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shy shrimp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8초

Comparison of maturation and secondary spawning of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fed different kinds of diets

  • Youngguk Jin;Yu-Hyeon Jeon;Sukyoung Kim;Eunha Jeong;Su-Kyoung Ki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619-625
    • /
    • 2022
  • The study carried out a 15-day feeding trial of the fleshy shrimp broodstock that have just finished their first spawn using five different maturation feed types (three types of manufactured feed, fresh feed, and commercial feed) to induce multiple spawning in the shrimp and then analyzed and compared hemolymph levels of total protein, total lipid, hemocyanin, glucose, and cholesterol as well as ovary histology between the treatments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experimental diets to be utilized as maturation feed. The study found that the manufactured diets of polychaetes + clam and polychaetes + clam + squid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lipid and protein in shrimp hemolymph suggesting an indicator of multiple spawning in the fleshy shrimp. The other manufactured diet of polychaets + squid led to the highest 2nd spawning with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ipid, protein, and cholesterol in shrimp hemolymph. The fresh feed treatment showed similar hematological as well as histological responses to the manufactured diet of polychaetes + squid, but with a significantly lower spawning volum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anufactured diets could replace fresh feed as maturation feed and attain a higher shrimp maturation than the commercial feed.

대하(Penaeus chinensis) 아가미의 형태 및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n the Gill of the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Decapoda: Penaeidae))

  • 이정식;강주찬;정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11-319
    • /
    • 2000
  • 대하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대하는 수지형 아가미를 가진 다. 아가미는 출새관과 입새관을 구분하는 세로 격벽을 가진다. 각각의 새판은 전자밀도가 다른 다층구조의 큐터클로 싸여 있다. 새판 기저세포들은 편평형이며,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가진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된다. 새판의 기둥구조는 세로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진다. AB-PAS음성 분비세포들은 다세포선의 형태이다. 활성화된 선에서 각 세포의 경계부는 뚜렷하지 않으며, 세포질에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으며 막을 가진 분비소포들과 granular rosettes를 가진다. 비 활성화된 선에서는 세포 경계가 뚜렷하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작은 과립들이 산재한다. 그리고 alcian blue에 양성인 단세포 분비세포들은 세포질에 발달된 다수의 골지체와 조면소포체들을 함유한다.

  • PDF

대하 (Penaeus chinensis)의 단백질요구량과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 (Optimum Level of Protein and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f Fish Meal by Soybean Meal in Feeds for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 김현준;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3-186
    • /
    • 1993
  • 대하의 단백질요구량과 배합 사료에 어분 대신 대두백으로 대체하고 여기에 오징어유를 첨가한 먹이에 대한 성장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합 사료를 먹이로 공급할 때 단백질 함량을 $25\~50\%$로 실험한 결과, 단백질 함량 $40\%$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과 빠른 성장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 25, 30, 35, 40, 45, $50\%$인 배합사료를 대하에 공급하였을때 생존율은 각각 74.0, 82.0, 91.0, 97.0, 93.0, $88.0\%$이었다. 최적의 사료내 단백질 함량은 $13\~84mg$인 대하 치하는 $40.4\%$, $0.9\~8.1g$ 인 대하는 $39.9\%$로 계산되었다. 사료중 단백질원을 어분 대신 대두백으로 대체할 때에는 대두박 함량을 $0.0\~76.0\%$로 실험한 결과, 대두백 함량이 많아질수록 생존율과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오징어유를 대두박 함량의 $2.5\%$ 첨가하였을때 생존율은 향상되었다.

  • PDF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의 난소 성숙에 대한 Serotonin, Ecdysone 그리고 HCG의 효과 (Effects of Serotonin, Ecdysone and HCG on Ovarian Maturation of the Fleshy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 이재용;김대중;김대현;김명희;김병기;이복규;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41-351
    • /
    • 2009
  •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의 난소 성숙에 대한 serotonin(5-hydroxytryptamine, 5-HT), ecdysone(20-hydroxyecdysone, 20-E) 그리고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하에 5-HT(체중 g당 $5{\mu}g,\;20{\mu}g$), 20-E(체중g당 $5{\mu}g,\;10{\mu}g,\;20{\mu}g$) 그리고 HCG(체중 g당 5 IU, 10 IU)를 5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한 후 10일이 더 지난 시점에 채집하여 성 성숙도지수(GSI)의 변화와 난소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르몬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멸균한 생리식염 수만을 주사한 대조구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를 설정하였다. 20-E와 HCG를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난소 성숙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른 봄에 5-HT를 체중 g당 $20{\mu}g$로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유의한 난소 성숙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 대하에 5-HT를 체중 g당 $20{\mu}g$ 이상 처리하면 난소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대하의 종묘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 Single Tangle Net for the Brown Shrimp by Observation of Entanglement Behaviour

  • Kim Yong-H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34-40
    • /
    • 2003
  • Three panel trammel nets were made illegal for the brown shrimp (Penaeus japonicus) or fishes by Korean fisheries law while trammel nets for fleshy prawn in the West sea remained legal. In this study a single panel tangle net with vertical loop lines rigged between the float line and sinker line was specially designed to catch brown shrimp. This net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after observation of the brown shrimp behaviour when reacting to a net in an observation tank. In field experiments these single tangle nets we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trammel nets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Keoje area. The mean number of the brown shrimp for 53 fishing operations was 1.13 per unit panel of the single tangle nets when fitted with the vertical loop lines. This was $84\%$ of the mean catch of 1.36 achieved with the trammel nets. These results of fishing experiments using single tangle nets in the field revealed a high fishing efficiency for the brown shrimp and showed little difference from trammel nets. The size of the brown shrimp or number of by-catch was not different between single tangle nets and trammel nets.

Expression of c-Type Lysozyme from the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Is Upregulated Following Vibrio anguillarum and Lipopolysaccharide Injection

  • Qiao, Guo;Kim, Su-Kyoung;Cho, Yeong-Rok;Kim, Sukyoung;Jang, In-K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67-272
    • /
    • 2013
  • Chicken-type lysozyme (c-lysozyme) is present in shrimp and is active against some bacteria. To further understand the regulation of c-lysozyme in the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we determined the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of c-lysozyme and the time-course of mRNA expression in response to Vibrio anguillarum and lipopolysaccharide (LPS) injection by quantitative revers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lysozyme was expressed in all tissues tested, including gill, eyestalk, eye, hemocytes, hepatopancreas, intestine, heart, and pleopod. It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the intestine followed by the eyestalk, gill, hemocytes and hepatopancreas. The mRNA expression level began to decline in a short time after V. anguillarum challenge and was then upregulated by two fold or more at 24 h post injection (hpi) compared to that at 0 h. Expression was suppressed shortly after LPS injection and began to increase with higher levels of 5.8-, 5.2- and 8.4-fold at 24, 48, and 72 hpi, respectively. Higher expression was sustained and showed a gradual increasing trend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72 hpi). These results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 of defense mechanisms and facilitate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probiotics or immunostimulants in shrimp culture.

대하(Penaeus chinensis) 수정난의 부화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Hatching Rate of Fertilized Egg in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 허성범;김현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
    • /
    • 1996
  • 본 실험은 대하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하여 수온과 염분에 따른 수정난의 부화율에 관한 실험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하수정난의 부화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24^{\circ}C$에서 $95.5\%$의 가장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20^{\circ}C$에서 $24^{\circ}C$까지는 수온이 올라갈수록 부화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26^{\circ}C$이상부터는 수온이 올라갈수록 부화율은 급격히 낮아져, $30^{\circ}C$에서는 전혀 부화가 되지 않았다. 염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31\%_{\circ}$에서 $95.5\%$의 가장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20\%_{\circ}$, 부터 $31\%_{\circ}$까지는 염분이 상승할수록 부화율은 증가하였고, $33\%_{\circ}$, 부터는 염분이 상승할수록 부화율은 낮아져 $40\%_{\circ}$, 에서는 $25.5\%$%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온 $24^{\circ}C$에서의 부화속도는 다른 수온구에서보다 가장 빨랐고 특히 염분 $31\%_{\circ}$의 실험구에서는 18시간 만에 $30.5\%$, 48시간만에 $95.5\%$가 부화되어 가장 빠른 부화속도를 보였다. 대하수정난의 부화를 위한 최적 수온은 비교적 협온성이라고 할수있다. 또 최적수온인 $24^{\circ}C$에서도 자연해수의 염분구 $(33\~35\%_{\circ})$보다 다소 낮은 $30\~31\%_{\circ}$,에서는 약 $20\%$정도 더 높은 부화율이 유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대하수정난 부화를 위한 최적염분 역시 협염성이며 특히 수온이 높을 때 염분이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민감하였다.

  • PDF

새로 개발한 미세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한국 대하의 유전다양성 및 집단구조 (The Study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Korean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Using Newly Developed Microsatellite Markers)

  • 신은하;공희정;남보혜;김영옥;김봉석;김동균;안철민;정형택;김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47-1353
    • /
    • 2015
  •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는 우리나라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양식생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대하의 유전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13개 미세위성체 유전자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4개 지역 대하의 유전 다양성 및 집단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평균 대립유전자 richness =16.87, 평균 이형접합률 =0.845를 보여 유전 다양성은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52개 유전좌중에서 13개 유전자좌가 집단간 분석에서 Hardy–Weinberg 평형에서 유의적인 차이로 벗어났다. Neighbor-joining, principal coordinate 및 molecular variance 분석 결과로 우리나라 대하 집단은 3개 집단(나라도, 천수만, 법성포 및 채석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결과는 유전적 거리에 근거한 군집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유전 다양성 및 분화결과는 앞으로 대하의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 및 선발 육종을 통한 유전적 개량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공식품 중 새우의 검출을 위한 샌드위치 ELISA의 개발 (Development of Sandwich ELISA for the Detection of Shrimp in Processed Foods)

  • 도정룡;백수연;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8-543
    • /
    • 2014
  • 가공식품 중 새우의 검출을 위한 샌드위치 ELISA(sELISA)의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홍다리 새우의 tropomyosin에 대한 특이항체를 이용하여 하였다. 이때, 새우의 검출범위는 1-100 ppm (${\mu}g/mL$)이며, 검출한계는 0.3 ppm이었다. 특이항체의 교차반응 결과, 홍다리새우, 흰다리 새우, 칵테일 새우, 바다가재, 꽃게에 대한 반응성은 각각 100, 73, 155, 18, 0%를 나타내었으며 새우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았다. 열처리한 시료와 항체간의 반응성은 $100^{\circ}C$까지는 121-221%로 안정하였으나 $121^{\circ}C$에서는 반응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7.8%). 크림스프, 이유식, 소시지, 어묵, 소스에 대한 spike test에서 새우의 분석회수율은 각각 397, 639, 168, 234, 0%로 소스를 제외하고 매우 높게 나타났다. sELISA에 의하여 14점의 시판시료 중 새우의 함유 유무를 조사한 결과, 정성적으로 원료의 표시사항과 일치하는 비율은 79%이었다.

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Monitoring of Commercial Shrimp Products Sold in Online Markets of South Korea)

  • 김건희;이지영;강태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96-507
    • /
    • 2023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온라인 시장에서 판매되는 48개의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제품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조사하였다. 사용 원재료의 종 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및 BOLD system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또한 계통분석을 수행하여 동정된 새우종을 추가로 검증했다. 종판별 결과 총 16종[흰다리새우(Penaeus vannamei, Whiteleg shrimp or Pacific white shrimp), 북쪽분홍새우(Pandalus borealis, Alaskan pink shrimp),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Chinese ditch prawn), 돗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Lesser glass shrimp), 얼룩새우(Penaeus monodon, Giant tiger prawn), 아르헨티나붉은새우(Pleoticus muelleri, Argentine red shrimp), 산모양깔깔새우(Metapenaeopsis dalei, Kishi velvet shrimp), 태평양난바다곤쟁이(Euphausia pacifica, Isada krill), 가시배새우(Lebbeus groenlandicus, Spiny lebbeid),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 Southern rough shrimp), 진흙새우(Argis lar, Kuro shrimp), 가시발새우(Metanephrops thomsoni, Red-banded lobster), 깔깔새우(Metapenaeopsis barbata, Whiskered velvet shrimp), 긴발딱총새우(Alpheus japonicus, Japanese snapping shrimp), 대하(Penaeus chinensis, Fleshy prawn), 긴뿔민새우(Mierspenaeopsis hardwickii, Spear shrimp)]이 확인되었으며, 흰다리새우(n=22, 45.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반명 '새우'를 포함하는 35개 제품(72.9%)에서 표시사항과 불일치를 나타내었으며, 일반명(n=30)을 제외할 경우 불일치율은 10.4%로 낮아졌다. 가공 정도별 불일치율은 다중 가공 제품(n=25, 89.3%)이 단순 가공 제품(n=10, 50%)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원산지별 분석 결과 특정 국가와 불일치율과의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새우 제품의 모니터링 수행 및 새우의 국명 표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