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protecti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5초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Agricultural Cultivation, Case Studies in Rice Cultivation and Shrimp Farming in the Mekong River Delta, Vietnam

  • Nguyen, Tran Nhan Tanh;Tran, Thi Hong Ngoc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461-467
    • /
    • 2009
  • This paper provides two case studies of environmental impacts with socio-economic values. The first case is on flood protection levees conducted from 2003 to 2004 in Phu Tan district, An Giang province. The impacts were found by comparing full flood protection levees area (FFPL) to non-full flood protection levees area (NFFPL). Participatory Rural Appraisal (PRA) tools per each group of rich, middle, and poor people were used to list the impacts. Then, major impacts were selected by ranking and interviewing 60 households per site, and assessed by Cost Benefit Analysis (CBA) in rice production from 1996 to 2002 between two areas. The tested research indicated moving system of NFFPL to that of FFPL lost about 11 million VND/ha/year. The second case is on impacts of Penaeid shrimp farming conducted in Duyen Hai District, Tra Vinh Province in 2004-2005. Ninety households and 12 local officials were interviewed. Four PRAs were conducted and 36 water samples were taken inside and outside shrimp pond to measure values of DO, COD, Fe total, TSS, N-$NO_3{^-}$, N-$NH_4{^+}$, P-$PO{_4}^{3-}$, and Chlorophyll-a. Research results showed only 36.7% of the households got profit from shrimp farming. Highest financial efficiency was 0.72 for the semi-intensive system. Tested water indicators showed surface water quality did not match Vietnamese standard for surface water in coastal area (TCVN 5943-1995) and in rain. The water was very muddy and contaminated by organic aluminum. Summarily, the impacts were clarified more obviously via adding socio-economic values to assessment. Importantly, the values were transformed to household's income which is an indicator for policy-makers to consider the impacts obviously. Besides, data of different group of people impacted are cases contributing to consideration of the impacts in an appropriate social level.

홍수 및 수질 오염 감시용 지능형 고속 광 통신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to monitor flood and water pollution)

  • 이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351-358
    • /
    • 2012
  • 본 연구는 강유역의 홍수 및 수질 오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품질의 영상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광통신 장치로 기존의 장치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네트워크 광선로 및 장비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홍수 통제용으로 이용되는 통신장비는 주로 무인함체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는 장거리 구간의 강 하구에 위치한 홍수 통제소에서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광 케이블의 절단이나 노화 등에 의한 통신 장해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 선로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영상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위와 같은 사고 발생시 1차적으로 이중화 광 케이블 보호절체 기능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으로 발생 지점을 실시간으로 통보해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역치수계획을 위한 대안수립: 영산강 유역의 사례연구 (Alternatives Development for Basin-wide Flood Mitigation Planning: A Case Study of Yeongsan River Basin)

  • 이충성;심명필;이상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507-516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에 공학적 분석에 주로 치중하였던 대안수립 방법을 개선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최적사업규모를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치수사업을 투입과 산출에 의한 생산활동으로 정의하고 투입과 산출조합들을 최적화하는 방식의 대안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제시된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영산강유역 치수계획을 위한 대안들을 최적사업규모 결정을 통해 수립하였다. 최적사업규모 결정 결과, 최적대안의 순편익이 대안 내의 대규모 단위사업안들의 순편익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단위사업안들은 그 효과가 과소평가되어 최적대안으로부터 제외될 소지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들로부터 보호받는 잠재적 피해지역들이 치수사업에서 소외될 수 있다. 따라서 피해지역별로 선택적인 홍수방어를 위해서는 단위사업안들을 홍수방어 범위에 따라 전역적 홍수방어대책과 지역적 홍수방어대책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급경사 만곡부 하도의 2차원 수리특성 해석 (Analysis of Two Dimensions Hydraulic Characteristic in Steep Meandering Channel)

  • 박기범;임기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9호
    • /
    • pp.1039-1049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two dimensions hydraulic characteristic for actual flood events in steep meandering channel. It could get analysis results as follows; A water level difference of downstream more great than one of upstream at inner and outer of meandering channel. It judged that a significance of downstream level could appear more greatly in meandering channel bank, hydraulic structure and flood inundation analysis. As velocity and depth analysis was shown that much amount flow passing fast velocity happened in meandering channel, it could help establishment of meandering channel bank.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wo dimension hydraulic analysis results could help a counterpaln establishment for the flood inundation and bank collapse.

XP-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심지역 침수해석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Using XP-SWMM)

  • 김진수;이원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9-36
    • /
    • 2015
  • 현재 국내 연구는 1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침수방지대책의 효과분석 및 효율성을 입증하는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도시유출모형인 XP-SWMM 모형을 침수지역에 적용, 침수방지대책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자원관리자의 효율적인 정책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상데이터는 지난 1967년부터 2011년까지 45년간 청주 기상대에서 수집한 것으로 통계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대상 배수구역 통수능력 분석을 50년 빈도 모의 결과 침수면적 $539,548m^2$, 최대침수심 1.0m, 침수시간 48분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대책으로 A1 소배수구역의 통수능력 증대를 위해 우회수로 및 지하저류시설 건설을 비교한 결과 대상유역에 용량이 $13,500m^3$인 지하저류시설을 설치할 경우 50년 빈도의 강우까지 침수가 완전 해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침수 저감대책으로 이상기후에 대비할 수 있는 지하저류조 설치가 효율성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층화분석기법을 통한 구조물적 홍수방어 최적대안 선정 방안 연구 (A Method for Selecting a Structural Optimal Flood Mitigation Pla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정호;전영준;안재현;김태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7-126
    • /
    • 2009
  •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 시 유역 내 적용이 가능한 구조물적 비구조물적 치수계획은 매우 광범위하고, 특히 그 중에서도 구조물적 홍수방어 시설들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이들을 조합하여 유역의 홍수 저감능력을 최대화 하는 최적대안을 선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현재 구조물적 홍수방어 후보대안에 대한 적절한 평가 기준이나 다양한 홍수방어 후보대안들 중 최적대안의 선정에 관한 지침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의 구조물적 홍수방어 후보대안들에 대한 치수경제성 및 정책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대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기법 중의 하나인 계층화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적용함으로써 평가항목들 간의 가중치 결정 및 최적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후보대안들 각각의 하위 세부 평가항목들의 가중치 결정에는 계층화분석기법 전용 프로그램인 Expert Choice 11.5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역종합치수계획의 구조물적 홍수방어 최적대안 선정에 있어 보다 표준화된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상강우에 대비한 성주댐의 홍수조절 능력 분석 (Evaluation of Flood Control Capacity for Seongju Dam against Extreme Floods)

  • 권순국;한건연;서승덕;최혁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9-118
    • /
    • 2003
  •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establish a safety operation plan for irrigation dams, this study presents hydrologic analysis conducted in Sungju Dam watershed based on various rainfall data. Especially those reservoirs without flood control feature are widely exposed to the risk of flooding, a safe and optimized operation program need to be improved against arbitrary flooding. In this study, reservoir rout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simulated for reservoir runoff estimation using WMS hydrology model. The model simulated the variations of reservoir elevation under the condition of open or closed emergency gate. In case of closed emergency gate, water surface elevation was given as 193.15 m, and this value exceeds the dam crest height by 1.65 m. When the emergency gate is open, the increment of water surface elevation is given as 192.01 m, and this value exceeds dam crest height by 0.57 m. As an alternative plan, dam height increase can be considered for flood control under the PMP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condition. Since the dam size is relatively small compare to the watershed area, sound protection can be expected from the latter option rather than emergency gate installation.

효과적인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그린-그레이 인프라 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ed Placement of Green-Gray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Flood Mitigation)

  • 배채영;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75
    • /
    • 2022
  • Urban flood management(UFM) strategy ought to consider the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existing and new infrastructures to manage stormwater and improve the capacity to treat water. It is also important to demonstrate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flood risk at critical locations. Although the general theory of spatial impact is popular, modeling guideline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in real-world plans are still lacking.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a modeling research based on an actual target site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green infrastructure(GI) in the source area and to take structural protection measures in the impact area, as summariz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e hypothesis,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hypothesis depending on which hydrological performance indicators were targe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the risk of flooding in critical locations in terms of spatial planning and regeneration.

HEC-6모형을 이용한 방사보 철거 전후에 따른 하상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Bed Profile Fluctuation According to Before & After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using HEC-6 model)

  • 안승섭;이수식;최윤영;이증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93-10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HEC-6 모형을 이용하여 태화강 본류하도 하구부에 위치한 방사보의 영향에 따른 하상변동특성을 분석 검토함으로서, 향후 태화강 하도종합개발계획 수립시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상변동특성 분석에 필요한 유량 조건은 태화강 하천정비기본계획수립에서 검토된 풍수량, 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조건을 이용하였다. 먼저, 하상변동폭에 대한 분석 결과, 삼호교 하류 하도구간에서는 유하유량이 클수록 세굴과 퇴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삼호교 상류 하도구간에서는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유사이송능을 검토한 결과, 유하유량이 클수록 유사이송능은 큰 값으로 추정되었으나 계획홍수량 유하시 방사보 철거전후의 태화강 하구부의 유사이동능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방사보 철거로 인한 토사유입량 감소대책을 고려하여 태화강 하류부에서 유입되는 동천지류의 최하류부에 하천유지용수 확보와 태화강으로의 유사량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수리 구조물을 설치한다면 방사보 제거 후에도 태화강 최하류부의 유사량 퇴적을 감소시키는 좋은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