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season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1초

객체지향형 수문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한 금강유역 분포형 강우-유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System for the Guem River Basin Using an Object-oriented Hydrological Modeling System)

  • 이기하;타카라 카오루;정관수;김정엽;전자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49-153
    • /
    • 2009
  • Physics-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s are now commonly used in a variety of hydrologic applications such as to estimate flooding, water pollutant transport, sedimentation yield and so on. Moreover, it is not surprising that GIS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hydrologic research since this technology offers abundant information about spatial heterogeneity for both model parameters and input data that control hydrological processe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prediction system for the Guem river basin ($9,835km^2$) using an Object-oriented Hydrological Modeling System (OHyMoS). We developed three types of element modules: Slope Runoff Module (SRM), Channel Routing Module (CRM), and Dam Reservoir Module (DRM) and then incorporated them systemically into a catchment modeling system under the OHyMoS. The study basin delineated by the 250m DEM (resampled from SRTM90) was divided into 14 midsize catchments and 80 sub-catchments where correspond to the WAMIS digital map. Each sub-catchment was represented by rectangular slope and channel components; water flows among these components were simulated by both SRM and CRM. In addition, outflows of two multi-purpose dams: Yongdam and Daechung dams were calculated by DRM reflecting decision makers' opinions. Therefore, the Guem river basin rainfall-runoff modeling system can provide not only each sub-catchment outflow but also dam inand outflow at one hour (or less) time step such that users can obtain comprehensive hydrological information readily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flood control during a flood season.

  • PDF

대청호내 흐름 및 유입 부유사 확산 모델링 (Modeling of Water Circulation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Lake Daecheong)

  • 정태성;황정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7-82
    • /
    • 2003
  • 해양, 하천, 호수 등에서 퇴적물 수송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모형을 수립하였으며, 홍수시 대청호로 유입되는 입자성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유퇴적물 이동-확산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또한, 복잡한 지형을 가진 대청호의 흐름특성을 파악하고, 퇴적물 수송모형의 입력자조로 이용하기 위하여 2차원 흐름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홍수시 모의된 수위변화는 관측결과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평상시는 유속이 5 cm/sec이하였으나, 최대유량이 3,852 CMS에 달하는 홍수시 대청호 유입수로에서 최강유속은 최대 약120 cm/sec까지 증가하였다 대청호로 유입되는 세립질 부유사는 홍수시는 대청댐까지 강한 유속에 의해 도달하나 유속이 약한 평상시에는 대청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대부분 유입수로에 침전하였다 모의결과는 대청호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팔당댐 방류량과 황해(서해) 조석영향에 따른 팔당댐 하류부 수위상승도달시간 예측 (A Study on Water Level Rising Travel Time due to Discharge of Paldang Dam and Tide of Yellow Sea in Downstream Part of Paldang Dam)

  • 이정규;이재홍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1-122
    • /
    • 2010
  • 한강의 잠수교와 둔치는 장마철에 큰 홍수가 발생하면 침수가 되기 때문에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FLDWAV모형을 이용하여 한강하류부의 팔당댐 방류량과 황해(서해) 조석이 한강하류부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구간은 팔당댐 하류부에서 전류지점까지이며, 조석영향을 고려하기위해 하류경계조건인 전류수위는 팔당댐방류량과 인천조위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산정된 예측 전류수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잠수교와 주요 둔치에서 수위상승도달시간을 산정하였고, 팔당댐 방류유형과 황해조석에 따른 수위상승도달시간을 팔당댐 방류량의 함수인 2차다항식으로 나타냈다.

홍수유출율에 관한 수문학적 고찰 (Hydrological Review on the Fload Runoff ratio)

  • 이순혁;음성진;박명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52
    • /
    • 1985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rivate empirical formulas for the runoff: ratio during ilood. season at three watersheds of Dan Yang, Chung Ju, and Yeo Ju are located at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 of Nam Han river basin, respectively. Obtained formulas for flood runoff ratio can be applied as an element for the estimation, peak discharge for the design of various hydraulics structures which can be concidented with meteorological and topographical condition. Th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nalyzed as follows. 1.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runoff ratio depends on the amount of rainfall for all studying basins. 2.Empirical formulas 'for the runoff' ratio were derivated as 1- 2,707 Rt0.345, 1-1.691 Rt0.242 and 1-1.807 Rt0.227 at Dan Yang, Chung Ju and Yeo Ju watershed, respectively. 3.The magnitude of runoff ratio was appeared in the order of Dan Yang, Chung Ju, and Yeo Ju are located at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 of Nam Han rivet basin, respectively. 4.It was assumed that in general the more it rains, the lesser becomes the ratio of loss rainfall. Especially, the ratio of loss rainfall for Dan Yang, upper portion of river basin was shown as the lowest among three watersheds. Besides, the magnitude of that was appeared in the order of Chung Ju and Yeo Ju watershed located at middle, and lower part of river basin, respectively. 5.Relative and standard errors of runoff ratio calculated by empirical formulas were shown to be within ten percent to the observed runoff ratio in all watersheds. 6.It is urgently essential that the effect of antecedent rainfall have an influence on the next coming flood should be studied in near future.

  • PDF

공기압을 이용한 전기설비 침수 방지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for flooding prevention apparatus of electrical equipment using air pressure)

  • 김기현;전현재;이상익;배석명;이재용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1-284
    • /
    • 2008
  • Inundation of substation and ground power equipment breaks out every summer season in low-lying downtown and low-lying shore by localized heavy rain, typhoon and tidal wave. In case inundation excluding the exchanging cost of equipment, it occurs a great economic and social loss owing to recovery time and events of electric shock occur by inundation electrical equipment(Pad-mounted Transformer and Switch). In case of installing the power equipment at flood danger territory, we are necessary to the product development, the product is that water does not come in the inside the power equipment. Product of pressure maintaining are established on the basic frame and sensor operates at the flooding occurrence and is maintained a shutting tightly structure and it is a method. The product which is produce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t confirmed a flooding yes or no from the condition which puts in the water tank and it verified. We estimate that loss cost which is caused by with flooding and the power failure will be diminished if it is addition to advances the reliability evaluation and a security of the flood protection product.

  • PDF

무독성 호안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of Non-toxic Revetment Block)

  • 김상우;구영민;김영도;박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87-99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하천 복원의 자연친화적인 설계를 위한 무독성 호안공법의 수리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공학적 효율 위주의 치수 기능만을 위한 하천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개선을 위한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규 호안공법에 대한 부적절한 수리학적 설계기준이 자주 홍수기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사석 및 블록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하천에서 제방, 하상보호, 세굴방지 등의 목적과 바다에서 호안 또는 방조제의 축조에 따라 투하하는 사석의 안정성에 기초를 둔 연구가 대부분이며 경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고 유속 3.5 m/s인 고속수로를 제작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무독성 접착제를 이용한 블록공법에 대한 다양한 조건의 수리실험을 통해서 수리적 안정성을 위한 호안블록의 한계유속을 구하였다.

인공하도식 어도에서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을 이용한 어류 유입 효율 평가 -피라미를 대상으로- (Assessment of Influx Efficiency at By-Pass Fishway Using Two-Dimensional Physical Habitat Simulation Model -Focused on Zacco Platypus-)

  • 백경오;박지현;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6호
    • /
    • pp.629-64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강정고령보에 설치된 인공하도식 어도의 효율성을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강정고령보 상하류단의 실측 수위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 및 검정하였다. 모의조건은 2012년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을 기준으로 어도 입구 및 어도 내부의 흐름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목표종인 피라미가 산란기인 봄철에 주로 이동을 하므로, 저수기를 기준으로 어도가 기능을 잘 유지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풍수 및 평수기에는 본류 수위가 높아 어도로의 피라미 유입 효율성이 떨어져 보였다. 반면 저수기에는 본류의 낮은 수위로 인해 어도 입구에 상대적으로 적절한 유속이 발생하여 유입효율과 이동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평가되었다. 어도 내 흐름은 어류가 소상하기에 무리가 없는 유속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가지야마 공식 월별 보정계수 개선 및 평가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Monthly Coefficients of Kajiyama Formular on Climate Change)

  • 서지호;이동준;이관재;김종건;김기성;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5호
    • /
    • pp.81-93
    • /
    • 2018
  • The Kajiyama formula, which is an empirical formula based on the maximum flood data at Korean watersheds,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and management of watersheds. However, this formula was developed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and flow measured during early 1900s so that it could not consider the recently changed rainfall pattern due to climate changes. Moreover, the formula does not provide the monthly coefficients for 5 months including July and August (flood season), which causes the uncertainty to accurately interpret runoff characteristics at a watersh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monthly coefficients based on the recent meteorological data and flow data expanding the range of rainfall classification. The simulated runoff using the enhanced monthly coefficients showe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that using the original coefficient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enhanced monthly coefficient for future runoff pre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Kajiyame formula with the enhanced coefficients could be applied for the future prediction. Hence, the Kajiyama formula with enhanced monthly coefficient can be useful to support the policy and plan related to management of watersheds in Korea.

지역기후변화 특성을 고려한 홍수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ood Seas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limate Change)

  • 이재황;김기주;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0-190
    • /
    • 2022
  • 최근 30년 강수량은 20세기 초보다 124mm 증가하였으며, 지역별 변동성 역시 매우 크다. 또한 일 강수량 80mm 이상의 강한 강수의 증가가 뚜렷하고 약한 강수가 감소하는 양극화로 인하여 홍수기에 홍수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홍수에 대비하는 기간인 홍수기는 1970년 이전에 제정된 후 개선된 적이 없어 기후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동일한 홍수기를 적용하고 있기에 최근 강수량의 지역특성이 강한 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와 21세기 두 그룹의 통계특성을 비교하여 홍수기의 강수량 변화를 정량화하여 기후변화를 보이고 국내 18개의 다목적댐 유역에서의 강수량 변화를 통계기법을 통해 지역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장마와 태풍을 기준으로 한 기존의 홍수기와 extension, shift, 그리고 split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개선한 홍수기를 비교하였다. 모의 방법은 댐 운영 기본 규칙에 국내 다목적댐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일정률-일정량 방식의 Rigid ROM과 예측한 유입수문곡선의 정확도가 관건인 일정량 방식의 Technical ROM을 활용하여 방류량을 결정하였다. 홍수저감효과는 계획방류량을 기준으로 한 세 가지 지표(frequency, duration, magnitude)를 통한 비교와 하천의 계획홍수량과 댐의 200년 빈도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한 K-water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0세기와 21세기 홍수기의 통계량을 비교했을 때 강수량의 평균값이 86.55mm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댐 유역별로 비교하였을 때도 1개의 댐을 제외한 94%의 댐에서 증가 추세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모평균 차이를 95% 신뢰구간으로 확인한 결과 80% 이상의 범위에서 증가추세를 확인하였다. 가설검정 결과인 p-value가 최소 0.038에서 최대 0.3의 값을 가져 지역별 강수 차이 또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파악하였다. 홍수저감효과의 경우 2020년의 시범 유역에 대해서 15일의 extension을 적용한 홍수기가 기존의 홍수기에 비해 평균적으로 frequency는 0.002%, duration은 1.85hr, magnitude는 26.96% 정도 저감됨을 확인하였으며, flood의 횟수도 6회정도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홍수기의 기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사전방류조건에 따른 농업용저수지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d Limited Level in Agricultural Reservoir Flood Season according to pre-release conditions)

  • 양준석;박기범;안승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2-302
    • /
    • 2022
  • 최근 태풍,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함하고 있다. 특히 상류에 저수지가 있을 경우 홍수조절을 통해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기도 하지만 급작스런 방류량의 증가 등으로 인해 하류지역의 피해가 증가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하류지역 홍수피해 저감을 위해 저수지의 홍수관리기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규모 다목적댐의 경우 다양한 저수지운영룰을 통해 수문을 운영하고 있어 홍수조절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만, 농업용저수지는 홍수관리에 있어 수문조작 전문성의 부족과 운영룰의 미정립 등으로 인해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이 설치된 1백만m3이상의 저수지 중 성주저수지를 연구대상저수지로 선정하였다. 비상수문을 통한 사전방류방안과, 저수지운영을 연구하여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용량 확보를 위한 사전방류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저수지운영은 Auto ROM을 적용하였고 홍수조절용량 확보를 위하여 홍수기 수위관리기법 중 사전방류기법을 채택하였다. 사전방류기법은 모의기법에 의한 사전방류와 최적화기법에 의한 최적사전방류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홍수기의 제한수위는 유효저수량의 70%인 EL.179.7m, 65%인 EL.178.8m, 60%인 EL.177.8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모의기법에 의한 사전방류방법은 초기수위는 만수위에서부터 1.0m씩 감소하였고, 비상수문은 0.5m씩 개방하여 4.0m까지 개방 하였다. 사전방류의 시간은 24hrs, 48hrs를 적용하였다. 최적화기법에 의한 사전방류방법은 초기수위는 모의기법과 동일하고 목표수위를 제한수위(70%, 65%, 60%)가 되는 최적방류량을 산정하고 최적방류량을 방류할 수 있는 수문의 개방높이를 분석하였다. 2012년, 2020년의 호우사상에 대해 사전방류가 없는 경우와 모의기법, 최적화기법에 의한 사전방류결과를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제한수위 70%를 유지할 경우 2012년은 모의기법이 5.6%, 최적화기법이 5.4%의 방류량 감소효과가 있으며 2020년은 모의기법이 9.0%, 최적화기법이 8.8%의 방류량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