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capacit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다목적 댐의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 결정 방안 (Determination Scheme of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of Multipurpose Dam)

  • 권오익;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709-720
    • /
    • 1997
  • 다목적 댐의 홍수기 저수지 운영에 있어 댐 규정에 명시된 홍수조절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한정된 저수공간의 탄력적인 이용방안을 강구하여 추가적인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의 기상특성을 반영하여 홍수기를 시기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홍수기간별로 각각의 이수목적수위와 치수목적수위를 검토하였다. 검토된 결과를 바탕으로 서로 상반되는 이수와 치수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으며, 이로부터 결정된 홍수기 댐 운영수위를 홍수기 가변제한수위라 정의하였다. 홍수기 가변제한수위를 결정하는 일련의 절차에 대해 대청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댐과 하천유역을 연계한 홍수 대응 방안 - 2020년 섬진강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 (Plan for Flood Control Linked with Dam and River Basin)

  • 백경오;이동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1-86
    • /
    • 2023
  • In this study, a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to propose a flood control plan linked with the dam and river basin for the flood events of the Seomjin River in 2020. The flood level reduction of the downstream river was tested based on a scenario operation of the Seomjingang Dam and was also analyzed when a storage pocket was newly constructed as one of the river basin measures. It was confirmed that Seomjingang Dam's flood control capacity would be increased if the flood limit level was drastically lowered from the current EL. 196.5 m to EL. 188.0 m. In addition, if the upper area of the (old) Geumgok Bridge (which suffered great damage due to the loss of the levee) is used as a storage pocket, it w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floods in the lower area of it. In the era of the climate crisis, more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s needed and basic river management must be observed.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유역내 구조적 홍수방어 대안 도출 (Flood Mitigation Planing for a Basin Using a Decision Tree Model)

  • 변성호;강현직;한정우;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B호
    • /
    • pp.33-40
    • /
    • 2008
  • 우리나라는 6월부터 9월까지의 우기에 강우가 집중 발생하는 기상특성으로 인해 자연재해의 95% 이상이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풍수해로 집계되고 있을 만큼 홍수피해에 취약하며, 오래전부터 홍수방어에 대한 구조적 대책이 시행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기법중의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유역내 홍수방어를 위한 기본적인 후보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후보대안은 유역이 가지고 있는 치수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상 하류의 유기적인 홍수방어기능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다수의 조합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시 적용가능한 홍수방어 대안 조합 지침을 제시하였다.

재해저류지 위치결정과 용량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a Process for Flood Detention Location and Storage Capacity)

  • 오건흥;박기범;장인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01-609
    • /
    • 2008
  •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rea due to the increasing of industry, population and spreading of urbanization is rapidly increasing but about seventy percent of our nation's areas consists of the mountainous districts. In such case, when those areas have the heavy rains break, they are washed away by a fast-flowing stream of a valley and overflowed. Thus it could result on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and also the widespread of flood damage in the downstream area. To decrease those damage, the construction of flood control reservoir is necessary. This research was aim to construct the flood runoff models of a mountainous small district and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rainfall by analyzing precipit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location and size of flood control reservoir on flood redu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detention basin was an effective way to ensure the safety of flood control and multiple detention basin had superior result for reducing amount of runoff in the down stream area than the single detention basin.

농업용 저수지 증고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s of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 이관재;박기욱;정영훈;정인균;정광욱;전지홍;이지민;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4호
    • /
    • pp.83-93
    • /
    • 2013
  •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of Korea is 1,277 mm and around 2/3 of annual precipitation and 74 %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ccurred during monsoon period. In recent years, many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been heightened to increase flood control capacity, reduce flooding damage at downstream areas, and provide sustainable environmental flow during drought period. Thus in this study, the flood control effects of heightening of reservoir banks were simulated with HEC-ResSim and HEC-RAS models. These modes were applied to Bonghak reservoir and it was found that flood control effects were 3~4.5 % with 7 -m heightening. Also, with proper operation (1 m lower of full water level) of reservoir right before the monsoon period, flooding at downstream could be prevented even with design storm of 80 -year recurrence interval. As shown in this study,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provides positive effects in flood control and flood damage reduction.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에 의한 저수지 운영 (Reservoir Operation by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 심명필;권오익;이환기
    • 물과 미래
    • /
    • 제28권6호
    • /
    • pp.217-228
    • /
    • 1995
  • 홍수기중 최적의 저수지운영을 위해 서로 상반되는 이수와 치수를 조화시키기 위한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비홍수기의 용수수요 보장을 고려히 홍수기중 저수지의 제한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기간별요 가변제한수위(VRWL)와 최소 확보저수위 (MRWL)를 적용하여 저수용량의 재할당으로 최적 운영방안이 유도되었다. 또한 갈수빈도해석에 따른 저수지운영분석으로 비홍수기의 용수공급을 위해 확보되어야 할 홍수기말 저수지의 수위조건에 관하여 대청과 충주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북한 황강댐 유출량에 따른 임진강유역 홍수 피해 지역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the Flood Damage Area of the Imjin River Basin in the Case of North Korea's Hwanggang Dam Discharge)

  • 박성재;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1호
    • /
    • pp.1033-1039
    • /
    • 2018
  • 우리나라는 매년 여름철마다 태풍과 집중호우가 함께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임진강 유역은 급경사와 좁은 하도인 상류부와, 낮은 평지인 하류부로 되어 있어 홍수에 취약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북한 지역의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대형 댐인 황강댐에서 여름철 마다 무단방류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런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군남홍수조절지를 건설하여 홍수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홍수조절지의 건설 이후에도 홍수조절능력이 황강댐의 최대 저수량의 20%밖에 미치지 못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경기북부지역의 집중호우시 발생할 수 있는 홍수 피해 위험지역을 산정하기 위하여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해예상지역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군남홍수조절지의 홍수조절능력을 넘는 황강댐의 방류가 발생할 시에 경기도 연천군과 파주시에 피해가 예상되었다. 추후 이 연구는 홍수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규모 댐의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orage Management System for Small Dams)

  • 김필식;김선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15-25
    • /
    • 2005
  • Ninety tow percent of over 1,800 gate controlled dams in Korea are classified as small dams. The primary purpose of these small dams is to supply irrigation water. Therefore, while large dams can store as much as 80 percent of precipitation and thus are efficient to control flood, small dams are often lack of flood control function resulting in increased susceptibility drought and flood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storage management model for irrigation dams occupying the largest portion of small dams. The proposed Storage Management Model (STMM) can be applied to the Seongju dam for efficient management. Besides, the operation standard is capable of analyzing additional available water, considering water demand and supply conditions of watershed realistically. And the model can improve the flood control capacity and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by the flexible operation of storage space. Consequently, if the small dams are managed by the proposed Storage management model, it is possible to maximize water resources securance and minimize drought and flood damages.

결정론적 홍수위 추적 모형을 이용한 우이천 유역의 홍수범람도 작성 (Flood Hazard Map in Woo Ee Stream Basin Using Conclusive Hydraulic Routing Model)

  • 문영일;윤선권;김재현;안재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37-640
    • /
    • 2008
  • Flood control and river improvement works are carried out every year for the defense of the flood disaster, it is impossible to avoid the damage when there is a flood exceeding the capacity of hydraulic structures. Therefore, nonstructural counter plan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lood hazard maps, the flood warning systems are essential with structural counter plans.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internal inundation effect using rainfall runoff model such as PC-SWMM was applied to Woo Ee experimental stream basin. Also, the design frequency analysis for effects of the external inundation was accomplished by main parameter estimation for conclusive hydraulic routing using HEC-RAS model. Finally, inundated areas for flood hazard map were estimated at Woo Ee downstream basin according to flood frequency using HEC-GeoRAS model linked by Arc View GIS.

  • PDF

천변저류지 홍수저감능력평가를 위한 하도-저류지연계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River-Reservoir Integrated Model for Flood Reduction Capacity Analysis of Off-Stream Reservoir)

  • 최성열;안태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65-17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하천변 저류지의 홍수저감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있다. 하천에 홍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하천변 저류지는 하천의 홍수첨두 일부를 분담하는 기능을 갖으며, 이는 제방의 일부를 낮춘 월류제를 통한 범람으로 가능하게 되며, 또한 범람된 물은 저류지 내에서 저류 하게 된다. 이러한 저류지가 갖는 홍수저감특성은 하천 홍수위, 월류제 제원(높이, 위치, 길이 등), 저류지의 수리거동 등에 의해 좌우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물의 거동을 재현하기 위해서 1차원 하천부정류 모델, 월류제 상의 월류량 산정 모델 및 제내지 홍수범람 모델을 연계한 통합모형을 개발 하였다. 이상에서 개발된 연계 모형을 가상하도 및 실제하도에 적용하여 월류제가 갖는 기하적 특성이 홍수경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개선하여야 할 시사점에 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