow.

  • PDF

Counterflow 개념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에 관한 실험적 및 수치해석적 연구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ies of the Fluidic Thrust Vector Control Using a Counterflow Concept)

  • 임채민;이권희;김희동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37-1642
    • /
    • 2004
  •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thrust vectoring method using a counterflow concept. A shadowgraph method was used to visualize the supersonic jet expanded from a two-dimensional convergent-divergent nozzle and deflected by a now suction. The primary nozzle pressure and suction nozzle pressure ratios are varied between 3.0 and 5.0, and between 0.2 and 1.0 respectively. The present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results showed that, for a given primary nozzle pressure ratio, a decrease in the suction nozzle pressure ratio produced an increased thrust vector angle, and during the change processes of the suction pressure, a hysteresis effect of the thrust vectoring was found through the wall pressure distributions.

  • PDF

2차 순유동과 역유동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hrust Vectoring Control Using Secondary Co- and Counter-Streams)

  • 임채민;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3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2
    • /
    • 2004
  • 최근에 유체적 순유동과 역유동 개념을 이용한 추력 벡터법은 추진 비행체의 조종성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꼬리날개로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유체적 추력벡터 제어법은 유동장이 충격파와 경계층의 상호작용, 박리, 강한 비정상성 등과 같은 매우 복잡한 물리현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행체의 설계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유체적 순유동과 역유동 개념을 이용한 효율적인 추력벡터 제어법을 얻기 위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미비한 실정이며 실제적용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체적 순유동과 역유동 개념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법의 제어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주어진 압력비에 대해, 추력편향각은 주제트의 5퍼센트 미만의 임의 흡입유량에서 최대 값을 가진다. 보다 긴 collar를 적용하는 경우, 같은 편향각은 보다 작은 흡입유량으로 가능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Trust Vector Control Using Counterflow Concept

  • C. M. Lim;Kim, H. D.;Lee, K. H.;T. Setoguchi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2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2-197
    • /
    • 2004
  • Recently, fluidic thrust vectoring methods have been preferably employ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propulsive systems due to relatively simpler design and lower cost than mechanical thrust vectoring methods. For An application of the thrust vectoring to flight bod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very complicated exhaust flows which are often subject to shock waves and boundary layer separation. But researches for the thrust vector control using counterflow have been few.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personic jets controlled by a thrust vectoring method using counterflow. The primary jet is expanded through a two-dimensional primary nozzle shrouded by collars, and is deflected by the suction of the air near nozzle into an upper slot placed between the primary nozzle and the upper collar. A shadowgraph method is used to visualize the supersonic jet flowfields. Primary nozzle pressure ratios and suction nozzle pressure ratios are varied from 3.0 to 5.0, and from 0.2 to 1.0 respectively. Th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for a given primary nozzle pressure ratio, a decrease in the suction nozzle pressure ratio produced an increased thrust vector angle. As the suction nozzle pressure ratios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the hysteresis of the thrust vectoring was observed through the wall pressure distributions

  • PDF

UAV용 추력편향 노즐의 정량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Fluidic Thrust Vectoring Nozzle for UAV)

  • 박상훈;이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723-730
    • /
    • 2014
  • 이차유동을 이용한 초음속 동축류 추력편향 제어기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쉴리렌 유동가시화 및 로드셀을 이용한 고정확도의 다분력 시험장치를 통하여 이차원 초음속(마하수 2.0) 유동의 추력편향 특성이 관찰되었다. 추력편향각은 부유동의 압력이 점차 커지면서 일시 감소 후 다시 증가하는 V-자형 추세를 보이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추력편향 유동의 성능을 나타내는 성능계수들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보다 높은 성능지표를 나타내는 본 시스템의 운용조건이 제시되었다.

초음속 노즐 내 2차 분사 slot 개수에 따른 유동 특성 변화 (Effect of Secondary Flow Injection on Flow Charncteristics in 3-Dimensional Supersonic Nozzle)

  • 송지운;이종주;조형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3529-3533
    • /
    • 2007
  • The advantages of the SITVC(secondary injection thrust vector control) technique over mechanical thrust vector systems include a reduction in both the nozzle weight and complexity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mechanical actuators that are used in conventional vectoring. Computational study i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fluidic thrust vectoring control of an axisymmetric nozzle, in which secondary gas injection is made in the divergent section of the nozzle. The nozzle has a design mach number 3. The effect of injection hole number and shape of secondary jet on the mach number distribution of SITVC were investigated. The standard ${\kappa}$ - ${\epsilon}$ turbulence model solved the complex three-dimensional nozzle flows perturbed by the secondary gas jet. The numerical code was validated by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ch number distribution of circular and square nozzle are similar each other. As number of second injection hole increasing, a effect of deflection was decreased.

  • PDF

추력편향 노즐의 정량적 성능특성 관찰을 위한 시험장치 설계 (Design of Test Device for Quantitative Observation of Performances of Thrust-Vectoring Nozzle)

  • 송명준;윤상훈;조용호;이열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4-407
    • /
    • 2011
  • 노즐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차제트의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는 유체역학적 추력편향제어 방법은 초음속 제트의 효율적인 추력편향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다. 그동안 진행된 유동가시화 결과에서 관련 기술의 장단점이 관찰된 바 있으나 그 결과가 정성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차제트의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추력편향제어의 성능특성에 관한 정량적 관찰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한 시험장치 설계, 보정 및 자료획득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 PDF

UAV용 유체역학적 추력편향 노즐의 고 정확도 다분력 시험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High-Accuracy Multi-Component Balance for Fluidic Thrust Vectoring Nozzle of UAV)

  • 송명준;장홍빈;조용호;이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2-149
    • /
    • 2013
  • 추력편향 제어기술은 무인기의 고기동성 확보에 있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축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초음속 사각노즐 유동의 추력편향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분력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엄밀한 보정 및 자세한 자료분석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험장치의 로드셀 상호간섭에 의한 측정오차는 약 5% 미만임이 관찰되었고, 또한 고압 연결튜브에 의한 오차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아울러 개발된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동축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사각노즐의 추력편향 특성에 관한 기초적인 실험결과가 얻어졌다.

동축류의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초음속 제트의 추력편향제어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rust Vectoring of Supersonic Jet Utilizing Co-flowing Coanda Effects)

  • 윤상훈;전동현;허준영;성홍계;이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927-933
    • /
    • 2012
  • 이차원 초음속 코안다 유동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양한 슬롯높이대 코안다 벽의 곡률반경 비 및 표면거칠기, 그리고 제트의 전압 변화에 대하여 충격파 구조 및 이력현상과 같은 코안다 유동의 특성이 유동가시화를 통하여 관찰되었다. 그 결과 초음속 코안다 제트의 이력현상은 코안다 표면거칠기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한 압축성 주제트의 추력편향제어를 위하여 이러한 동축류 코안다 유동이 적용되었고, 이 경우 유체역학적 추력제어의 성능은 코안다 플랩의 곡률반경에 대한 슬롯높이의 비 뿐만 아니라 주제트의 전압에 큰 영향을 받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