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r analysis

검색결과 936건 처리시간 0.029초

전자코를 이용한 다양한 유형의 치즈 제품 풍미성분 분석 (Analysis of Flavor Pattern from Different Categories of Cheeses using Electronic Nose)

  • 홍은정;김기화;박인선;박승용;김상기;양해동;노봉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9-677
    • /
    • 2012
  • 본 연구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시판되는 피자용 모짜렐라 치즈 슈레드 제품과 슈레드 제품 혼합용 원료 치즈에 해당하는 모짜렐라 치즈 블록, 체다 치즈, 흰 곰팡이 숙성 치즈 등 3종류의 국내산 및 수입산 치즈를 대상으로 단기간 저장 및 가열처리에 의한 풍미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국내 임실치즈농협에서 새로 개발한 임실 치즈 제품이 국내산 및 수입산 치즈의 향미패턴과의 차이 유무에 대해 접근하여 보고자 하였다. 치즈 종류뿐만 아니라 조리온도 및 저장유무에 따른 향기패턴을 판별함수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후 비교 분석한 결과, 피자용 모짜렐라 슈레드 제품의 경우 저장유무보다는 조리온도에 따라 풍미패턴의 차이가 더 구분되었으며 피자용 모짜렐라 슈레드 제품에 혼합용으로 사용되는 치즈의 종류 및 원산지에 따라서 풍미패턴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 개발된 국내산 임실 치즈는 기타 국내산 치즈와 외국산 치즈와 비교하였을 때 이들의 중간 향에 해당하면서도 독특한 향미를 지니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참나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impinella brachycarpa)

  • 송희순;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4-680
    • /
    • 1997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were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method, and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wenty five, 17 and 23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samples, respectively; however, the kind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ts percent content of the total volatiles were varied depending on samples. The principal components of Chamnamul were isobutanal, trans caryophyllene, trans ${\beta}$-farnesene, and ${\alpha}$-selinene. Terpenoid compounds reached 44.11%, 33.91% and 72.63% respectively in fresh, shady air dried, and presteamed shady air dried Chamnamul.

  • PDF

제조업체별 강정의 관능적 품질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ngjung Base Produced by Various Manufacturers)

  • 김행란;김경미;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9-282
    • /
    • 2011
  • We evalu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ngjung base obtained from various manufacturers, using a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all sensory attributes of Gangjung samples with the exception of 'toothpacking'. Sample A showed high intensities for 'external color', 'external roughness', 'sweetness', 'toasted soybean powder flavor', 'crispness', 'fracturability', 'oiliness', and 'loose particles,' whereas it had low intensities for 'rice flour flavor', 'hardness', and 'toughness' compared to those of other samples. Sample B had more 'sourness', 'butyric acid flavor', 'fermented rice flavor', and 'degree of melting' but lower 'air cell size', 'fracturability', and 'flake roughness'. Sample C showed high intensities for 'expansion', 'hardness', 'crispness', and 'flake roughness', whereas sample D showed low intensities for 'expansion' and 'sour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ngjung base samples are marked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식용유의 향미 안정성 측정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lavor Stability of Cooking Oils)

  • 김인환;윤석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2-735
    • /
    • 1988
  • 식용유의 향미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유지시료의 윗 공간내에 있는 총 휘발성물질, 산소 및 수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유지의 산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휘발성물질의 양과 수소의 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값 사이의 상관계수는 0.95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유지의 향미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하여 실험할 필요없이 시료 윗 공간내의 수소와 산소의 양을 한 칼럼을 사용하여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유지의 향미안정성을 나타내는 지료로써 수소와 산소의 함량이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저장중 현미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uring Storage)

  • 신명곤;민봉기;김동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6-280
    • /
    • 1991
  • The quality changes of brown rice during storage were determined by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of n-hexanal, amylogram, texture and volume expansion. The qualities of stored brown rice were also analyzed with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milled rice obtained from brown rice, n-Hexanal content, peak viscosity and total setback of brown rice flour pastes increased substantially with the increased of storage period at 35$^{\circ}C$. Up to 10 months of storage at 35$^{\circ}C$, stale flavor obtained by a sensory method markedly increased, but stickiness decreased. The scores of overall preference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stale flavor (r=-0.98) and sticky texture (r=0.98).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ale flavor obtained by a sensory method and instrumetal analysis for stored brown rice was r=0.97.

  • PDF

약선 요리의 맛과 조리방법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ste and Cooking Method of Medicinal Cuisine on Customer Loyalty)

  • 정진우;박봉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7-36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ste and cooking method of medicinal cuisine on the customer loyalt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14 customers visiting a restaurant specialized in temple cuisine in Yangsan city, Kyungnam provinc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program. Female respondents preferred garnish and bright color, and males preferred flavor and chewing taste as a taste of medicinal cuisine. The older respondents preferred flavor and chewing taste more than younger ones. Among cooking methods of medicinal cuisine, females preferred steaming and older respondents preferred boiling and cooking in casserole.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ustomer loyalty was singnificantly affected by sauce, delicious looking color, flavor, aroma, and chewy texture among taste factors and by boiling and cooking in casserole among cooking methods.

  • PDF

한국산 적포도주의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I)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 이장은;홍희도;최희돈;신용섭;원유동;김성수;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41-848
    • /
    • 2003
  • 국내산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G(거봉100%), M(머루100%), C(캠벨100%), GM(거봉70%+캠벨30%), GC(거봉70%+캠벨30%) 포도주를 제조하여 프랑스산 적포도주 (Cabernet Sauvignon, 1998)와 함께 색도, 향기성분, 맛, 종합평가에 관한 선호도를 순위법(ranking test)으로 측정하고, 분석적 관능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C(캠벨)는 4.76으로 색도면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GM(거봉+머루)이 3.94, F(프랑스)가 4.67, M(머루)이 3.70, GC(거봉+캠벨)가 2.65, G(거봉)가 1.47로 높은 선호도 순서를 보였다(p<0.001). 향기성분의 평가에서는 M이 3.94, C가 3.76, GM이 4.12, F가 3.76으로 이들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3.12를 얻은 GC와, 2.29를 얻은 C는 이들보다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p<0.01). 맛의 평가에서는 4.75를 얻은 F와, 4.25를 얻은 C에 이어, GM이 3.37, GC가 3.50, G가 2.75, M이 2.37로 높은 선호도 순서를 보였다(p<0.001). 색도, 향기성분, 맛을 바탕으로 한 전체적인 종합 평가에서는 F가 4.81, C가 4.06, GM이 3.87로 각각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3.64를 얻은 GC, 2.37을 얻은 G, 2.44를 얻은 M의 순이었다(p<0.001). 전체적인 종합평가에 가장 높은 영향을 준 인자는 맛 항목으로 69.2%를 설명할 수 있었다. 다음은 색도와 향기성분 순이었으며, 이들 세 항목으로 포도주의전체적 종합평가를 74.4% 설명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purple과 red color는 색의 선호도를 각각 28.9%, 8.5% 설명할 수 있었으며, grape flavor는 향기성분에 관한 선호도를 14.4% 설명할 수 있었고 sweet, acid, bitter, salty taste들은 맛의 선호도를 17.3% 설명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결과 purple과 red 항목은 각각 grape taste, floral taste와 그리고 grape, oak, flavor들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grape flavor는 floral flavor, grape taste, floral taste들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001), $SO_2$향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Sweet taste는 grape, floral flavor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p<0.001), bitter, astringency taste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p<0.01), sweet taste가 강할수록 바람직한 향기성분과 맛의 강도가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또한 이들 항목의 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이 평가되어 sweet taste, grape, floral flavor와 bitter, astringency taste의 조화는 적포도주의 관능적인 면에서 중요한 요소들임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American Consumer Interest in Bulgogi: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e U.S. Market

  • Lee, Min-A;Park, So-Hy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348-355
    • /
    • 2010
  • This study u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different attributes of Bulgogi to investigate Americans' interest in this f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termine the potential of expanding its consumption in the American foodservice marke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diners in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New York, U.S.A. from July 13 to Oct 8, 2009. A total of 172 copi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7.0. Of the total subjects, 74.4% were already familiar with Bulgogi and 69.2% had at least one experience trying it. Targeting the respondents who had eaten Bulgogi, preference and satisfaction toward the dish, as well as the intention to repurchase and recommend it to others, were examined, and scores were found to be very high at 4.53, 4.46, 4.26, and 4.47 points, respectively, on a 5-point scale. According t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top five Bulgogi attributes in importance were taste, freshness, flavor, tenderness, and juiciness, and those for performance were freshness, flavor, taste,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sweetness and saltiness showed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and ease of purchase was noted as an attribute needing improvement. Therefore, American consumers' needs for Bulgogi should be met by enhancing its flavor,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taste, as well as by supplementing the channels providing Bulgogi.

GC/MS에 의한 저장중 츄잉껌 향기성분 변화연구 (Changes of Flavor Components in Chewing Gum during Storag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신성기;김상호;이윤형;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28
    • /
    • 1992
  • 츄잉껌 품질향상의 일환으로 저장기간 및 여러 가지 상대습도하에서 츄잉껌 향기성분의 변화를 GC/MS로 분석하였다. 츄잉껌 향기성분을 시료전처리로 포집하고 tetradecane을 내부표준용액으로 이용해서 각 성분과의 peak area ratio로써 향기성분함량의 감소량을 측정한 결과 저장초기에는 53% R.H 저장분 보다 33, 75% R.H에서 감소속도가 빨라으나 그 이후는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16주 후에는 $45{\sim}49%$의 잔존량을 나타내었다.

  • PDF

표고버섯의 향미관련 성분에 대한 에틸렌옥시드와 감마에너지의 영향 (Effects of Ethylene Oxide and Gamma Energy on the Flavor-Related Components of Mushrooms (Lentinus edodes))

  • 권중호;변명우;정신교;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1992
  • 건조 표고버섯의 고유한 향민관련 성분에 대한 Ethylene Oxide와 감마에너지 (5kGy) 처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건표고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확인된 1-octen-3-ol(72.8%), 3-octanone(11.5%), dimethyl disulfide(6.7%) 등의 함량은 살균, 살충목적의 EO 훈증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동일 목적의 감마 에너지에 의해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시료의 유리아미노산과 당(Mannitol, arabitol , trehalose) 성분은 비교적 안정하였지만, 훈증처리의 영향이 안정되었다. 그러나 전반적 향미에 대한 관능 시험에서는 대조군과 각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