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ulina velutipe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8초

Introduction of the representative mushroom cultivars and groundbreaking cultivation techniques in Korea

  • Jang, Kab-Yeul;Oh, Youn-Lee;Oh, Minji;Woo, Sung-I;Shin, Pyung-Gyun;Im, Ji-hoow;Kong, Won-Si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36-141
    • /
    • 2016
  • The production scale of mushrooms in Korea is approximately 600 billion won, which is 1.6% of Korea's gross agricultural output. In Korea, ca. 190,000 tons of mushrooms are harvested annually. Although the numbers of mushroom farms and cultivators are constantly decreasing, total mushroom yields are increasing owing to large-scale cultivation facilities and automatio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well-being trend has caused an increase in mushroom consumption in Korea: the annual per capita mushroom was 3.9 kg ('13), whichis a little higher than that in Europe. Thus, mushroom export, mainly Flammulina velutipes and Pleurotus ostreatus, has increased since the mid-2000s. Recently, however, it is slightly reduced. Nevertheless, Vietnam, Hong Kong, the United States, and the Netherlands continue to export mushrooms, and Korea has increased its export to Australia, Canada, Southeast Asia, etc. Canned Agaricus bisporus, the first export of the Korean mushroom industry, reached it speak sales in 1977-1978. When Korea initiated trade with China in 1980, the international prices of mushrooms fell sharply, leading to shrinkage of the domestic markets. Spurred by the high demand to develop substitute goods for A. bisporus, the oyster mushroom (P. ostreatus) gained attention since it seemed to suit the taste of Korean consumers. Although the log cultivation technique for oyster mushroom was developed in the early 1970s, it required a great deal of labor. Thus, we developed the shelf cultivation technique, which is easier to manage and allows for mass production. In this technique, the growing shelf is made mafrom fermented rice straw, whichis the only P. ostreatus medium in the world and isused only in South Korea. After then, the use of cotton wastes as an additional material of medium, the productivity. Currently, we are developing a standard cultivation technique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that can stably produce mushrooms throughout the year. The increase of oyster mushroom production may boostthe domestic market and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In addition, oyster mushroom production technology played a role in forming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bottle cultivation, which made mass production. In particular, bottle cultivation using liquid spawn could allow for the export of F. velutipes and Pleurotus eryngii. In addition, the white varieties of F. velutipes were second developed in the world after Japan. We also developed the new A. bisporus cultivar 'Saeah', which is easy to grow in Korea. In hopes to advance the mushroom industry, we will continue to develop cultivar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to improve cultivation techniques.

주요 식용버섯의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활성 및 아미노산 성분 차이 비교 (Comparisons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amino acid contents of edible mushrooms extracted using different solvents)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3-6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 느타리, 팽이, 표고, 양송이를 대상으로 건강기능성 식품과 김치, 장아찌 등의 저장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30%와 70% 발효주정 및 5%, 10%, 15% NaCl 조건에서 추출물 내의 생리활성 성분과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버섯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분석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큰느타리와 느타리의 3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큰느타리와 느타리의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소거능이 높았으며, 팽이 및 표고, 양송이는 30% 발효주정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큰느타리는 3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느타리는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치를 보였으며 팽이는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표고와 양송이의 경우 3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각 추출용매별 아미노산 분석결과, 총 아미노산 함량은 큰느타리가 가장 높았으며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버섯 별로 큰느타리의 경우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프롤린(Pro)과 페닐알라닌(Phe)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느타리는 글루탐산(Gle)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 성분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팽이는 글루탐산(Glu), 알라닌(Ala), 프롤린(Pro)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표고는 글루탐산(Glu)이 가장 높은 함량치를 보였고, 양송이는 5% NaCl 염추출물에서 글루탐산(Glu)과 알라닌(Ala)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 성분은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아미노산 함량은 버섯의 종류, 품종 또는 추출용매 별로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가 나타나 향후 용도에 따라 더욱 세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초, 중학생 및 급식 담당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버섯의 인식 및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Ways of Consuming Mushrooms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Dietitian)

  • 이종숙;이경아;주영철;임갑준;이재성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9-266
    • /
    • 2004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n the mushrooms by elementary school pupi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dietitians were-carried out. The ways of cooking mushrooms by school dietitians were also investigated. Most students and dietitians highly recognized mushrooms as good food. The most favorite mushroom was Flammulina velutipes, the cooking of mushrooms with meat and the hot mushroom soup with meat(Jungol) being the most preferred cooking methods. School ditetitians like to use mushrooms in school lunch and generally use medium or high duality mushrooms. Students, however, do not tend to prefer mushrooms compared to other vegetables. Mushroom dishes that can promote the consumption by students are mushroom bulgogi, mushroom pizza, sweet and sour mushroom in the order.

버섯의 Ergocalciferol(Vit D$_2$)과 Cholecalciferol(Vit D$_3$)의 함량 측정 (Determinations of Ergocalciferol and Cholecalciferol in Mushrooms)

  • 이진실;안령미;최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78
    • /
    • 1997
  • HPLC를 이용하여 표고(동고, 화고), 팽이, 양송이, 목이, 석이, 운지, 영지버섯에 존재하는 비타민 D$_2$와 비타민 D$_3$의 양을 측정했다. HPLC는 external standard 방법을 이용하였다. 검화, 추출, 건조, 거름, 과정을 거친 시료 20 ${\mu}\ell$를 HPLC에 투입해 비타민 D$_2$와 비타민 D$_3$의 양을 측정했다 버섯들 중에 비타민 D$_2$와 비타민 D$_3$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 목이버섯(167.8$\mu\textrm{g}$/100g) 이었으며 가장 적은 것은 양송이로(7.2$\mu\textrm{g}$/100g)로 분석 됐다. 버섯에 존재하는 비타민 D의 함량이 연구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는 버섯의 수확시기, 재배조건, 재배종자, 건조 조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PDF

팽이버섯의 톱밥제거가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wdust Removal on Root Part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on quality during Storage)

  • 조숙현;이상대;이현욱;김낙구;류재산;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31-238
    • /
    • 1998
  • 팽이버섯의 선도유지와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팽이버섯은 높은 온도에서 호흡속도가 빠르며, 상품적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평가인자인 자루의 신장율이 톱밥을 제거한 경우가 현저하게 낮았으므로 톱밥을 제거한 처리에서 품질 및 신선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g 단위를 30$\mu\textrm{m}$ CPP와 30$\mu\textrm{m}$ LDPE에 의한 밀봉포장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은 $0^{\circ}C$, 5$^{\circ}C$, 1$^{\circ}C$에서 선도유지에 유익하게 효과적이었다.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중량감소가 크고, 밀봉된 포장이 통기성 포장에 비해 중량감소가 적어서 품질유지에 효과적이고, L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를 이용한 버섯 파리(Lycoriella sp.)의 생물적 방제에 관한 연구 (A sty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Sciarid Fly(Lycoriella sp.) Using Bacillus thuringiensis)

  • 최광호;박현철;박현우;진병래;강석권;손흥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3-298
    • /
    • 1996
  • Thirteen subspecies of Bacillus thuringiensis including B. t. israelensis, B. t. morrisoni PG-14 and B.t. darmstadoemsos known to be toxic to dipteran insects were treated on the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compost to estimate the biological control effect of a sciarid fly, Lycoriella sp.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tested strains of B, thuringiensis on the control of Lycoriella sp. For further confirmation, larval gut juice of Lycoriella sp. and trypsin were respectively treated into the parasporal crystal proteins of three subspecies of B. t. israelensis, B. t. morrisoni PG-14, and B. t. darmstadiensis. The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jor parasporal crystal proteins were respectively produced by B. t. morrisoni as the amount of 52 kd, B. y. israelensis as 37kd and B. t. darmstadiensis as 39kd, but the activity of these proteins could not be unfortunately confirmed in this study.

  • PDF

Characterization of Species of Cladobotryum which Cause Cobweb Disease in Edible Mushrooms Grown in Korea

  • Back, Chang-Gi;Lee, Chang-Yun;Seo, Geon-Sik;Jung, Hee-Young
    • Myc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89-194
    • /
    • 2012
  • Four Cladobotryum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four different commercially grown mushroom types infected with cobweb disease in Cheongdo-gun and Chilgok-gun of Gyeongbuk Province, Korea in 2010.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 mycophilum from Agaricus bisporus and Pleurotus eryngii, C. varium from Flammulina velutipes and Hypsizygus marmoreu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isolates were investigated using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a under nine different temperatures ranging from $5{\sim}32^{\circ}C$. Rapid growth of the isolates to colony diameters of 47~82 mm was observed at conditions of $18{\sim}22^{\circ}C$. No growth was observed at $32^{\circ}C$. C. mycophilum produced a yellowish red pigment while C. varium produced a cream colored pigment after cultivation for 25 days on PD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partial 28S rDNA from the four isolates confirmed they were C. mycophilum and C. varium. Cross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two isolates of C. mycophilum were highly pathogenic toward three mushroom types, but not toward H. marmoreus. The two isolates of C. varium were less pathogenic than those of C. mycophilum, but were pathogenic toward all mushroom types evaluated.

식용버섯의 원형질체 융합체의 자실체 발생 및 유전분석 (Fruiting body development and genetic analysis of somatic hybrids by protoplast fusion in edible fungi)

  • 유영복;공원식;오세종;전창성;신평균;김범기;김규현;박민선;민병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5-126
    • /
    • 2004
  •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화합성 및 불화합성 종간 체세포 잡종을 얻었다. 화합성 종간인 Pleurotus ostreatus와 P. florida의 융합체는 이질핵체(heterokaryon)를 형성하였고, 불화합성 종간인 P. cornucopiae + P. florida, P. ostreatus + Ganoderma applanatum, P. florida + Ganoderma lucidum, 그리고 P. ostreatus + Flammulina velutipes는 합핵체(synkaryon)를 형성하였다. 이질이핵체는 동일한 양상의 자실체를 형성하는데 비해 합핵체는 유사분열상의 꺽쇠연결체 형성, 한쪽 친과 유사한 자실체 형성, 비정상적 유전형질 분리 및 유전자재조합 현상을 나타내었다. 화합성 및 불화합성 계통간 융합체의 RAPD 분석결과 화합성 종간 융합체는 동일한 DNA 패턴을 나타내었고, 불화합성 종간 융합체는 한쪽 친과 유사한 DNA 양상이면서 비양친 DNA 밴드도 형성하였다. 합핵체의 패턴은 microgenome insertion type과 macrogenome insertion type으로 구분되었다. 합핵체의 자실체 발생은 융합 모균주 양친의 자가임성에 의존하는데 이는 느타리의 동형핵체 자가임성과 유사한 양상이었고, 교배형 전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논할 것이다.

  • PDF

고온적응성 선발계통을 이용한 팽이버섯 신품종 '백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white variety "Baengno" developed by crossing with selected lines adaptable to elevated-temperature in Flammulina velutipes)

  • 공원식;서경인;박순영;장갑열;유영복;전창성;김광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21-125
    • /
    • 2008
  • 수집균주들의 온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적 고온에 적응하는 균주를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색계동을 육성한 후 이 계통과 기존의 백색품종과의 교잡을 통하여 새로운 품종 '백로'를 육성하였다 백로 팽이버섯의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circ}C$이나 병재배시 배양온도는 비교적 높은 $18{\sim}20^{\circ}C$이므로 적정 배양일수는 21일로 기존 백색재배종보다 2~3일 빠른 시기에 실시하여야 발이가 균일하다. 자실체발생 적온은 기존품종과 같은 $7^{\circ}C$, 생육온도는 $25^{\circ}C$로 일본계 품종의 버섯 생육온도와 동일하다. 백로팽이는 갈색야생종과 교배로 육성된 계통이지만 자실체의 갓 및 대색깔이 순백계통의 백색이다. 또한 버섯발이가 고르고, 대가 긴 특징을 가진 고품질 다수성 품종으로 갓은 반구형이다. 백로는 기존 백색팽이 품종보다 환기를 더 많이 요구하기 때문이므로 이 품종에 맞는 재배환경으로 재배관리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 PDF

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원균(Pseudomonas tolaasii)의 분비 독소(tolaasin)를 저해하는 미생물 Pseudomonas sp. HC1 (Isolation of the Bacterium Pseudomonas sp. HC1 Effective in Inactivation of Tolaasin Produced by Pseudomonas tolaasii)

  • 이찬중;유영미;한주연;전창성;정종천;문지원;서장선;한혜수;차재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8-254
    • /
    • 2013
  •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갈색무늬병은 버섯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균갈색무늬병의 생물학적 방제법에 이용할 수 있는 독소저해균의 항균활성과 선발된 독소저해균에 대해 폿트수준의 생물검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배중인 느타리버섯 폐면배지와 양송이 퇴비에서 세균갈색무늬병원균이 분비하는 독소(tolaasin)를 가장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 HC1를 선발하였으며, 생리 생화학적 실험과 유전적 실험결과 HC1균주는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생물검정을 위하여 독소분해균 Pseudomonas sp. HC1을 양송이, 팽이, 느타리에 처리한 결과 각각 69%, 68%, 55%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Pseudomonas sp. HC1이 버섯 세균갈색무늬병 방제를 위해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