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 island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8초

Nature-based Tourism in Small Islands Adjacent to Jakarta City, Indonesia: A case study from Seribu Islands

  • Hakim, Luchman;Hong, Sun-Kee;Kim, Jae-Eun;Nakagoshi, Nobukazu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46
    • /
    • 2007
  • In this paper, the nature-based tourism is described as one of the tool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small islands.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Ayer, Bidadari and Onrust Islands of Kepulauan Seribu chains at Jakarta Bay, Indonesia. While the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previous uses of such islands have started at sixteen century, tourism uses was started at the beginning of 1970s. Among nature-based tourism destination in Kepulauan Seribu chains, these islands are the famous destinations and received a lot of tourists. Tourism growth at these islands has stimulated development of numerous tourism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to meet visitor satisfaction. It is observed in this study that island's site-plan destination design has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and sustainability of tourism in small island. The key success lies on the successful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ree substantial perspectives into practices, namely economic, ecosystem and social perspectives. First, in order to enhance economic benefits, a site-plan design allowing floating cottages establishment to extent room availability, to build strong images as tropical paradise islands, and to enhance tourist satisfaction with the objectives of improving income and sustaining tourist loyalty to the destination. This design is also reducing land risk from tourism impact and it becomes the significant key of second perspective, the ecosystem perspective. Moreover, the ecosystem perspective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native vegetation preservation that led island's wildlife conservation and became potential tourism attraction. The design also develops effective mechanism to manage and regulate visitor flows by establishing visitor track corridors. In implementation, such corridor plays an important role to reduce tourist density in single places and therefore become instrument to reduce severe visitor impact to wildlife, vegetation and heritages of islands. Third, the social aspect of development allowing heritages to conserve and furthermore serve numerous benefits for education, socio-political, culture, and historical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success of these islands to continuous tourism growth lies on the island's vision to integrate economic, ecosystem and social perspectives on tourism development.

  • PDF

제주도 사계연안 어란의 분자동정과 격월별 출현양상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Bimonthly Abundance of Fish Egg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 Jejudo Island)

  • 한송헌;김맹진;김준상;송춘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29-836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loating fish eggs to determine the timing and location of spawning of fish inhabiting the coastal waters of Sagye, Jejudo Island. Eggs were collected with a Bongo net bimonthly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Identifications were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Eggs were determined to belong to 43 distinct taxa, 35 of which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The assemblage spanned eight orders, 23 families, and 32 genera. The number of taxa collected varied from month to month, with 14 taxa (12 species) found in June 2009, 11 taxa (10 species) in October 2009, 10 taxa (nine species) each in August 2009 and February 2010, eight taxa (six species) in April 2009, and five taxa (four species) in December 2009. Five abundant species (Branchiostegu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Pseudolabrus sieboldi, Goniistius zonatus, and Halichoeres tenuispinis) together represented 52.8% of the total number of eggs collected during the study.

연안어장의 부유성 폐기물 분포와 조성에 관한 연구 I . 남해 동부해역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Coast of Korea I. Southeastern Sea)

  • 김종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3호
    • /
    • pp.287-293
    • /
    • 1998
  • Floating debris was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1 Kwarnksa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about 10 knots speed during March, May and July of 1997. The area sampled is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divided into 40 unit segments on survey route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using the following ; man-made or natural wood items, paper, cardboard, nylon rope, netting, styrofoam and plastics, floating metal and glass containers. All identified items within a $100\;{\pm}\;2\;m$ wide band were recorded but ignored if beyond this boundary.The results of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area as follows:1. The quantities of debris during the duration of survey were distributed from 2~605 items per km2. The most obvious trend is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all debris. 2. The highest densities of all debris were discovered in the coastal waters of Seoimal lighthouse, the southeastern part of Koje island, next near Nakdong estuaries. Especially styrofoam & plastics were observed in 77.4~87.2% of sampled area, next is wood items, 9.1~ 13.5%. And nylon netting & rope, 3.6%, was the third item of pollutant. Others are very small. 3. Compared with the East Coat of Korea, the quantities of all debus in theSoutheastern Sea are 6 times as large as the East Coast. The survey provides a basis for more detailed survey work in the South Sea. Further surveys are being investigated, and from this it is hoped that a much wider coverage can be achieved, perhaps on all sites of the Coast of Korea and contributed to the removal method, finding of sources, stationary area of debris.

  • PDF

농업용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한 오염물질 침강지 조성 기법 (Pract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Detention Pond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 배요섭;남귀숙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9-86
    • /
    • 2008
  • 전형적인 농촌유역을 가지는 충남 아산시 마산저수지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다량의 점,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어 과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농업용 저수지이다. 주요 유입하천인 황산천과 초사천의 수질('05년~'06년)은 TN과 TP 등 영양염류와 유기물의 농도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산저수지의 수질은 COD가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조립식의 오염물질 침강장치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침강시설의 평균 정화효율은 부유물질(SS) 55.7%, 총질소(TN) 61.0%, 총인(TP) 55.9%로 장정렬등(2004)이 제시한 부댐형 침강지의 정화효율에 비해 안정적으로 높은 효율을 보였을 뿐 만 아니라 저비용으로 높은 수질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서 저수지 수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산광역시 해안 무인도서의 보전(保全)과 활용 (Preservation and Utilitization of Uninhabited Isle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항묵;유제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475-486
    • /
    • 2009
  • 목도의 지질조사가 한국 역사상 이번에 처음으로 수행되었다. 목도가 중생대 말기 약$7,000{\sim}8,000$만년 전에 성층화산으로 분출하여 화산원형이 개석됨으로서 현재는 Planeze 단계를 지나 골격단계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추후에 정밀조사를 한다면 분화구 자리도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목도에는 50m고도에 해성단구면이 있다. 이는 제4단구면에 대비되고 홍적세 후기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도의 해안에 발달한 해안의 미지형으로는 해안단구, 해식애, 해식동, 파식대, 해안석주, 낭식장, 타포니(풍화혈) 등이 발견되었다. 목도는 산경도(山徑圖)에 표시되어 있는 낙동정맥의 남방 연장선 위 몰운대 앞바다에 위치하며 "물에 뜬 거북이"형국(부해금귀형(浮海金龜形)) 혹은 "물에서 나오고 있는 거북이"형국(출수금귀형(出水金龜形))이다. 목도의 도서명은 그 정체성을 위하여 "유구도"(游龜島) "남구도"(南龜島) "회구도"(廻龜島)중에서 선택하여 개칭할 필요가 있다. 목도는 부산의 관광수요를 위한 새로운 관광명소로 발전, 개발되는데 필요한 관광자연배경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 무인도서가 분산의 등대섬, 그리고 유,무인도서라 연계하여 해양관광을 개발한다면 새로운 관광지로서 행양수도발전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목도의 주변해역에 해양수족관과 해초정원을 조성하고 수목원을 조성하며 기타 해양문화공간조성의 종합기본계획이 이 연구에서 완성되었다.

  • PDF

낙동강 유출 부유쓰레기의 거동 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Spilled from the Nakdong River)

  • 장선웅;김대현;정용현;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7-136
    • /
    • 2014
  • 낙동강은 하구의 수문 개방 시 연간 수천 톤의 쓰레기가 남해로 유입되어 인근 연안을 이동하며 사회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낙동강 유출 부유쓰레기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 장마, 태풍 내습 시를 대상으로 피해지로 추정되는 거제도 북동측 해안 1개소에 대한 조사와 부이를 활용한 이동 경로 추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양기상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부유쓰레기의 이동과 관련된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장마 시기인 7월 16일 초목류를 비롯한 총 40톤 정도의 쓰레기가 흥남해수욕장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9월 14일 태풍 '산바' 내습 시기에 투하된 위치 추적 부이는 가덕도 남쪽 해상을 지나 1 ~ 2일 후 거제도 해안가로 유입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부유쓰레기와 위치 추적 부이가 거제도 북동측 해안가로 유입될 당시 거제 해역에서 북동풍계열의 풍향이 지배적이었으며 연안으로 유입되는 공통적인 해수 표층 흐름이 나타났다.

First-mile과 Last-mile을 고려한 자유 주차방식(Free-floating)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 및 운영대수 결정 (Determination of Service Areas and Operating Numbers for Free-floating Personal Mobility Sharing Services)

  • 한상욱;김동규;문세동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06-118
    • /
    • 2024
  •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관심은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first-mile 및 last-mile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본 연구는 first-mile 및 last-mil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유 주차방식(free-floating)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 설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선정된 공유 서비스 권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개인형 이동장치 운영 대수 결정을 목표로 한다. 인구 데이터, 스마트 카드 데이터, 건물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개인형 이동장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령별, 거리별 이용률을 반영하여 잠재수요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잠재수요와 함께 대중교통 정류장과 건물의 위치를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을 설정하였다. 인천 영종도를 대상지로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거주지가 밀집된 지역과 여행객들이 많은 해변 근처가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으로 선정되었다. 거주지가 밀집된 서비스 권역의 개인형 이동장치 운영대수는 1,022대, 해변 근처 서비스 권역의 개인형 이동장치 운영대수는 269대로 결정되었다.

수질정화를 위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Floating Wetland Island for Improving Water Quality)

  • 윤영한;임현만;김원재;정진홍;박재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21-230
    • /
    • 2016
  • 유속이 낮은 정체수역에 대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 인공식물섬 운영기술에 다양한 요소기술을 도입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을 개발하였고 개발기술에 대한 성능검증을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하천에서 여름철과 겨울철 동안에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의 다기능 인공식물섬은 수질정화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정수식물 기반의 식생여과 공정 위주의 일반 인공식물섬 기술에 미세기포 공정과 인공여재에 의한 인 흡착/여과 공정을 추가하여 운영하였다. 개발기술에 대한 계절에 따른 오염물질 (COD, T-P) 제거율 변화로부터 오염부하가 낮은 겨울철 (15.9%, 20.0%)보다는 부하가 높은 여름철 (40.9%, 45.7%)에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별 제거율 (SS, Chl-a)에서는 미세기포 공정은 여름철 (33.1%, 39.2%)에, 인 흡착/여과 인공여재 및 식생여과 공정은 겨울철 (76.5%, 59.5%)에 높은 제거효율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정화능은 계절별 변화 또는 오염부하 정도에 따라서 적용 기술별로 제거능을 나타내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인공식물섬 주변의 생태변화 분석결과, 식물섬 저부에 미세기포의 공급으로 용존산소가 증가됨으로써 혐기화에 의한 물질환원 현상을 방지하고 수류순환을 유도하여 친환경적인 새로운 수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다기능 인공식물섬에 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이 개선되고 다양한 동식물의 성장으로 정체수역 저부의 물질순환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the incoherent earthquake motion on responses of seismically isolated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

  • Ahmed, Kaiser;Kim, Dookie;Lee, Sang H.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4권1호
    • /
    • pp.33-44
    • /
    • 2018
  • Base-isolated nuclear power plant (BI-NPP) structures are founded on expanded basemat as a flexible floating nuclear island, are still lacking the recommendation of the consideration of incoherent motion effect. The effect of incoherent earthquake motion on the seismic response of BI-NPP structure has been investigated herein. The incoherency of the ground motions is applied by using an isotropic frequency-dependent spatial correlation function to perform the conditional simulation of the reference design spectrum compatible ground motion in time domain. Time history analysis of two structural models with 486 and 5 equivalent lead plug rubber bearing (LRB) base-isolators have been done under uniform excitation and multiple point excitation. two different cases have been considered: 1) Incoherent motion generated for soft soil and 2) Incoherent motion generated for hard rock soil. The results show that the incoherent motions reduce acceleration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responses and the reduction is noticeable at soft soil site and higher frequencies.

플로팅 인공섬을 이용한 해양리조트계획 연구 (A Study on the Ocean Resort Planning Using Floating Island)

  • 이한석;송화철;조형장;강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7-188
    • /
    • 2010
  • 플로팅 아일랜드 리조트 조성을 위한 자연환경 및 인프라시설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부산은 플로팅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로팅 아일랜드 리조트 조성을 위한 전제조건과 대상지 선정을 위한 6가지 고려사항들을 통해 후보지를 선정하고 각 후보지에 적합한 시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성 후보지에 플로팅 인공섬 리조트 기본계획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