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ing Area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6초

효과적인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그린-그레이 인프라 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ed Placement of Green-Gray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Flood Mitigation)

  • 배채영;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75
    • /
    • 2022
  • Urban flood management(UFM) strategy ought to consider the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existing and new infrastructures to manage stormwater and improve the capacity to treat water. It is also important to demonstrate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flood risk at critical locations. Although the general theory of spatial impact is popular, modeling guideline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in real-world plans are still lacking.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a modeling research based on an actual target site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green infrastructure(GI) in the source area and to take structural protection measures in the impact area, as summariz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e hypothesis,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hypothesis depending on which hydrological performance indicators were targe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the risk of flooding in critical locations in terms of spatial planning and regeneration.

새만금간척지 조기노출지역의 담수기간별 제염과 청보리 생육 (Desalinization of Flooding Periods and Growth of Whole Crop Barley as Early Exposure Area in 'Saemangeum' Newly Reclaimed Land)

  • 최원영;송태화;김선;이장희;정재혁;김시주;이경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36-1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에 조성된 신간척지 포장에서 담수와 하작물 재배처리가 제염 및 후작으로 재배한 청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신간척지 포장의 조기제염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1. 담수기간별 하작물 재배후 청보리 입모를 보면 무담수에서 $m^2$당 216개로 입모율 25%, 1개월 담수 43%, 2개월과 3개월 담수 58%, 벼 재배구는 60% 이었다. 2. 토양염농도는 청보리 파종 시에 무담수 처리에서 0.50%로 높았고, 그 외 담수처리에서는 0.2% 이내로 낮았으며, 생육 중기까지는 높아지다가 생육후기에는 파종시의 수준과 비슷하였다. 3. 초장과 간장은 담수기간이 길수록 많았으며, 경수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수량은 무담수에서는 극히 적었으며, 담수기간이 길수록 수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무담수 대비 3개월 담수에서 504%, 벼 재배에서는 536% 증수하였다. 5. 사료가치는 담수 1개월은 단백질함량과 섬유소함량이 낮게 나타났고, 담수 3개월은 벼 재배구와 사료가치 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새로 조성된 간척지(사양토)에서 제염을 목적으로 담수할 경우 3개월 이상 담수하거나 벼를 재배하여 제염을 하고 밭작물(청보리)을 재배하여야 어느 정도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ow Impact Urban Development For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 Lee, Jung-Min;Jin, Kyu-Nam;Sim, Young-Jong;Kim, Hyo-J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4-55
    • /
    • 2015
  • Increase of impervious areas due to expansion of housing area, commercial and business building of urban is resulting in property change of stormwater runoff. Also, rapid urbanization and heavy rain due to climate change lead to urban flood and debris flow damage. In 2010 and 2011, Seoul had experienced shocking flooding damages by heavy rain. All these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applying LID and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as a means of urban hydrologic cycle restoration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such as flooding and so on. Urban development is a cause of expansion of impervious area. It reduces infiltration of rain water and may increase runoff volume from storms. Low Impact Development (LID) methods is to mimic the predevelopment site hydrology by using site design techniques that store, infiltrate, evaporate, detain runoff, and reduction flooding. Use of these techniques helps to reduce off-site runoff and ensure adequate groundwater recharge. The contents of this paper include a hydrologic analysis on a site and an evaluation of flooding reduction effect of LID practice facilities planned on the site. The region of this Case study is LID Rainwater Management Demonstration District in A-new town and P-new town, Korea. LID Practice facilities were designed on the area of rainwater management demonstration district in new town. We performed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about flood discharge. SWMM5 has been developed as a model to analyze the hydrologic impacts of LID facilities. For this study, we used weather data for around 38 years from January 1973 to August 2014 collected from the new town City Observatory near the district. Using the weather data, we performed continuous simulation of urban runoff in order to analyze impacts on the Stream from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ct and the installation of LID facilities. This is a new approach to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end-of-pipe type management system. We suggest that LID should be discussed as a efficient method of urban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control in future land use, sewer and stormwater management planning.

  • PDF

MANET에서 N-hop 사전조사를 이용한 적응적인 플러딩 기법 (An Adaptive Flooding Scheme using N-hop Look-ahead in MANET)

  • 최종혁;오임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2-39
    • /
    • 2006
  • MANET은 기존의 인프라(기지국, AP)를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와는 달리 인프라가 없이 이동 노드만으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다. MANET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이동 노드에서 데이터를 원하는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한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현재 라우팅을 위해 제시된 reactiv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발견 단계 시 네트워크 전체로 경로 탐색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플러딩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노드마다 경로발견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라우팅 오버헤드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에서 N-hop 거리의 이웃노드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생성하여 경로발견을 위한 패킷을 제한된 영역으로 플러딩을 수행하는 최적의 N 값을 제시한다. 기존의 reactiv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각각의 노드들은 기본적으로 노드 이동에 대해 무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경로 변경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논문의 N-hop 거리의 사전조사를 이용한 적응적인 플러딩 기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네트워크 이동의 변화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라우팅 기법이다. 모의실험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의 기법이 reactive 방식의 라우팅 오버헤드를 감소시켜 기존의 플러딩 방법보다 향상된 라우팅 성능을 보여준다.

  • PDF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작동 온도에 따른 공기극 유로 내 플러딩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ding Phenomena of Cathode Flow Path with Operating Temperatures in a PEM Fuel Cell)

  • 김한상;하태훈;민경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6-329
    • /
    • 2005
  •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should be sufficiently hydrated with proper water management to maintain a good ionic conductivity and performance of a PEM fuel cell. However. cathode flooding resulting from excess water can impede the transport of reactants and hence deteriorate the fuel cell performance. For the PEM fuel cell to be commercially viable as vehicle or portable applications, the flooding on the cathode side should be minimized during the fuel cell operation. In this study, visualiz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cathode flooding phenomena on the cathode side of a PEM fuel cell. To this end. a transparent PEM unit fuel cell wi th an act ive area of $25cm^2$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allow for the visualization of cathode channel with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wo-phase flow resulting from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fuel cell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images photographed by CCD camera with cell operating temperatures $(30\~50^{\circ}C)$ were presen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flooding on the cathode side first occurs near the exit of cathode channel. As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fuel cell increases. it was found that liquid water droplets tend to evaporate easily and it can have an influence on lowering the flooding lev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detailed researches on modeling water transport of an operating PEM fuel cell including two-phase flow phenomena.

  • PDF

홍수터 복원을 위한 침수 내성 참나무 수종 선발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 한승주;김혜주;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
    • /
    • 2009
  • 우리나라 하천변 홍수터의 복원수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낙엽성 참나무 주요 6종의 유식물을 일반 토양(대조구)과 뿌리가 잠기는 침수된 토양에서 재배하여 그 생육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생육분석에 사용한 항목은 잎 수, 잎 길이, 잎 폭, 잎 면적, 지상부 길이, 줄기 길이, 줄기 직경, 뿌리 길이, 식물체 길이(뿌리 길이+줄기 길이), 잎 무게, 줄기 무게, 뿌리 무게, 식물체 무게 등 13가지 형질이다. 졸참나무는 관찰한 13가지 모든 형질에서 침수처리구에서도 잘 자라 대조구와 생육 차이가 없었다. 갈참나무는 식물체 길이 만, 떡갈나무는 잎 길이 등 4개 형질에서, 굴참나무는 잎 수 등 6개 형질에서, 상수리나무는 뿌리 길이 등 7개 형질에서, 신갈나무는 잎 수를 제외한 12개의 형질에서 대조구보다 침수 처리구에서 못 자랐다(p<0.05). 전체적으로 볼 때 낙엽성 참나무류의 침수에 대한 내성의 순서는 졸참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 순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참나무류를 하천변의 홍수터 복원 시에는 졸참나무나 갈참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침수 깊이와 위치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based Flood Depth and Location Prediction Model)

  • 강지욱;박종혁;한수희;김경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1-98
    • /
    • 2023
  • 최근 국지성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침수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침수 예측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 러닝 기반으로 강우 데이터를 이용해 침수 깊이와 침수 위치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실시간 강우량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강우 분포 패턴에 강건하게 구성하고 적은 메모리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2가지 데이터 셋(set) 구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valid total 데이터는 침수 위치는 잘 예측했지만, 특정 강우 패턴에 대해 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띠었다. 부분적이지만 침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valid local이라 한다. Valid local은 고정점 방법에 대해서는 잘 학습되었지만, 임의점 방법에 대해서는 침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시간으로 침수 깊이와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되어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운하의 시대가 도래 하는가? (Is It Possible the Period of Kyung-In Canal?)

  • 박상국
    • 기술사
    • /
    • 제42권2호
    • /
    • pp.49-53
    • /
    • 2009
  • The Kyung-In Canal is to protect Gulpo Stream Area from recursive flooding and to relief inland transportation conges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nlarging and extending the Gulpo stream Drainage Canal operated only during rainy season. Kyung-in Canal will serve not only for preventiong flood, but for reducing logistics cost also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PDF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경로 분석 (Flooding Area Estimation and Evacuation Path Analysis)

  • 박종덕;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1
  • 최근 도시지역은 국지성 호우로 인한 범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중량천 수계에 대한 홍수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1m 간격의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하천 정보를 위해 HEC-GeoRAS를 이용하여 Geometry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홍수에 대한 가상시나리오를 홍수량이 100년 빈도일 경우 200년 빈도일 경우, PMF일 경우로 작성하여 침수 취약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구역화하고 대피소까지의 대피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가 밀집된 시가화 지역의 면적 비율이 범람지역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홍수 시 상당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었다. 범람지역에서 대피소까지의 최단거리 대피경로는 평균거리 1,000m로 대피 경보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도식지역의 홍수대피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