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xure

검색결과 839건 처리시간 0.031초

주철근 겹침이음 및 형상비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거동 분석 (Seismic Performance Analysis of RC Piers with Lap-spliced Reinforced Steel and Differentiated Aspect Ratios)

  • 조창백;신호진;곽임종;정영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1-53
    • /
    • 2012
  • 국내외 교량의 내진성능 평가관련 연구들을 조사,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휨 거동 교각의 내진성능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이루어졌으나, 국내에 상당수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된 휨-전단 교각에 대해서는 연구실적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휨-전단 복합거동이 예측되는 형상비 2.67과 전단거동이 예측되는 형상비 2.25의 실물크기 실험체 및 형상비 2.67의 축소모형 실험체를 제작하여 준정적 내진성능 실험을 실시하였으 며, 주철근의 겹침이음과, 형상비 변화에 따른 파괴거동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휨-전단거동이 예상되는 형상비 부근의 교각은 형상비와 철근상세 변화에 따라 파괴거동 특성이 휨-전단 파괴에서 전단 파괴 또는 휨 파괴, 그리고 주철근 부착파괴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들로부터 비내진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대한 항복변위 및 극한변위 산정식을 제안하여 실험을 실시하지 않고도 실제 비내진 교각의 내진성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추후 비내진으로 분류되는 실제 교량의 내진성능 조사 및 보수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필로티 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요구내력 스펙트럼 (Required Strength Spectrum of Low-Rise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Buildings with Pilotis)

  • 이강석;오재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61-6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하부층에 필로티 구조, 상부층에 전단벽식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비선형 지진응답해석을 실시하여 각 층의 내력과 연성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이것들의 비율이 건물 전체의 내진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로티 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특성을 2질점계로 치환하였으며, 하부층인 필로티 구조는 휨파괴형으로 상부층인 전단벽식 구조는 전단파괴형 시스템으로 각각 모델링하였다. 또한 각층의 복원력 특성으로는 필로티 구조는 Degrading Trilinear Model(휨파괴형), 상부층은 Origin Oriented Model(전단파괴형)을 선정하였다. 상기 복원력 특성은 각 층의 보유내력에 의하여 변화를 하며, 지진응답해석용 입력지진파로는 8개의 피해지진의 가속도 성분을 선정하여 이들 가속도 성분의 최대가속도를 0.1g, 0.2g, 0.3g로 표준화 하였다. 각각 지진강도수준에 따라 지진 응답해석을 실시하여 하부층 필로티 구조와 상부층 전단벽식 구조의 내력비와 응답 연성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특정 연성율을 위한 필로티 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요구내력을 산정하여 요구내력 스펙트럼(Required Strength Spectrum)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구내력스펙트럼은 특정 지역에서 요구하는 지진수준에 대하여 지진발생시 특정 연성율 이내로 머물게 하는 하한내력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등, 연구결과는 필로티 구조를 가진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설계의 기본적인 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flexural behaviour of HSS stud connect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s

  • Prakash, Amar;Anandavalli, N.;Madheswaran, C.K.;Lakshmanan, 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3권3호
    • /
    • pp.239-258
    • /
    • 2012
  • In this paper,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high strength steel (HSS) stud connected steel-concrete composite (SCC) girder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hear connector density on their flexural behaviour is presented. SCC girder specimens were designed for three different shear capacities (100%, 85%, and 70%), by varying the number of stud connectors in the shear span. Three SCC girder specimens were tested under monotonic/quasi-static loading, while three similar girder specimens were subjected to non-reversal cyclic loading under simply supported end conditions. Details of casting the specimens, experimental set-up, and method of testing, instrumentation for the measurement of deflection, interface-slip and strain are discussed. It is found that SCC girder specimen designed for full shear capacity exhibits interface slip for loads beyond 25% of the ultimate load capacity. Specimens with lesser degree of shear connection show lower values of load at initiation of slip. Very good ductility is exhibited by all the HSS stud connected SCC girder specimens. It is observed that the ultimate moment of resistance as well as ductility gets reduced for HSS stud connected SCC girder with reduction in stud shear connector density. Efficiency factor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high strength stud connectors in resisting interface forces is estimated to be 0.8 from the analysis. Failure mode is primarily flexure with fracturing of stud connectors and characterised by flexural cracking and crushing of concrete at top in the pure bending region. Local buckling in the top flange of steel beam was also observed at the loads near to failure, which is influenced by spacing of studs and top flange thickness of rolled steel section. One of the recommendations is that the ultimate load capacity can be limited to 1.5 times the plastic moment capacity of the section such that the post peak load reduction is kept within limits. Load-deflection behaviour for monotonic tests compared well with the envelope of load-deflection curves for cyclic tests. It is concluded from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that use of HSS studs will reduce their numbers for given loading, which is advantageous in case of long spans. Buckling of top flange of rolled section is observed at failure stage. Provision of lips in the top flange is suggested to avoid this buckling. This is possible in case of longer spans, where normally built-up sections are used.

비귀금속 합금에 적용한 Au Based Bonding Agent가 금속-도재 결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Au Based Bonding Agent Coating on Non-Precious Metals-Ceramic Bond Strength)

  • 이정환;안재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5-412
    • /
    • 2009
  • 본 연구는 도재소부용 비귀금속에 Au 코팅 층을 형성하고, Au 코팅 층이 금속-도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출 굴곡 시험 후에 SEM/EDS 방법으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1. Ni-Cr ally 군과 Co-Cr alloy 군, 그리고 Ti 군의 절단면 시편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Au 코팅 층은 산화층의 확산을 제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2축 굴곡 시험 후에 EDS 분석 결과 Ni-Cr alloy 군과 Co-Cr alloy 군에서 Si 함량은 Au 코팅 층을 형성한 시편에서 약간 감소하였고, 결합실패의 형태는 cohesive failure와 adhesive failure가 혼재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3. Ni-Cr alloy 군과 Co-Cr alloy 군에서 Au 코팅 층은 도재-금속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4. Ti 군의 결합실패 형태는 Ni-Cr alloy 군과 Co-Cr alloy 군에 비해서 adhesive failure 양상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고, Au 코팅 층은 도재-금속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비귀금속에 적용한 Au 코팅은 산화층의 확산을 제어 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으나, 금속-도재 간의 결합력 증징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Au 코팅을 이용하여 금속-도재 간의 결합력 증진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IRIS EOC 주경의 광기계 해석 (Opto-mechanical Analysis for Primary Mirror of Earth Observation Camera of the MIRIS)

  • 박귀종;문봉곤;박성준;박영식;이대희;이창희;나자경;정웅섭;표정현;이덕행;남욱원;이승우;양순철;한원용
    • 한국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62-268
    • /
    • 2011
  •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 MIRIS)은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의 주탑재체이다. 지구관측카메라(Earth Observation Camera, EOC)는 MIRIS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적외선 카메라 중에 하나로, 지구의 $3{\sim}5{\mu}m$ 파장대의 적외선을 관측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EOC의 광학계는 카세그레인 방식으로써 구경이 100 mm이고, 주경과 부경은 모두 비구면 반사경이다. EOC 주경의 플렉서는 링 타입으로써 발사환경에서 주경이 겪을 수 있는 충격과 진동을 견디도록 예압을 가하며 주경을 지지한다. 이는 마치 리테이너로 렌즈를 지지하는 것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주경을 지지하기 위한 시도이다. 광기계 해석을 통해 EOC 주경이 효과적으로 지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A Case of Ischemic Colitis Associated with Paclitaxel Loaded Polymeric Micelle ($Genexol-PM^{(R)}$) Chemotherapy

  • Park, Choel-Kyu;Kang, Hyun-Wook;Kim, Tae-Ok;Ki, Ho-Seok;Kim, Eun-Young;Ban, Hee-Jung;Yoon, Byeong-Kab;Oh, In-Jae;Choi, Yoo-Deok;Kwon, Yong-Soo;Kim, Yoo-Il;Lim, Sung-Chul;Kim, Young-Chul;Kim, Kyu-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2호
    • /
    • pp.115-118
    • /
    • 2010
  • Paclitaxel has been widely used for treating many solid tumors. Although colonic toxicity is an unusual complication of paclitaxel-based chemotherapy, the reported toxicities include pseudomembranous colitis, neutropenic enterocolitis and on rare occasions ischemic colitis. $Genexol-PM^{(R)}$, which is a recently developed cremophor-free, polymeric micelle-formulated paclitaxel, has shown a more potent antitumor effect because it can increase the usual dose of paclitaxel due to that $Genexol-PM^{(R)}$ does not include the toxic cremophor compound. We report here on a case of a 57-year-old man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who developed ischemic colitis after chemotherapy with $Genexol-PM^{(R)}$ and cisplatin. He complained of hematochezia with abdominal pain on the left lower quadrant. Colonoscopy revealed diffuse mucosal hemorrhage and edema from the sigmoid colon to the splenic flexure. After bowel rest, he recovered from his symptoms and the follow-up colonoscopic findings showed that the mucosa was healing. Since then, he was treated with pemetrexed monotherapy instead of a paclitaxel compound and platinum.

보의 전단거동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스터럽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rete Strength on Stirrup Effectiveness in Shear Behavior of Concrete Beams)

  • 이영재;서원명;김진근;박찬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73-182
    • /
    • 1996
  •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스터럽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며이 $300{\times}600mm$ 인 수직 스터럽이 배근되지 않은 콘크리트 보 4개와 수직 스터럽이 배근된 콘크리트 보 20개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2종류(보통강도, 고강도)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준과 6종류의 전단철근비이다. 실험에 앞서 주어진 단면과 가정된 재료 상수에 대하여 ACI Building Code를 사용하여 휨파괴가 유발되는 전단철근비( ${\rho}_vACI$)를 산정하였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6종류의 전단철근비를 선택하였다. 실험결과, 스터럽이 배근되지 않은 콘크리트 보에 있어서 ACI 전단강도식의 안전율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터럽이 많이 배근된 고강도 콘크리트 보에서는 보통강도 콘크리트 보 이상의 안전율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나 스터럽 유효성은 고강도 콘크리트 보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휨 항복형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경계요소설계를 위한 변위연성비 모델제시 (Design Approach for Boundary Element of Flexure-Governed RC Slender Shear Walls Based on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 문주현;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687-69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경계요소의 연성설계를 위한 변위연성비모델을 제시하였다. 부재의 길이에 따른 곡률과 자유단에서의 변위를 산정하기 위한 전단벽의 단면의 변형률 및 내부힘들의 분포는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 변형률 적합조건 및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이상화하였다. 경계요소내의 횡보강근에 의한 구속효과는 Razvi and Saatcioglu에 의해 제시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고려하였다. 항복시 및 최대내력 이후 최대모멘트 80%에서의 곡률은 등가소성 힌지길이 개념을 도입하여 변위값으로 환산하였다. 일반화된 변위연성비의 모델은 다양한 범위에서 수행된 변수연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들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단순식으로 정립되었다. 제시된 단순모델은 실험결과 대비 평균,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가 각각 1.05, 0.19 및 0.18로 대부분의 실험결과의 경향을 잘 예측하였다. 따라서 제시된 모델은 경계요소에서 소요연성비에 따른 횡보강근의 상세를 결정하는데 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레진전장관의 금속면 처리방법 레진과 금속간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TAL SURFACE TREATMENT ON BOND STRENGTH BETWEEN RESIN AND METAL INTERFACE OF RESIN VENEERED CROWN)

  • 최낙준;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1-48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s on veneering resin to metal bond for Ni-Cr alloy. The metal surfaces were treated as follows, Group 1 : Ground with carborudum point and followed by silicoating Group 2 : Sandblasted with $50{\mu}m$ aluminum oxide and followed by silicoating Group 3. Sandblasted with $250{\mu}m$ aluminum oxide and followed by silicoating Group 4 : Beaded with $200{\mu}m$ retention structures and followed by silicoating Group 5 : Silicoated in as cast condition Group 6. Beaded with $200{\mu}m$ retention structures only All specimens were veneered with resin. Each group was consisted of 20 specimens. 10 specimens were storaged in $37^{\circ}C$ water for 3 days and the rest 10 specimens were thermocycled 1000 times at temperature of $5^{\circ}C\;to\;55^{\circ}C$. The effect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s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resin and metal interface were studied by means of four-point flexure test. The specimens which bad been ground with carborundum point. sandblasted with $50{\mu}m$ and $250{\mu}m$ aluminum oxide. beaded with $200{\mu}m$ retention structures and not been treated were observed with 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bond strength of groups 2, 3, 4 and 6 were higher than the that of groups 1 and 5 (p<0.05) in the case of being storaged in $37^{\circ}C$ water for 3 da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among groups 2, 3, 4 and 6. and between groups 1 and 5 (p>0.05). 2. The bond strength of the case of being thermocycled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s : groups 2, group 4, group 3, group 6, group 1, group 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among groups 2, 3 and 4, between groups 1 and 5 (p>0.05). 3. A statistical difference in bond strength of each group between storaged and being thermocycled was demonstrated for group 5 (p<0.05). 4. The treated surfaces of groups 2, 3 and 4 had more fine undercut than that of groups 1 and 5 with SEM.

  • PDF

전단변형 효과가 고려된 보-기둥 섬유유한요소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탄성 거동특성 평가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Inelastic Behavior Characteristics using Beam-column Fiber Finite Element considering Shear Deformation Effect)

  • 천주현;황철성;박광민;신현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30-1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자 등에 의해 수행된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섬유요소에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부터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된 정식화 방안과 단면에 대한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새로이 제안함으로써 전단 및 휨 - 전단파괴 양상을 나타내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실험변수들이 전단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두 종방향 철근의 항복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설계된 총 6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검증 대상으로 저자 등에 의해 새로이 수정된 구성관계식을 적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통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체에 대한 파괴모드와 파괴시까지의 전반적인 거동 특성을 비교적 적절히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전체 구조물에 대한 신뢰도 높은 해석을 수행하기 3차원 해석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