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mitigation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5초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Severity using Flash Flood Index)

  • 김응석;최현일;이동의;강동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25-13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Bhaskar 등(2000)의 연구를 우리나라 유역에 적용하여, 홍수사상에 따른 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이용한 돌발홍수지수를 산정함으로써 돌발홍수의 심각성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Bhaskar 등(2000)의 연구내용을 보다 확장하여 돌발홍수지수와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및 총유출량과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인 매곡천 유역의 과거 31개의 호우사상에 대한 돌발홍수의 상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강우-유출모의를 통한 홍수수문곡선을 모의하고 이에 따른 돌발홍수지수를 산정하여 돌발홍수심도를 정량화하였다.

Uncertainty investigation and mitigation in flood forecasting

  • Nguyen, Hoang-Minh;Bae, Deg-Hy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5-155
    • /
    • 2018
  • Uncertainty in flood forecasting using a couple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 is arisen from various sources, especially the uncertainty comes from the inaccuracy of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QPFs).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flood forecast, the uncertainty estimation and mitigation are required to perform.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reduce such uncertainty. First, ensemble QPFs are generated by using Monte - Carlo simulation, then each ensemble member is forced as input for a hydrological model to obtain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Likelihood measures are evaluated to identify feasible member. These members are retained to defin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uncertainty interval and assess the uncertainty. To mitigate the uncertainty for very short lead time, a blending method, which merges the ensemble QPFs with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consider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kills, is proposed. Finally, blending bias ratios, which are estimated from previous time step, are used to update the members over total lead time.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for the two flood events in 2013 and 2016 in the Yeonguol and Soyang watersheds that are located in the Han River basin, South Korea. The uncertainty in flood forecasting using a coupled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and Sejong University Rainfall - Runoff (SURR) model is investigated and then mitigated by blending the generated ensemble LDAPS members with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that uses 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by Lagrangian extrapolation (MAPLE). The results show that the uncertainty of flood forecasting using the coupled model increases when the lead time is longer. The mitigation method indicates its effectiveness for mitigating the uncertainty with the increases of the percentage of feasible member (POFM)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observations that fall into the uncertainty interval (p-factor).

  • PDF

감조하천 홍수위 계산의 불확실성과 저감 대안 - 임진강 하류를 대상으로 (Uncertainty of Evaluating Design Flood and Mitigation Plan at Downstream of Imjin River)

  • 백경오;권혁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2-137
    • /
    • 2018
  • Compared with general rivers, fluctuations of the water level and the river bed are severe in the tidal river. In hydro-dynamic aspect, such fluctuation gives different river-bed data to us according to observing period. The time-dependent river-bed data and pre-estimation of the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which is the key factor of numerical modelling induces uncertainty of evaluating the design flood level. Thu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calculate the flood level at tidal rivers than at general rivers. In this study, downstream of the Imjin River where is affected by tide of the West Sea selected as a study site. From the numerical modelling, it was shown that the unsteady simulation gave considerable mitigation of the water level from the starting point to 15 km upstream compared to the steady simulation. Either making a detention pond or optional dredging was not effective to mitigate the flood level at Gugok - Majung region where is located in the downstream of the Imjin River. Therefore,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is required to evaluate the design flood level estimation before constructive measures adopted in general rivers when establishing the flood control plan in a tidal river.

유역치수계획을 위한 대안수립: 영산강 유역의 사례연구 (Alternatives Development for Basin-wide Flood Mitigation Planning: A Case Study of Yeongsan River Basin)

  • 이충성;심명필;이상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507-516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에 공학적 분석에 주로 치중하였던 대안수립 방법을 개선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최적사업규모를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치수사업을 투입과 산출에 의한 생산활동으로 정의하고 투입과 산출조합들을 최적화하는 방식의 대안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제시된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영산강유역 치수계획을 위한 대안들을 최적사업규모 결정을 통해 수립하였다. 최적사업규모 결정 결과, 최적대안의 순편익이 대안 내의 대규모 단위사업안들의 순편익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단위사업안들은 그 효과가 과소평가되어 최적대안으로부터 제외될 소지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들로부터 보호받는 잠재적 피해지역들이 치수사업에서 소외될 수 있다. 따라서 피해지역별로 선택적인 홍수방어를 위해서는 단위사업안들을 홍수방어 범위에 따라 전역적 홍수방어대책과 지역적 홍수방어대책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by Remote Sensing and GIS in China

  • Jiren, Li;Silong, Zhang;Sun, Chun-Pe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75-182
    • /
    • 2002
  • The paper introduces the application of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by remote sensing and GIS in china and describes the frame of operational system for practical performance of flood disaster mitig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al system for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in RSTAC/ MWR and its application in the floods of 1998,1999 in china are introduced.

  • PDF

이상 호우에 의하여 붕괴된 수위국 지점의 홍수량 규모 결정 (Calculation of Abnormallly Large Flood Discharge Amount Destroying the Stage Gaging Station)

  • 유주환;김주철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75-678
    • /
    • 2008
  • An abnormal storm by the typhoon of RUSA in 2002th year was broken out with tremendous flood demages and inundations on the basin of Chogangcheon located in the upper middle part of Guem river's upstream. This flood could not be engaged because it was so big that the stage engaging Songcheon station stuck to Songcheon bridge was destroyed by submerging. In this study the quantity of the flood was calculated by use of Manning's equation and suitable roughness coefficient was suggested.

  • PDF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 - 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Focused on Yeonje-Gu and Nam-Gu in Busan, Korea)

  • 강정은;이명진;구유성;조연희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3호
    • /
    • pp.43-73
    • /
    • 2014
  •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과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방재, 안전의 개념이 도시개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확대에 따라 강수, 저류, 침투, 증발산 및 유출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의 왜곡을 초래했다.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홍수저감 효과를 높이는 노력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접근성이나 심미성의 측면으로만 그린인프라를 계획하고 있어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 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가 도시계획, 환경계획, 개발계획 등 다양한 도시공간계획과 연계되어 반영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그린인프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도시지역 방어침수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Flood Protection Elevation in Urban Area)

  • 신상영;이양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49-652
    • /
    • 2008
  • In urban area, flood risk is getting higher because of inland flood risk has grown up by changing rainfall intensity, rainfall pattern, changing land use and so on. Urban area is needed higher flood protection level to protect accumulated people, buildings and other infrastructures. However, even though former flood protection has focused on overflow from river, there is not a guide line for evaluating proper flood protection level. Thus, it is necessary to protect flood from inland flooding as well as overflow from river and need a proper method to evaluating flood protection level. This study present a method of determining flood protection elevation by using GIS tools for deciding proper flood protection level. The study result may contribute to urban flood protection measures in which inland flood risk increases.

  • PDF

학교건물에 대한 홍수 침수심별 손상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depth-damage functions focused on school buildings)

  • 이창희;김상호;황신범;김길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8호
    • /
    • pp.513-520
    • /
    • 2017
  • 홍수피해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피해예상지역과 침수심을 분석함과 함께 피해예상지역에 대한 피해액 추정이 가능해야 한다. 홍수피해액의 추정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구조물 및 내용물에 대해서 침수심의 변화에 따라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피해지역의 자료들을 토대로 학교건물에 대한 침수심별 손상함수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그리고 학교건물에 대한 손상함수의 개발절차, 침수심별 손상함수의 보완과정을 제시하였고, 그리고 손상함수의 적용결과에 대한 기존 기법과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손상함수를 개발하는 과정과 개발된 침수심별 손상률 그리고 함수의 적용과정은 향후 피해규모에 따른 홍수피해액 추정을 가능하게 하여 홍수피해저감 대책에 대한 비용대비 효과분석 수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