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xure

검색결과 839건 처리시간 0.038초

MGF 표면처리에 따른 p-DCPD 복합재료의 계면 및 기계적 특성 연구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GF Reinforced p-DCPD Composites with Surface Treatments)

  • 권동준;신평수;김종현;하중찬;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282-287
    • /
    • 2016
  • p-DCPD 수지는 내부 모노머와 촉매의 조절을 통해 다양한 기계적 특성 변화가 가능한 수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몰리브덴(Mo) 촉매를 사용한 p-DCPD 기지에 여러 가지로 표면처리된 MGF(milled glass fiber)를 강화제로 제조된 MGF/p-DCPD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최적의 표면처리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표면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MGF의 응집은 커졌다. 0.2 wt% 사일렌 농도를 사용할 경우 MGF의 응집을 최소로 하고 최대의 MGF/p-DCPD 복합재료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MGF간 입체장애 효과로 응집을 최소화하는 최적 길이인 부틸 알킬체인 사일렌을 사용했을 경우, 큰 인장 및 굽힘강도를 나타내었다. 4가지 화학적 작용기의 차이에 따른 MGF/p-DCPD의 기계적 물성 및 그 파단면을 비교하였다. 노보넨기의 경우, 기지인 DCPD 수지와 화학적 구조가 유사하여, DCPD 수지와 MGF 강화제 간의 계면 물성을 증대시켰다.

비수술적 처치가 시행된 장중첩증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Intussusception by Non-operative Management)

  • 한동현;정기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5-11
    • /
    • 2007
  • 장중첩증은 2세 이하의 소아, 특히 남자 환아의 장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2005년 6월 1일부터 2007년 5월 31일까지 만 2년 동안 응급실로 내원하여 소아 복부 초음파를 통해 장중첩증으로 진단을 받고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한 환아 54명에 대해 임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별 분포는 13~24개월 사이가 40.7%였고, 성별분포는 남아가 72.2%, 여아가 27.8%로 남녀의 비는 2.6:1이었다. 2) 임상증상은 복통 및 보챔(100.0%), 구토(66.7%), 설사(33.3%)등 이었고, 설사증상을 나타낸 환아에서 장중첩증 정복성공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액상 특성으로 백혈구수는 10,000~15,000개 사이가 29.6%였다. 3) 개인병원의 1차 진료 후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42.6%였고, 증상발현에서 처치까지의 소요시간은 6~12시간이 37.0%로 많았다. 4) 장중첩증의 유형은 회장-결장형이 98.1%였고, 장중첩증의 위치는 간만곡부가 68.5%였다. 5) 공기압정복술의 성공률은 88.0%였고, 바륨정복술은 86.2%였다(p>0.05).

  • PDF

Screening Colonoscopy from a Large Single Center of Thailand - Something Needs to be Changed?

  • Aswakul, Pitulak;Prachayakul, Varayu;Lohsiriwat, Varut;Bunyaarunnate, Thirapol;Kachintorn, Udo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361-1364
    • /
    • 2012
  • Background: Results of screening colonoscopy from Western countries reported adenoma detection rates (ADRs) of 30-40% while those from Asia had ADR as low as 10%. There have been limited data regarding screening colonoscopy in Thail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erefore to determine polyp and adenoma detection rates in Thai people,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detected during screening colonoscopy and to determine the endoscopic findings of the polyps which might have some impact on endoscopists to perform polypectomy. Materials &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electronic chart review of asymptomatic Thai adults who underwent screening colonoscopy in our endoscopic center from June 2007 to October 2010.Results: A total of 1,594 cases were reviewed. The patients had an average age of $58.3{\pm}10.5$ years (range 27-82) and 55.5% were female. Most of the cases (83.8%) were handled by staff who were endoscopists. A total of 488 patients (30.6%) were reported to have colonic polyps. Left-sided colon was the most common site (45.1%), followed by right-sided colon (36.5%) and the rectum (18%). Those polyps were removed in 97.5% of cases and 88.5 % of the polyps were sent for histopathology (data lost 11.5%). Two hundred and sixty three cases had adenomatous polyps, accounting for 16.5 % ADR. Advanced adenomas were detected in 43 cases (2.6%). Hyperplastic polyps were mainly located distal to the splenic flexure of the colon whereas adenomas were found throughout the large intestine. Ten cases (0.6%) were found to have colorectal cancer. Four advanced adenomas and two malignant polyps were reported in lesions ${\leq}$ 5 mm. Conclusion: The polyp detection rate, adenoma detection rate, advanced adenoma detection rate and colorectal cancer detection rate in the screening colonoscopy of Thai adults were 30.9%, 16.5%, 2.6% and 0.6% respectively.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detect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polyps. Therefore, new technology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distinguishing polyps.

C형 및 H형 철근콘크리트 구조벽체의 2축 상호작용과 등하중법 (Biaxial Interaction and Load Contour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C- and H-shaped Structural Walls)

  • 남혜성;엄태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89-200
    • /
    • 2017
  • C형 및 H형 단면의 구조벽체는 고층 건물에서 횡력저항시스템으로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이형벽체는 축력과 함께 x축 및 y축에 대한 2방향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으므로, 안전한 벽체설계를 위해서는 휨-압축 상호작용을 정확히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칭단면을 갖는 기둥을 위하여 개발된 기존 등하중법을 수정하여, 2방향으로 재하된 C형 및 H형 벽체를 위한 근사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이형벽체에 대하여 2방향 모멘트강도를 계산할 수 있는 단면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한 변수연구를 통하여, C형 및 H형 이형벽체 단면에 대한 2축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형 및 H형 이형벽체의 2축 상호작용은 모멘트 방향과 압축력 크기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연구를 통하여 일정한 압축력에서 2축 모멘트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정규화된 컨투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무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컨투어 설계식을 사용한 이형벽체 설계절차와 설계예제를 제시하였다.

직접인장 및 간접인장 실험방법에 따른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부착강도 비교 고찰 (Comparative Study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Direct Tensile Test and Indirect Tensile Test for Bonded Concrete Overlay)

  • 김영규;이승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153-1163
    • /
    • 2013
  •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는 기존 콘크리트 포장과의 재료물성이 유사하여 적절한 유지보수 공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덧씌우기층과 기존 포장층이 완전부착을 통한 일체화 거동을 하여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장기 공용성을 위하여 적절한 부착강도 기준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착 특성이 부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덧씌우기 재료, 기존 포장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 변화, 기존 포장의 열화상태 등 다양한 부착조건에 대한 직접인장 및 간접인장 실험을 실시하여 도출되는 부착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직접인장실험에 의한 부착강도가 간접인장실험에 의한 부착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결정계수 0.75 및 P-value 0.002의 높은 부착강도 상관관계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하여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실제 현장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반복하중에 의한 부착 피로 특성 분석 시 직접인장 및 간접인장 실험의 상관관계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분절 아치 시공을 위한 선설치 앵커의 인발 강도 평가 (Pull-out Capacity of Cast-in-place Anchor for Construction of Precast Concrete Segment Arch)

  • 안진희;임홍재;방진수;전석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94-102
    • /
    • 202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장점과 및 석조 아치의 거동을 접목한 콘크리트 패널 분절 아치 시스템은 가설재가 불필요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 시공법이다. 분절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연속 배치로 구성된 아치는 인양 및 시공을 위한 V형-스트립 연결부의 선설치 앵커 설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좁은 폭과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 패널은 선설치 앵커의 충분한 묻힘 깊이 확보를 보장할 수 없고 앵커 인발 거동 시 패널의 휨변형을 동반하는 등 앵커 저항성능 확보를 위한 콘크리트 패널의 기하학적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패널과 강재 아웃리거로 구성된 아치구조의 제작시 설치되는 선설치 앵커의 인발 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아치 시스템과 동일한 크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하였으며, 선설 앵커의 직경, 앵커 묻힘 깊이, 와이어 매쉬 사용 등의 영향에 따라 총 24개 실험체의 선설치 앵커 인발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 변수에 따른 설계기준강도 확보 및 파괴 모드 평가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분절 아치 구조에 적용 가능한 선설치 앵커의 형태를 결정하였다.

성인 남자에서 대장경 검사로 확인된 하부대장 선종성 용종과 비만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Obesity and Left Colonic Adenomatous Polyps in Korean Adult Men)

  • 김창섭;정해관;정태흠;김문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4호
    • /
    • pp.415-419
    • /
    • 2005
  • Objectives : We wan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left colonic adenomatous polyps in Korean adult men.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575 adults men (aged between 40 and 69), who had colonoscopy done from January to December 2002 during a routine health examination at Health Promotion Center, Ulsan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colons were examined up to splenic flexure by using fiberoptic colonoscopy. A questionnaire survey on behavioral factors and physical measurements were also done. The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hip ratio (WHR) were used as the indices of obesity. The BMI was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normal ($BMI{\leq}22.9$), overweight ($23{\leq}BMI{\leq}24.9$), and obese ($BMI{\geq}25.0$). The WHR was categorized into four levels with cutoff points at the 30th, 60th, and 90th percentile of the control group. Age, education, smoking, alcohol use and exercise were controlled for by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99 cases of colonic adenomatous polyps. Four hundred seventy six subjects with normal colonoscopy findings served as the control. The BMI and WHR were associated with the adenomatous polyps (odds ratio, 1.81 [95% CI=1.02-3.19] for a $BMI{\geq}25.0$ as compared with a $BMI{\leq}22.9$, odds ratio, 3.94 [95% CI=1.77-8.77] for a $WHR{\geq}0.95$ as compared with a $WHR{\leq}0.86$). The BMI was not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denomatous polyps after additional adjustment was made for the WHR,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HR and adenomatous polyps was still positive and independent of the BMI (odds ratio, 4.15 [95% CI=1.63-10.59]). Conclusions : The results support that obesity, and particularly abdominal obesity, can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incurring colonic adenomatous polyps.

복합 트러스 교량의 연결구조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Joint Structures of Composite Truss Bridges)

  • 심창수;박재식;김광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03-312
    • /
    • 2007
  • 경간 40m~100m 정도 경간에 대해 일반적으로 강 박스 거더교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부구조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서 복합트러스 교량에서 복부의 콘크리트 웹 대신에 강 사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트러스 교량의 설계 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콘크리트 상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형태이다. 이러한 접합부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조합하중을 분담해야하는데, 아직 이러한 접합구조에 대한 명확한 설계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한계상태에서 격점부의 하중전달에 대한 명확한 연구와 설계방법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콘크리트 상 하부를 연결하는 격점부 사재는 다양한 연결형태가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거셋 플레이트에 용접되어진 그룹 스터드 연결재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25mm 절곡 스터드를 사용하여 수행된 전단실험을 통하여 현재의 스터드 간 최소기준 간격을 만족하는 상태에서는 현재의 설계 규정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휨-전단 실험을 통해서는 조합하중이 작용하는 격점부의 상세를 개선하였다. 격점부의 인발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절곡 스터드가 제안되었고 그룹 스터드의 최 외측 스터드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복합 트러스 교량의 개선된 격점부 상세가 개선되고 설계 방안이 제안되었다.

수종(樹種) 내화약제(耐火藥劑)로 처리(處理)된 합판(處理)의 기술적(技術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II) - 열판건조시(熱板乾燥時)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처리합판(處理合板)의 휨강도(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lywood treated with Several Fire-Retardant Chemicals(II) - Effect of Platen Temperature in Press Drying on the Static Bending Strength of Treated Plywood -)

  • 정우양;김종만;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12-18
    • /
    • 1984
  • 열판온도(熱板溫度)가 내화약제(耐火藥劑)로 처리(處理)된 합판(處理)의 재건조(再乾燥) 후(後) 곡강도(曲强度)에 미티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두께 3.5mm 메란티합판(合板)을 황산(黃酸)암모늄, 제1(第一)인산암모늄, 제2인산(第二燐酸)암모늄 그리고 혼합약제(混合藥劑)인 붕사(硼砂) 붕산(硼酸) 및 미나리스 등(等) 5종(種)의 내화제(耐火劑)의 20% 수용액(水溶液)에 9시간(時間)동안 침지처리(浸漬處理)한 다음, 각각(各各) 열판온도(熱板溫度) $90^{\circ}C$, $120^{\circ}C$$150^{\circ}C$를 적용(適用)한 단계별(段階別) 건조방식(乾燥方式)으로 건조(乾燥)하여 곡강도시험(曲强度試驗)을 행(行)하였다. 비례한계(比例限界)에서의 응력(應力), 탄성계수(彈性係數), 파괴계수(破壞係數) 및 비례한계(比例限界)까지의 단위체적당(單位體積當) 일 등(等)을 조사(調査)한 바, 수분처리대조구(水分處理對照區)의 경우, 열판온도(熱板溫度) $120^{\circ}C$까지 유지(維持)되던 강도(强度)가 $150^{\circ}C$에 이르러서는 현저한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나타내었으나, 내화약제처리합판(耐火藥劑處理合板)은 $150^{\circ}C$까지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상승(上昇)함에도 불구(不拘), 강도(强度)가 유지(維持)되었으며 일부 약제처리(藥劑處理)의 경우엔 오히려 증가(增加)하는 양상(樣相)도 보여주었다.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강도유지(强度維持)의 측면(側面)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열판건조온도(熱板乾燥溫度)는 $150^{\circ}C$ 였으며 내화약제중(耐火藥劑中) 보강효과(補强效果)가 가장 좋은 약제(藥劑)는 붕사(硼砂) 붕산(硼酸)이었다.

  • PDF

지진하중을 받는 주철근 겹침이음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곡률분석 (Experimental Curvature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Piers with Lap-Spliced Longitudinal Steels subjected to Seismic Loading)

  • 정영수;박창규;송희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1-49
    • /
    • 2006
  • 지난 1982년 우라카와 근해지진 및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등에 의하여 주철근이 겹침이음된 많은 교각들이 주철근 겹침이음부의 활동에 의한 휨-전단파괴를 발생하였음을 경험하였다.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은 소성힌지구간의 변형능력에 좌우되고 있으며, 이는 곡률연성도로서 평가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내진 설계가 도입된 이후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주철근겹침이음에 대한 규정이 없었으나, 2005년 도로교 설계기준에서 주철근겹침음을 50% 이내에서 허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단면 직경이 600 mm이고 형상비가 2.5 및 3.5인 주철근 겹침이음이 있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대하여 지진시 소성힌지부의 곡률분포 및 곡률연성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은 일정한 축력 $P=0.1f{ck}A_g$가 재하된 상태에서 변위제어 방식으로 준정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반복하중에 의한 주철근 겹침이음부에 활동이 발생하면, 주철근 겹침이음 구간 내의 곡률이 주철근 겹침이음이 없는 경우와 다르게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주철근 겹침이음 실험체의 겹침이음 구간 중의 하부 곡률은 주철근 겹침이음이 없는 실험체의 경우보다 큰 값을 보이고 있으며, 상부는 작은 값을 보였다. 이로 인하여 교각실험체의 손상은 겹침이음 구간의 하부에 집중되어 휨파괴되는 모습으로 보이는 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