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Ebb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Spread Patterns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d From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Using Remote Sensing Data

  • Han J. G.;Yeon Y. K.;Chi K. 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331-335
    • /
    • 2004
  • This study is focused to analyze the movement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ed from nuclear power plant by season, ebb and flow, and before and after foundation of tide embankment using thermal infrared band image of 28 scenes observed from Landsat from 1987 to 2004, which is the early stage of operation of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In diffusion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 by seasons, spring and summer is spreading further than autumn and winter. It is considered to distribute widely mixed with thermal effluent discharge and hot water, which is distributed naturally along the seaside. It is known the fact that tidal currents control the direction of diffusion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 by the change of ebb and flow. Namely, it is distributed widely on the Southwest direction along the seaside by tidal currents when ebb and, it is moved widely on the Northeast direction along the seaside by tidal current when flood. However, in the early stage of flood current, the mainstream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 is spread on Southwe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on North­east way when the latter period of flood current. Similarly, in the early stage of ebb current, the mainstream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 is spread on Northea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on Southwest direction when the latter period of ebb current. As the result of comparing to the diffusion pattern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 before and after the foundation of seawall, discharged thermal effluent from the drain of plant by the foundation of dike is shown as curved circle pattern on Northeast to West direction from the ending portion of the seawall.

  • PDF

한강하구에서 조석주기에 따른 웅어속 자치어의 출현량 변동 (Change in Abundance of Coilia spp. Larvae by the Tidal Cycle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김지혜;송태윤;김병기;김병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2-199
    • /
    • 2016
  • 조류에 의한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매우 큰 한강 하구역의 대표적인 석모수로와 염하수로에서 2007년 8월과 2008년 8월에 연속 관측을 통해 조석주기에 따른 소하성 어종인 웅어속 자치어의 출현량을 조사하였다. 조석주기에 따른 환경측정 결과, $1^{\circ}C$ 미만의 수온차를 보였고, 염분은 창조 시 최고 15.1 psu, 낙조 시 최저 0.8 psu로 조석에 따른 염분차가 컸다. 웅어속 자치어는 창조 시보다 낙조 시 높은 출현량을 보였다 (p<0.05). 이는 소하성 어종인 웅어속 자치어가 한강 상류 또는 중류에서 부화한 후, 보육장인 하구역에 정착하기 위해 수평이동 선택적 조수흐름 (STST)으로 낙조류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낙조 시 13.6 mm 이상의 유영력이 향상된 개체일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해양(조수환경) 사립퇴적물의 이동기작에 관한 연구 - 한국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 해역 - (Sandy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on Tidal Sand Bodies, West Coast of Korea)

  • Yong Ahn Park;Hyo Jin Kang;Y.I. Song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45
    • /
    • 1991
  • 조류가 강한 만경강-동진강 부근의 연안역에는 많은 사주들이 잘 발달하여 있다. 그 중 한 사주에서 측정된 조류는 그 최대유속이 밀물과 절물 사이에 심한 비대칭 현상을 나타낸다. 사주의 남쪽 측면에서는 밀물이 우세하고 북쪽 측면에서는 썰물이 우세한 이러한 비대칭성은 대조시 유속이 강할 때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또한 남쪽의 밀물 우세 현상은 북쪽의 썰물 우세 현상 보다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사주는 전체적으로 밀물에 의하여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모래로 이루어진 이 지역의 해저 퇴적물들은 대부분 조류에 의해 밑짐으로 이동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류의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모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순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모래의 순 이동은 남쪽에서는 해안쪽으로 북쪽에서는 외해쪽으로 이동하여 바닥의 모래는 사주를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양상을 띄게 될 것이며 전체적으로는 강한 밀물의 영향으로 사주가 해안쪽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사주의 남쪽부분의 형태가 불규칙적이고 V자 모양을 나타내는 것도 이러한 강한 밀물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수영만의 해수순환 및 확산에 관한 수치모델링 (Numerical Modelling on Hydrodynamics and Diffusion in Suyeong Bay)

  • 정연철;여석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43
    • /
    • 1992
  • The water-quality control for coastal waters is continuously required in view poi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hydrodynamic process and the dispersion phenomena of several pollutants in Suyeong Bay, Pusan. The present study employs the depth-averaged 2-dimensional model for nemerical simulation of the hydrodynamics and diffusion. The nemerical solution is obtained by ADI(Altenating Direction Implicit) scheme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tidal current and diffusion computations in the coastal zone. To verify the nunlerical results, the field observations of various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COD, SS and nutrients were performed during the spring tid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puted tidal currents show the clockwise flows for ebb tide and counter-clockwise flows for flood tide. In comparison with the water-qualities in ebb tide and flood tide, there seems to be slightly deteriorated in ebb tide and especially near the estuary of Suyeong River. In flood tide, however, the water-quality near Kwangan Beach is deteriorated. The computed distributions of COD and SS are in g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ones, while those of $PO_4\;^{3-}-P\;and\;NO_3\;^--N$ show slight differences due to the complex transformation processes.

  • PDF

여자만 서수도 해역의 조류 및 조석평균류 특성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and mean flow at the west channel of Yeoja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 추효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3호
    • /
    • pp.252-263
    • /
    • 2019
  •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dal current and mean flow at the west channel of Yeoja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numerical model experiments and vortic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currents flow north at flood and south at ebb respectively and have the reversing form in the west channel. Topographical eddies are found in the surroundings of Dunbyong Island in the east of the channel. The flood currents flow from the waters near Naro Islands through the west channel and the coastal waters near Geumo Islands through the east channel. The ebb currents from the Yeoja Bay flow out along the west and the east channels separately. The south of Nang Island have weak flows because the island is located in the rear of main tidal stream. Currents are converged at ebb and diverged at flood in the northwest of Jeokgum Island. Tidal current ellipses show reversing form in the west channel but a kind of rotational form in the east channel. As the results of tide induced mean flows, cyclonic and anticyclonic topographical eddies at the northern tip but eddies with opposite spin at the southern tip are found in the west channel of Yeoja Bay. The topographical eddies around the islands and narrow channels are created from the vorticity formed at the land shore by the friction between tidal currents and the west channel.

蟾津江 河口 干潟地 水質의 年間變化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tuary Water in Guang Yang Inlet from Mar. 1961 to Feb. 1962)

  • 원종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6-197
    • /
    • 1962
  •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estuarine water at a definite station of the tidal flat in Guang Yang inlet have been determined for two days a month. The range and mean of the annual variations are as follows:Tidal variations through a year are as follows:1. Although the tidal value of pH is almost constant during one tidal cycle, it raises abruptly 0.1-0.2 intervals of pH value during the first period of flood.2. The lower values of chlorinity, magnesium and calcium contents have been determined the nearer the slack after ebb, and slightly higher during the first period of flood tide than the last of ebb. The tidal change of calcium contents is more remarkable than of magnesium.3. The higher per cent saturation values of dissolved oxygen, sometimes higher than 100 per cent, re determined the nearer the slack after ebb.4. The total nitrogen contents, relatively poor, varies accidentally during one tidal cycle, whereas phosphate-P and silicate-Si are rich at the slack after ebb and increase proportionally to the mixing percentage of fresh water. The average values, 52.2 and 18.5 of Si/P and N/P are greater than of the normal.5. The acid soluble iron contents, lower in winter than in summer, is also varies accidentally during one tidal cycle and the magnitude of the variation is large.6. The chemical composition considered from the value of Ca/Cl or Mg/Cl of estuarine water varies according to the chlorinity even at the high chlorinity of 18-19%.

  • PDF

여수 해만을 통한 광양만의 부유퇴적물 수지균형 (Suspended Sediment Budget in Gwangyang Bay through the Yeosu Sound)

  • 김대철;강효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1991
  • 여수해만 광양만 입구의 조류 및 부유 퇴적물 함량 분석을 통하여 광양만 내의 부유 퇴적물 수지 균형을 조사하였다. 만 입구의 부유 퇴적물 함량은 바닥이 평균 약 17.80mg/l로 표층의 평균 약 4.75mg/l에 비해 상당히 높으며, 조류도 표층 부근에서는 썰물이 강하나 저층에서는 오히려 밀물이 강하여 유속의 비대칭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저층의 높은 부유 퇴적물 함량과 밀물우세 조류로 인하여 이 지역의 부유 퇴적물 이동은 저층을 통한 이동이 큰 중요성을 갖으며, 따라서 광양만의 내부 특히 서쪽 부분은 전체적으로 세립 퇴적물의 순수 퇴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류에 의한 세립 퇴적물의 순수 유입량은 약 $5.66\times10^8g/day$로 계산되며, 이 순수 유입량이 만의 서부에 퇴적된다면 그 퇴적율은 약 1.15m/1,000years 정도가 될 것이다.

  • PDF

온산공단 부근의 해양오염물질 이동 (TRANSPORT AND DIFFUSION OF POLLUTANTS IN THE COASTAL WATERS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장선덕;이종섭;한경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1-162
    • /
    • 1980
  • 온산만내에서는 대조시 조류가 우세한 편이지만 (0.1 kt), 소조시의 표층류는 매우 불규칙하며(0.07 kt), 취송류와 지형성 소용돌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대조시 만북부에서는 썰물 때 동류하고 밀물 때 서류한다. 만남부에서는 밀물은 서북서류하고 철물은 동북동류이다. 만외에서는 조류가 우세하여 밀물 때 남-남남서류하고 썰물 때 북-북북동류한다. 최대유속은 $1\~1.1kt$로 관측되었다. 소조시의 항류는 북북동 14.3cm/sec였다. 우봉갑 남쪽 만입부에는 밀물갈때나 썰물갈 때 지름 약 1km미만의 시계방향 소용돌이가 존재하여 해수의 정체성이 비교적 강한편이다. 겨울의 취송류는 대체로 남류하며 최대유속은 약 0.1kt에 달한다. 온산만내에서 점원방출한 염료는 바람에 의해 변형되면서 주로 조류에 따라 만구쪽으로 이동, 분산하였고, 방출 3시간후의 평균확산계수는 $4.4\times10^4cm^2/sec$ 였다. 만외 만입부 시계방향의 환류내에서는 이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광양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The Circulation in Kwang Yang Bay)

  • 윤갑동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2권1호
    • /
    • pp.19-24
    • /
    • 1976
  • A series of physical oceanographic investigations of the circulation in the Kwang Bay' were carried out seven times from May 1974 to May 1975 every other month. The average water transports through the southern entrance of the' Kwang Yang Bay were approximately $1,014{\times}I0^6m^3$/half-tide in ebb current and $278{\times}10^6m^3$$405.6{\times}I0^6m^34/half-tide in ebb current, and $282{\times}10^6m^3 $/half-tide in flood current, at the maximum current intensity. The water from Seomjin River flows into the bay at an annual average rate of $84{\times}I0^6m^3$/half-tide, the rate being fluctuated from month to month from $6.0\times}10^6m^3 $to $11. 5{\times}I0^6m^3 $per half-tide.

  • PDF

진해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Study on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 이종화;봉종헌;한상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19-30
    • /
    • 1974
  • 1. 진해만의 해수유동은 조석에 수반되는 왕복성조류형으로서 반일주조류가 우세하며 표,중저층 공히 유사한 Pattern을 나타낸다. 2. 진해만의 낙조류는 만조시와 거의 같은 시각을 전후해서 시작되어 만조후 3시 전후에 최강류가 되며 그 주류의 최강유속은 약 100cm/sec로, 남동방향으로 흐른다. 3. 진해만의 창조류는 간조전 0.2-1.0시 사이에 시작하여 간조후 3-4시경에 최강류가 되며 최강유속은 70cm/sec로 북서방향으로 흐른다. 4. 진해만의 낙조류는 전반적으로 창조류보다 우세하다. 5. 가덕도 서안측의 창조류는 북류하고 낙조류는 남류내지 남동류를 보이며, 가덕도 북방 견마도 이서해역의 창조류는 북동내지 동류를, 낙조류는 남서류를 이루는데 이들 해역에서는 창조류가 더 우세하다. 6. 가덕도 이북해역의 견마도 부근해역을 중심으로 그 이동 및 이서해역의 유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7. 진해만의 항류는 매우 미약하여 7cm/sec미만의 유속으로 대체적인 동향류를 보인다 8. 진해만의 각해역에서 1/2조석주기(Half a tidal period) 약 6시간동안 해수유동 최대거리의 계산치는 5-14km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