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Reservoir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43초

Min-Max DP에 의한 소양 및 충주호의 홍수조절운영 (Flood Control Operation of Soyang and Choongju Reservoirs by the Min-max DP)

  • 오영민;이길성
    • 물과 미래
    • /
    • 제19권4호
    • /
    • pp.339-346
    • /
    • 1986
  • 소양강댐 및 충\ulcorner댐의 실시간 홍수조절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Min-Max Dynamic Programming에 의한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최적화 모형의 목적 함수로서는 각 댐의 최대 방류량을 최소화하도록 하였으며, 각 저수지 및 하도의 특성에 따른 제약 조건을 고려하였다. 개발된 단일 저수지 운영 모형에 의한 홍수조절 효과를 평가하는 척도로서 조절율과 이용율을 사용하였다. Technical ROM, Rigid ROM 및 Linear Decision rule과 같은 simulation 모형에 의한 조절 효과와 비교한 결과 모든 빈도에 대하여 DP에 의한 최적화 방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복호 저수구역내 주요 침수 분포종별 생육 및 영양염류 함량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Contents under Dominant Submerged Plants in Flood Control Reservoir around Dongbok Lake)

  • 서영진;이준배;서동철;강세원;이상규;최익원;임병진;김상돈;허종수;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36-841
    • /
    • 2012
  • 동복호 저수구역내 침수된 식물체별 생육특성과 영양염류 함량 및 흡수량을 조사하기 위해 침수지역의 수위별 식물체의 분포와 생육특성을 각각 조사하였고, 자생하는 식물체들의 biomass 및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저수구역의 전체 면적은 $209,160m^2$로 침수 전 식생의 총 면적은 $156,871m^2$이었고, 7월 11일에는 장마로 인하여 식생이 서식하는 저수구역내 중부 및 하부가 침수되었다. 침수지역내우점 식생은 이삭사초, 돌피, 여뀌 및 털빕새귀리로 이삭사초가 전체 식생면적의 53.3%를 차지하였다. 동복호 저수구역내 주요 우점종의 분포비율에 따른 단위면적 당 ($m^{-2}$) O.M 총 흡수량은 이삭사초 ($204.5g\;m^{-2}$) > 털빕새귀리 ($40.6g\;m^{-2}$) > 여뀌 ($21.7g\;m^{-2}$) $\fallingdotseq$ 돌피 ($21.3g\;m^{-2}$) 순으로 높았다. T-N 총 흡수량은 이삭사초가 $1.30g\;m^{-2}$로 전체총 흡수량 ($2.55g\;m^{-2}$)의 약 51%를 차지하였고, 돌피, 여뀌 및 털빕새귀리가 각각 10, 13 및 12%를 차지하였다. T-P 총 흡수량은 이삭사초가 전체 T-P 총 흡수량의 51.8%인 $0.350g\;m^{-2}$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동복호 저수구역내 주요 침수 식물체는 침수 후 영양염류를 용출하여 동복호의 부영양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C-ResSim을 이용한 섬진강댐의 홍수조절 운영룰에 관한 연구 (Study of Operation Rules for Flood Control to Seomjin River Dam Using HEC-ResSim)

  • 안정민;류시완;김주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B호
    • /
    • pp.93-101
    • /
    • 2012
  • 댐 운영에 의한 합리적인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을 위하여 HEC-ResSim 모형을 섬진강 댐에 적용하였다. 섬진강 댐과 인근 하류 지역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빈도별로 유입되는 홍수사상에 대하여 홍수기 운영룰을 적용하여 저수지추적을 수행하였고 하류 지역의 수문학적 거동특성을 검토하였다. 홍수기 예비방류에 따른 빈도별 저수지 홍수추적을 수행하여 상시만수위 운영에 따른 댐의 안정성을 검토하였고 가변제한 상시만수위를 이용한 댐 운영시 댐의 용수공급능력 변화와 댐하류단의 유황분석을 통해 수문학적 거동 특성을 검토하여 댐의 운영 수위 설정을 위한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수리·수문설계시스템 및 비율보정계수 기법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기 운영기준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Operation Guideline Using K-HAS and Ratio Correction Factor during Flood Season)

  • 정형모;이상현;김경환;곽영철;최은혁;윤성은;나라;주동혁;유승환;윤광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4호
    • /
    • pp.97-104
    • /
    • 2021
  • Despite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flow and supp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the role of agricultural reservoirs is gradually being emphasized.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disaster safety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preliminary measures to prepare for disasters has been rising, for instance, pre-discharging agricultural reservoirs for flood contro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s for the flood season 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pre-discharge period and water level limit. Accordingly, we optimized the simulation of daily storage using the ratio correction factor (RCFs) and analyzed the amount of inflow and supply using K-HAS. In addition we developed the drought determination coefficient (k) as a indicator of water availability and applied it for supplementing the risk level criteria in the Drought Crisis Response Manual. The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set the water level limit during the flood period in the situation of little water supply for flood control in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eservoir management regulations after measures such as securing additional storage water are established in the future.

모의기법에 의한 홍수기 저수지 운영 모형 개발(II) (Development of Reservoir Operation Model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Flood Season(II))

  • 신용노;맹승진;고익환;이환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797-805
    • /
    • 2002
  • 본 연구의 제Ⅰ보 (신용노 등, 2000)에서는 댐의 제약조건과 댐 상·하류의 유출상황을 고려하여 홍수기 댐을 운영 할 수 있는 모의기법 모형인 EV ROM을 개발하였고, 본 보에서는 제Ⅰ보에서 개발된 EV ROM을 FORTRAN Power Station 4.0에 의해 금강수계 댐군을 연계운영 할 수 있는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금강수계에서 발생한 3개 홍수사상에 적용해 본 결과 기존의 Rigid ROM이나 Technical ROM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EV ROM이 댐 유역뿐만 아니라 댐 하류 홍수제어지점의 수문상황을 동시에 고려하여 댐의 방류계열을 결정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EV ROM을 다양한 홍수사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예측강우량의 정확도 개선과 함께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수지 공간을 활용한 주거지개발 사례연구 -일본 철학당 공원(테츠가쿠도 코우엔) 주거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Housing Development by Using the Space of Retarding Basin - Focused on the Tetsugakudo Kouen Collective Housing Development Project -)

  • 백승관;김영훈
    • KIEAE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29-13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tsugakudo Kouen Collective Housing Development Project in Japan. Project implemented cooperatively by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in charge of river management, Shinjuku and Nakano-ku responsible for park management, and the UR, a housing project developer. This project set a significant precedent for three-dimensional river use by realizing the three-dimensional integrated development of a flood control reservoir, a park, and collective housing. The major effectiveness of this project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1) The costs borne by individual project develop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realizing a high degree of application and multipurpose use of the land through a joint project. 2) This project, which was designed to accommodate rainfall of 30 to 40mm per hou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flood damage and generating significant investment effects, in terms of asset value in downstream areas, thereby increasing flood control security. 3) Local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were enhanced by providing an evacuation site in the case of an earthquake. 4) The living environment was improved by adding the function of a park.

홍수기중의 실시간 저수지운영 모형(I) 이론과 모형화 (A Model for Real-time Reservoir Operations during Flood Period I : Theory and Modeling)

  • 심명필;선우중
    • 물과 미래
    • /
    • 제23권3호
    • /
    • pp.373-384
    • /
    • 1990
  • 홍수기중 저수지운영의 목적은 댐 하류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홍수 말기의 용수보존도 고려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모의 기법을 응용하여 시간별 실시간 저수지 운영 모형을 제시한다. 운영 방안은 여수로를 통한 최대방류량을 최소화 하는 방류량 계열을 구했으며 예측유입량의 불확실성도 고려하였다. 병렬 저수지의 경우에는 합류점에의 방류량계열을 최소화하도록 유도하였으며, 본고에서는 단일 및 병렬 저수지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의 이론과 절차를 제시한다.

  • PDF

홍수시 대청호 유역에 발생하는 탁수의 물리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urbid Flow in the Daecheong Reservoir Watershed dining Floods)

  • 정세웅;이흥수;윤성완;예령;이준호;추창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34-944
    • /
    • 2007
  • Fine suspended solids (SS) induced into a reservoir after flood events play important ecological and water quality roles by presenting persistent turbidity and attenuating light. Thus the origin and physical features must be characterized to understand their transport processes and associated impact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watershed based prevention strategies. This study was aimed to characteriz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S sampled from Daecheong Reservoir and its upstream rivers during flood events. Extensive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turbidity-SS relationships, particle size distributions, settling velocity, and mineral compositions of the SS. Results showed that the turbidity-SS relationships are site-specific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flood events in the system. The turbidity measured within the reservoir was much greater than that measured in the upstream rivers for the same SS value. The effective diameters ($D_{50}$) in the rivers were in the range of $13.3{\sim}54.3{\mu}m$, while those in the reservoir were reduced to $2.5{\sim}14.0{\mu}m$ due to a fast settling of large particles in the rivers. The major minerals consisting of the SS were found to be Illite, Muscovite, Albite, and Quartz both in the rivers and reservoir. Their apparent settling velocities at various locations in the reservoir were in the range of 0.06~0.13 m/day. The research outcome provides a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fine suspended particles that cause persistent turbidity in the reservoir, and can be used as basic parameters for modeling study to search watershed based optimal control measures.

한천저류지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평가 (An Evaluation of the Flood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Hancheon Reservoir Operation)

  • 문덕철;정관수;박원배;김용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07-1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2007년 제주지역을 강타한 태풍 '나리' 이후 홍수조절을 위해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태풍 '뎬무'의 내습 시, 한천 상 하류에 위치한 하천유량관측소의 자료와 저류지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한천저류지 운영이 하류지역에 미치는 홍수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에서의 실제 하천수위는 3.44m를 기록하였으나, 수위-유량 관계식, 유출전파속도, 저류지 유입량 등을 활용하여 저류지가 운영되지 않았을 경우의 하류지역 하천수위를 분석한 결과 4.16m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홍수저감 효과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유사한 사상에 대해서도 적절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