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mitigation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5초

Pre-resilience Group Activities Against a Forthcoming Big Flood Disaster in Tokyo Below-Sea-Level Area

  • Ichiko, Taro;Kato, Takaarki;Ishikawa, Kinj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8
    • /
    • 2011
  • In April 2010, Japan Cabinet Office has published the first countermeasure report for severe flood disasters. This report showed various flood-disaster scenarios and factors that widened damages. One of important suggestions was to transmit precious information for long-distance evacuation. So far, local municipalities have made Flood Hazard Map to inform resident risk and evacuation. In this paper, cognition and effectiveness of a flood hazard map in the down ARAKAWA river Tokyo were measured by social questionnaire survey. In conclusion, there were 3 factors to effect validity of a flood hazard map. There were (1) commitment to their neighborhood organization, (2) experience of Kathleen typhoon in 1947 and (3) level of using targeted river. As results, a logical diagram about a flood hazard map perception was drawn and discussed from a view of community-based approach.

  • PDF

도시지역을 관통하는 홍수파의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2) : 적용 및 분석 (A Numer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assing through Urban Areas (2) : Application and Analysis)

  • 정우창;조용식;이진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65-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댐 붕괴로 인한 홍수파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지역의 효과에 대해 두 가지 수리모형실험에 근거하여 수치적으로 분석되었으며, 계산된 지점별 수심은 측정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첫 번째 수리모형실험에 대해 도시지역 전반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심영역과 흐름의 지체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홍수파의 원활한 전파에 큰 장애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수리모형실험에 대해서는 유입량의 증가에 따라 도시지역의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전파될 때 수심은 급격히 감소하는 구간과 느리게 감소하는 구간으로 구별되며, 도시지역 전반부에 도달하는 홍수파의 최초시간은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효과적인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그린-그레이 인프라 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ed Placement of Green-Gray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Flood Mitigation)

  • 배채영;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5-75
    • /
    • 2022
  • Urban flood management(UFM) strategy ought to consider the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existing and new infrastructures to manage stormwater and improve the capacity to treat water. It is also important to demonstrate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flood risk at critical locations. Although the general theory of spatial impact is popular, modeling guideline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in real-world plans are still lacking.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a modeling research based on an actual target site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green infrastructure(GI) in the source area and to take structural protection measures in the impact area, as summariz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d the hypothesis,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hypothesis depending on which hydrological performance indicators were target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flow at flooding sources and minimize the risk of flooding in critical locations in terms of spatial planning and regeneration.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Regional Safety Assesment Due to Urban Flood Using GIS)

  • 여창건;서근순;송재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8-77
    • /
    • 2011
  •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은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사후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라별, 도시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은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으로 홍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요인과 저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인자를 선정한 후 GIS를 이용하여 인자별 평가결과의 가중 합을 통한 중첩으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대하여 모형의 시범적용을 수행하였다.

강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a Scheme to Increase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 백천우;변천일;김도현;안태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23-133
    • /
    • 2010
  • 강변저류지와 같은 소규모 수공구조물에 의한 홍수저감방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상 유역내에 다수의 후보지역이 존재하는 강변저류지 계획에 있어서, 네트워크로 간주된 전체 저류지군의 실질적인 홍수조절효과의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용량, 월류고, 월류폭 등과 같은 강변저류지 제원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한 강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 개선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설계빈도 홍수사상에 대하여 강변저류지 제원 변화에 따른 직하류부 및 유역출구 홍수저감량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 민감도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직하류부와 유역출구에서의 홍수저감량이 최대가 되게 하는 강변저류지 제원을 결정한다. 제안된 기법을 안성천 유역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연구결과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월류부특성변화에 따른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분석 (Analysis of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based on Variation of Rollway Characteristic)

  • 백천우;김복천;안태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45-150
    • /
    • 2009
  • 댐과 같은 대규모 수리구조물의 신설이 점차 어려워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 천변저류지의 설치가 검토되고 있다. 천변저류지는 규모가 작은 시설물로 홍수량, 유입수문곡선, 천변저류지 용량 및 월류위어의 월류고 등에 따라 홍수저감효과가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최대의 홍수저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홍수저감효과를 기대하는 홍수사상에 적합한 월류고를 적용하여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월류고 값의 변화가 천변저류지군의 홍수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천변저류지의 최적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의사결정모형을 사용하였다. 천변저류지의 위치를 결정변수로 사용하고 홍수저감목표 지점에서의 홍수저감효과를 최대화하는 과정을 통해 천변저류지의 최적위치를 결정하는 의사결정모형에 월류고의 높이를 결정 변수로 추가하여 수정하였다. 제안된 모형을 안성천 유역에 적용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모형의 적용결과 대상 홍수사상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홍수저감이 가능토록 하는 월류고 및 위치를 결정 할 수 있었다.

밀집시가지 침수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Urban Flood Model in Building Area)

  • Kang, Sang-Hyeok;Kim, Kyung-Nam;Han, Dong-Jun;Kim, Jung-Ha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03-206
    • /
    • 2007
  • 도시 침수모형에 있어서 도로, 빌딩, 그리고 제방과 같은 구조물은 홍수전파에 큰 영향을 주므로 모형구성상 고려되어야 한다. 건물 밀집지역에 대한 침수모형은 현재 주요한 연구과제이지만 불충분한 자료로 인하여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물 추출, 격자 크기 등을 고려한 도시 침수모형을 구축하여 그 영향을 검토한다.

  • PDF

Real Time Error Correction of Hydrologic Model Using Kalman Filter

  • Wang, Qiong;An, Shanfu;Chen, Guoxin;Jee, Hong-Ke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92-1596
    • /
    • 2007
  • Accuracy of flood forecasting is an important non-structural measure on the flood control and mitigation. Hence, combination of horologic model with real time error correction became an important issue. It is one of the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 forecasting precision. In this work, an approach based on Kalman Filter (KF) is proposed to continuously revise state estimates to promote the accuracy of flood forecasting results. The case study refers to the Wi River in Korea, with the flood forecasting results of Xinanjiang model. Compared to the results, the corrected results based on the Kalman filter are more accurate. It proved that this method can take good effect on hydrologic forecasting of Wi River, Korea, although there are also flood peak discharge and flood reach time biases. The average determined coefficient and the peak discharge are quite improved, with the determined coefficient exceeding 0.95 for every year.

  • PDF

Scenario Analysis Technology for Flood Risk Management in the Taihu Basin

  • Changwei, Hu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0-148
    • /
    • 2010
  • The Taihu Basin is located in the east coast of China, where the threats of frequent floods have induced construction of massive, complex, hierarchical flood defense systems over the interconnected river networks. Digital modeling of flooding processes and quantitative damage assessment still remain challenging due to such complexity. The current research uses an integrated approach to meet this challenge by combining multiple types of models within a GIS platform. A new algorithm is introduced to simulate the impacts of the flood defense systems, especially the large number of polders, on floods distributions and damages.

  • PDF

풍수해 대응기술 향상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the Response Technology to the Flood and Typhoon disaster)

  • 김진욱;김근영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17-620
    • /
    • 2008
  • Because nature disaster would be increased society damage, government has to prepare the system for response to the disaster.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concept element of response technology and strategy for the flood and typhoon disaster. And we define the emergence service criter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