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able composite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1초

The effect of individualization of fiberglass posts using bulk-fill resin-based composites on cementation: an in vitro study

  • Lins, Rodrigo Barros Esteves;Cordeiro, Jairo Matozinho;Rangel, Carolina Perez;Antunes, Thiago Bessa Marconato;Martins, Luis Roberto Marconde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4호
    • /
    • pp.37.1-37.10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bond strength of various fiberglass post cementation techniques using different resin-based composites. Materials and Methods: The roots from a total of 100 bovine incisors were randomly assigned to 5 treatment groups: G1, post + Scotchbond Multi-Purpose (SBMP) + RelyX ARC luting agent; G2, relined post (Filtek Z250) + SBMP + RelyX ARC; G3, individualized post (Filtek Z250) + SBMP; G4, individualized post (Filtek Bulk-Fill) + SBMP; G5, individualized post (Filtek Bulk-Fill Flow) + SBMP. The samples were subjected to the push-out (n = 10) and pull-out (n = 10) bond strength tests. Data from the push-out bond strength test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the Bonferroni post hoc test, and data from the pull-out bond strength test were analyzed using 1-way ANOVA. Results: The data for push-out bond strength presented higher values for G2 and G5, mainly in the cervical and middle thirds, and the data from the apical third showed a lower mean push-out bond strength in all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for pull-out bond strength among all groups. The most frequent failure modes observed were adhesive failure between dentine and resin and mixed failure. Conclusions: Fiberglass post cementation using restorative and flowable bulk-fill composites with the individualization technique may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existing methods of post cementation.

강화형 strip crown의 사용 (GLASS FIBER REINFORCED STRIP CROWN IN PRIMARY TEETH)

  • 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13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전치 심미수복의 새로운 방법으로 glass fiber를 이용한 강화형 strip crown의 사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Strip crown의 제작을 위하여 celluloid crown form(3M, USA)과 복합레진은 Z100(P shade, 3M, USA)을, 유동성 복합레진은 Aeliteflo(Bisco Inc., USA)를 사용하였다. 상아질 결합제는 Clearfil SE Bond(Kuraray Medical Inc., Japan)를 사용하였고 강화를 위하여 그물형 glass fiber(TESCERA Fiber Mesh, Bisco Inc, USA)를 사용하였다. 적절한 크기의 celluloid crown form을 성형하여 삭제된 치아에 시적한 후 레진 접착제와 유동성 복합레진으로 처리한 그물형 glass fiber를 설측 내면에 삽입하고 광중합하였다. 잔여 공간에 복합레진을 채우고 치아에 끼운 다음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의 심미성은 유지하면서 glass fiber로부터 기계적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새로운 강화형 strip crown의 물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쐐기 형태의 5급와동에서 수복재료에 따른 변연 미세누출의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LEAKAGE OF WEDGE-SHAPED CLASS V CAVITY ACCORDING TO RESTORATIVE MATERIALS)

  • 장현주;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1호
    • /
    • pp.56-6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restorative materials on the marginal leakage of wedge-shaped class V cavity. The study was performed in vitro in 25 defect-free permanent, extracted teeth. Wedge-shaped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and then the teeth were randomly selected and resto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Group A : restoration with Tetric Ceram(composite resin) Group B : restoration with Tetric flow(flowable resin) Group C : restoration with Compoglass after acid etching(compomer) Group D : restoration with Compoglass(compomer) Group E : restoration with Fuji II LC improved(resin-modified GIC) After thermocycling,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5% basic fuchsin solution for 6 hours and section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was measured as the extent of dye penetration under the stereomicroscope.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one-way ANOVA.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multiple comparisons were made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cclusal margins of all groups except for Fuji II LC improved showed lesser leakage than gingival margin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2. At the occlusal margins, group A, B showed same marginal leakage scores, and others were decreased as group C, D, E in that or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 Band group D, E, group C and group E(p<0.05). 3. At the gingival margins, group B, C showed same marginal leakage scores, and others were decreased as group A, D, E in that order.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B, C and group E(p<0.05). 4. In the Compoglass restoration, acid-etching technique was beneficial for marginal sealing ability at all of margi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restorations for wedge-shaped class V cavities, resin restoration with acid etching technique is recommended.

  • PDF

pH 순환 모형을 이용하여 15% 과산화요소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심미수복재의 색, 미세경도 및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oth bleaching agent contained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color,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by using pH cycling model)

  • 박소영;송민지;전수영;김선영;심연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1-360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 contained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color,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by using pH cycling model. Methods : Four type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including a composite resin(Filtek Z350 ; Z350), a flowable composite resin(Filtek P60 : P60), a compomer(Dyract$^{(R)}$ AP ; DY), and a glass-ionomer cement(KetacTM Molar Easymix ; KM). were used in the study. Eighty-eight specimens of each material were fabricate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n=44): experimental group(15% carbamide peroxide) and control group(distilled water). These group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subgroups(n=11). All groups were bleached 4 hours per day for 14 days using pH cycling model. The authors measured the color, microhardness, and roughness of the specimens before and after bleach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T-test. Results : Z350 and P60 showed a slight color change(${\Delta}E^*$), whereas DY and KM showed significantly color change(p<0.05). Among them, the greatest color change was observed in DY. Percentage microhardness loss(PML) of the distilled water group was 1.8 to 5.1%, and 15% peroxide peroxide group was 5.0 to 25.2%. Microhardness of DY and K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p<0.05). Roughness was increased in all groups after bleaching. Z350 and P60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however DY and KM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e 0.2 ${\mu}m$(p<0.05). Conclusions : The effects of bleaching on restorative materials were material depend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the material before starting the treatment.

섬유 강화 컴포지트의 수리 후 접합 강도 (Bond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after repair)

  • 김민정;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8-197
    • /
    • 2006
  • 교정 치료 시 사용되는 섬유 강화 컴포지트(FRC, fiber reinforced composite)는 구강 내에서 저작압 등의 지속적인 응력과 수분 흡수 등의 이유로 파절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모든 FRC를 제거하지 않고 수리(repair)하는 경우에 적절한 강도를 얻기 위해 첨가해야 할 FRC의 양 및 그 파절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개의 FRC strips를 1, 2, 3, 그리고 4mm 만큼 겹쳐(E1, E2, E3, E4군) 시편을 만드는 방법으로 수리를 재현한 후 light emitting diode 광중합기로 중합하고, 3점 굽힘 실험을 시행하여 겹침 길이와 접합 강도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최대 하중치는 E4군에서 2.67N으로 최대였고, 대조군(2.39N), E3군(2.35N), E2군(2.10N), 그리고 E1군(1.75N)의 순이었다. 강성 역시 최대 하중치와 같이 E4군(2.32 N/mm)에서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나, E3군(2.06N/mm)의 강성이 대조군(1.88N/mm)보다 더 큰 값을 보였다. 겹침 길이가 길수록 완전히 두 조각으로 파절되기 보다 가운데 또는 critical section 에서 굽힘 양상을 보였다. 반면 겹침 길이가 짧은 경우 두 조각으로 부러지는 파절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길이 10 mm인 연결자 형태의 FRC의 수리 시 적절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3 mm의 strips를 겹쳐야 하고, 이 때 주로 나타나는 실패 양상인 굽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결 부위에 바로 인접하여 두께가 급격하게 변하는 critical section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ED 광중합기의 조사 mode가 복합레진의 미세경도 및 수축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RRADIATION MODES ON THE MICROHARDNESS AND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OF COMPOSITE RESIN POLYMERIZED WITH LED CURING UNIT)

  • 박인호;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12-320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LED 광중합기(Elipar Freelight $2^{(R)}$, 3M-ESPE, USA)의 조사 mode에 따른 복합레진($Supreme^{(R)}$, Filtek $Flow^{(R)}$, 3M-ESPE, USA)의 수축응력과 미세경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수축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되었다. 표본은 조사 mode와 충전방법에 따라 6개의 군으로 나누어졌다. A군 : Filtek $Flow^{(R)}$ 이장, $Supreme^{(R)}$ 충전, 10초 광중합, B군 : Filtek $Flow^{(R)}$ 이장 $Supreme^{(R)}$ 충전, 15초 광중합, C군 : Filtek $Flow^{(R)}$ 이장, $Supreme^{(R)}$ 충전, 15초 soft start 광중합, D군 : $Supreme^{(R)}$ 충전, 10초 광중합, E군 : $Supreme^{(R)}$ 충전, 15초 광중합, F군 : $Supreme^{(R)}$ 충전, 15초 soft start광중합. 스트레인 게이지를 아크릴릭 링에 부착하고 strainmeter에 연결한 후 광중합하고 10분 동안 1초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24시간 후에 각각 표본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Soft start curing 했을 때 수축응력이 낮았다(p<0.05). Flowable resin을 이장한 군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2. 10초간 조사한 군은 15초간 조사한 군에 비해 수축응력이 적었다(p<0.05). 3. 미세경도 측정결과 상면과 하면에서 각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p>0.05). 하지만, 하면의 미세경도가 상면에 비해 80%에 이르지 못했다.

  • PDF

교합력이 치경부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influence of occlusal loads on stress distribution of cervical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박찬석;허복;김현철;김광훈;손권;박정길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246-25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사용하여 교합력의 위치와 방향이 상악 제2소구치의 치경부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micro-CT (SkyScan1072; SkyScan, Aartselaar, Belgium)로 스캔한 후 HyperMesh Ver 6.0 (Altair Engineering, Inc., Troy, USA)와 3D-DOCTOR (Able Software Co., Lexington, MA, USA)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쐐기형 와동을 형성하고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혼합형 복합레진과 흐름성 복합레진으로 각각 수복하였다. 수복 후 설측교두의 협측사면 세 위치에 각각 수직, 20도, 40도의 각도로 하중을 가한 후 응력분포를 ANSYS Ver 9.0 (Swanson Analysis Systems. Inc., Houston,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장 응력의 분포를 분석한 바 하중 위치와 관계없이 하중방향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수복재료의 탄성 계수가 높을수록 인장응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교합력의 방향과 수복재료의 탄성계수가 치경부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사료된다.

  • PDF

교합력이 치경부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influence of occlusal loads on stress distribution of cervical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박찬석;허복;김현철;김광훈;손권;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246-25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사용하여 교합력의 위치와 방향이 상악 제2소구치의 치경부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micro-CT (SkyScan1072; SkyScan, Aartselaar, Belgium)로 스캔한 후 HyperMesh Ver 6.0 (Altair Engineering, Inc., Troy, USA)와 3D-DOCTOR (Able Software Co., Lexington, MA, USA)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쐐기형 와동을 형성하고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혼합형 복합레진과 흐름성 복합레진으로 각각 수복하였다. 수복 후 설측교두의 협측사면 세 위치에 각각 수직, 20도, 40도의 각도로 하중을 가한 후 응력분포를 ANSYS Ver. 9.0 (Swanson Analysis Systems. Inc., Houston,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장 응력의 분포를 분석한 바 하중 위치와 관계없이 하중방향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수복재료의 탄성계수가 높을수록 인장응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교합력의 방향과 수복재료의 탄성계수가 치경부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사료된다.

S-PRG filler를 함유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항우식효과 (Microleakage and Anticariogenic Effect of S-PRG Filler-containing Pit and Fissure Sealant)

  • 신승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7-252
    • /
    • 2013
  • 치면열구전색은 생물막의 축적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며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되는 산물질에 화학적 장벽 역할을 한다. 1999년 S-PRG(Surface reaction-type pre-reacted glass ionomer) 필러기술이 개발되었는데 S-PRG 필러는 수분 존재 하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불소유리가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인접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효과를 기존의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건전한 소구치, 대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해 불소를 유리하는 치면열구전색제 Beautisealant$^{(R)}$(Shofu, Japan)를 실험군으로,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R)}$(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누출실험을 위해 실란트 변연 1 mm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손톱광택제를 2회 도포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수세하였다. 항우식효과의 평가는 인공우식용액에 9일간 보관 후 수세 후 시행하였다. 수세한 시편들은 투명레진에 매립 후 현미경 관찰을 위해 절단하였다. 통계분석은 미세노출의 정도는 Chisquare test를, 측정된 우식의 깊이는 Mann-Whitney test를 이용해 두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S-PRG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S-PRG 치면열구전색제는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보다 더 높은 항우식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 치아미백제가 구강내에서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s on Microhardness of Enamel in situ)

  • 박윤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70-476
    • /
    • 2006
  • 본 연구는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통상 home bleaching용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젤이 법랑질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백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 평가하기위하여 시행되었다. 최근에 발거한 사람의 상악 절치 20개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2 mm의 정사각형 치아편을 각 치아에서 3개씩 절단, 채득한 후 교정용 bracket에 고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자원자는 20명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자원자의 치아에 동일 치아에서 제작한 시편이 부착된 bracket을 순면 중앙에 부착하였으며 상악 우측 측절치에 젤을 이용한 군 (Opalescence tooth whitening gel, Ultradent Product Inc, South Jordan, USA), 상악 우측 중절치에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 상악 좌측 중절치에 부착대를 이용한 군 (Claren, LG Household & Health Care, Seoul, Korea)을 부착 시켰다. 젤을 이용한 군은 bracket이 부착된 치아에 맞게 상악 우측 측절치부터 우측 소구치까지를 덮는 mouthguard tray를 제작하여 매일 동일시간에 2시간씩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부착 28일 동안 미백 치료 없이 구강 내에 위치시켰다. 부착대를 이용한 군은 bracket의 시편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악용 Claren을 절단하여 오전, 오후 각각 30분씩 하루 두 번 부착하여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다. 각군 모두 bracket부착 전, 미백 14일 후, 재광화 14일 후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미세경도 변화 양상과 변화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젤 형태의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제의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