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gg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북한산 둘레길에서 참진드기의 계절적 발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 검출 (Seasonal Prevalence of Ticks at Bukhansan Dullegil and Detec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 서장훈;전보영;;이인용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3-149
    • /
    • 2020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 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참진드기를 채집해서 계절적 분포 조사와 매개체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천젓기와 천끌기 방법으로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주된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소피참진드기 3종이 채집되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채집비율이 지축동 91%, 울대리 94%, 호원동 98%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성숙단계에 따른 계절별 채집비율을 보면 성충의 경우 세 지역 모두 9월에 최고치를 보였고 약충의 경우에는 4월에서 6월 사이에 주로 채집되었다. 유충의 경우에는 9월과 10월에 최고치를 보였다.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 1,158개체를 성숙단계별로 2× OneStep RT-PCR과 nested PCR로 SFTS 바이러스 검사를 한 결과 양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0년 개장 이후 이용객이 늘어나는 북한산 둘레길에서 기후 온난화로 증가가 예상되는 참진드기 매개 질환에 대한 위험분석과 효율적인 예방에 본 조사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토양수분 데이터의 거동 및 품질 평가: 용담시험유역 사례연구 (Evaluation of the behavior and quality in soil moisture data: A case study of Yongdam study watershed)

  • 이슬찬;백종진;최민하;조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951-962
    • /
    • 2019
  • 최근 수문 순환 및 자연재해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일관성과 정확성이 높은 토양수분 자료 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토양수분 데이터의 품질관리 기법 등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UNESCO-IHP 대표 시험유역인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관측소 6개 지점을 대상으로 토양수분의 거동을 분석하고 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ISMN)의 품질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토양수분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동 분석 결과 두 관측소의 경우(i.e., 부귀, 안천 관측소)를 제외한 모든 관측소에서 정상적인 토양수분 거동 형태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질관리 기법을 적용한 결과, 상 범주에 해당되는 관측 값은 없었고, 토양수분의 동결이 일어나는 경우도 일반적인 범위(~20%) 내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 강우 없이 토양수분이 증가하는 경우 또한 ~4% 이내로 나타났으며, spike의 경우 0.01%, plateau의 경우 ~5% 수준으로 선별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관측소별 토양 특성이 고려된 Site-specific한 품질관리 기준이 마련된다면, 보다 신뢰도 높은 토양수분 기초자료의 생산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이상금융거래 탐지 정규화 방법에 관한 연구 (Effective Normalization Method for Fraud Detection Using a Decision Tree)

  • 박재훈;김휘강;김은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33-146
    • /
    • 2015
  • 전자금융사기의 고도화와 함께 지능적인 수법들이 동원됨에 따라 전자금융 사용자들의 피해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금융당국은 사용자 구간에 집중된 기존 보안 대책 외에 이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의 도입을 확대 권고하고 있다.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고객의 거래를 확인하고 이상거래 유무를 판별하여 전자금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거래 정보를 빠르게 분석하여 이상거래를 식별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고 데이터분석을 통해 이상 징후 패턴을 파악하고 탐지 룰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룰을 기반으로 고객 개인별 거래 패턴과 고객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이상거래 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 이때 의사결정나무를 사용하여 탐지 룰을 정규화 하여 효과적으로 이상거래를 탐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 국내 모 은행의 전자금융 사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패턴 정보와 고객 프로파일 정보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하여 탐지 룰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탐지된 룰을 의사결정나무를 사용하여 정규화 한 결과를 순차적인 탐지 방식과 비교하여 제시된 방안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Identification of Tick Species Collected from Wild Boars and Habitats of Wild Boars and Domestic Pigs in the Republic of Korea

  • Chae, Jeong-Byoung;Kang, Jun-Gu;Kim, Heung-Chul;Chong, Sung-Tae;Lee, In-Yong;Shin, Nam-Shik;Chae, Jo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85-191
    • /
    • 2017
  • Tic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hropods in the transmission of vector-born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and species of ticks associated with swine and their habitats to assess the risk of spread of tick-borne diseases in host species, such as wild boars. Ticks were collected from 24 grazing or traditionally reared domestic pig farms and 8 habitats of wild boars in 8 provinces and 1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by using the dragging and flagging methods. Ticks were also collected directly from 49 wild boars by using fine forceps. A total of 9,846 hard ticks were collected, including 4,977 Haemaphysalis longicornis, 4,313 Haemaphysalis flava, 508 Ixodes nipponensis, 1 Ixodes turdus, and 47 Amblyomma testudinarium. A total of 240 hard ticks were collected from 49 wild boars, including 109 H. flava, 84 H. longicornis, and 47 A. testudinarium. A total of 578 hard ticks were collected from areas around domestic pig farms. Only 2 hard tick species, 546 H. longicornis and 32 H. flava, were collected from these areas. A total of 9,028 hard ticks were collected from wild boars of 8 habitats, including 4,347 H. longicornis, 4,172 H. flava, 508 I. nipponensis, and 1 I. turdus. A. testudinarium was collected only from wild boars, and I. nipponensis and I. turdus were collected only from the habitats of wild boars.

제주도에 서식하는 연산호 일종,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 패턴 (Mortality and Growth of the Soft Coral, Dendronephthya gigantea in Jejudo Island, Korea)

  • 최용우;김정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4호
    • /
    • pp.342-347
    • /
    • 2008
  •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률에 관한 연구를 제주도 문섬에서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진행하였다. 수심 15 m에 서식하는 큰수지맨드라미 48개체를 형광 플래깅 테이프로 표시했으며, 이들을 1년 6개월 동안 약2개월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2개월 단위의 평균 사망률은 50.4%로 나타났으며, 여름 태풍 발생시점인 2003년 8-10월에는 84.6%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개체크기에 따른 사망률 양상에서는 등급 I(${\leq}$10 cm) 개체들의 사망률이 등급 II(10 cm-20 cm)와 등급 III(>20 cm)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계절에 따른 성장률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가을-겨울시기의 길이 성장률이 다른 시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 길이성장률은 2개월 동안 3 cm씩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2003년 8-10월에는 6.4 cm로 최대치를 보였다. 한편 직경의 성장은 2개월 동안 평균 0.3 cm가 증가하였으며, 2004년 4-6월에 1.4 cm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제주도의 큰수지맨드라미 개체군은 매년 여름 태풍에 큰 영향을 받아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이후 어린개체들의 높은 가입률과 빠른 성장을 통하여 개체군을 유지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비글개에서 발정 휴지기중의 난포낭종 (Follicular Cysts of a Beagle Dog in Diestrous Stage)

  • 김홍석;강현구;김일화;이청산;이기창;이동엽;문진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37
    • /
    • 2007
  • 2년령의 암컷 비글개에서 교배 후 7일째에 혈액장액성 질 분비물과 외음부 종창의 주증을 보여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 질 도말 검사,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음파 검사 소견상 양측 난소에 10mm 이상의 낭종성 구조물이 다수 관찰되어 양측성 다포성 난소낭종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질 도말 검사에서는 각화 상피세포가 90% 이상이었으며, 수컷의 허용 반응을 확인한 결과 수컷의 허용은 물론 정상적인 교배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소견을 종합해 본 결과 본 증례는 양측성 다포성 난포낭종으로 진단하였으며 GnRH $50{\mu}g$으로 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후 2주째에 낭종의 크기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난포낭종으로 진단되기 전 최후 교배일로부터 68일째에 1두의 거대 태아를 분만하였다. 한편, 난포낭종 발생 시기와 임신이 이루어진 시기가 어느 시기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혈장 progesterone 농도 및 estrogen 농도를 측정한 결과, 난포낭종의 진단시 혈장 estrogen 농도는 78.0 pg/ml 이었고 난포낭종의 진단 전 최후 교배시 progesterone 농도는 6.87ng/ml, 난포낭종의 진단 시 progesterone 농도는 66.93n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본 증례의 비글견에서 난포낭종이 발생한 시기는 발정 휴지기였으며, 난포낭종의 진단 전 최후 교배 시 임신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동혈구분석기 XE-2100, ADVIA-120와 Manual Differential Count의 상관성 및 Morphology Flag 평가 (Correlation of XE-2100, ADVIA-120 and Manual Differential Count and Evaluation of Morphology Flag)

  • 이범희;변남섭;지명석;송순영;유선우;박효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4-152
    • /
    • 2004
  • With technological advances in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s, primary and screening differential counts of white blood cells (WBC) are done with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s. They are using different measurement and analysis principles, so differences in WBC differentials and WBC morphology flag exi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WBC differential counts and WBC morphology flags comparing them with the manual method. Patient EDTA samples in Vacutainer requested for WBC differentials were analyzed with XE-2100. And those samples with suspect flags messages index over 100 were selected and were analyzed with ADVIA-120. Peripheral blood smear film was subsequently made. Three investigators counted 200 cells each (600 cells) in 111 Wright-Giemsa stained blood films. Between two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s, neutrophil, lymphocyte, eosinophil, and monocyte showed good correlations, but basophil had moderate correlation. Among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s and manual count, neutrophil, lymphocyte, and eosinophil had good correlations, but monocyte had moderate correlation. XE-2100 had higher monocyte, which was due to atypical lymphocyte and myeloblast. LUC in ADVIA-120 was not due to monocyte in XE-2100. Morphology flagging rates were 146.9% in XE-2100 and was 93.2% in ADVIA-120. Positive predictive values of morphology flag were 58.2% in XE-2100 and 54.4% in ADVIA-120. Flags such as atypical lymphocyte, immature granulocyte, and left shift had higher predictive values and those such as N-RBC, platelets clump, and blast had lower ones. Between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s, WBC differentials showed good correlations. Predictive values for morphology flags can be variable with changing criteria. Reviewing criteria for WBC differentials and morphology flags should be established in each laboratory with regards to size of laboratory and patients it serves.

  • PDF

대전 주택가 산책로 진드기의 인수공통전염병 병원체 감염실태 조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ick-borne pathogens in hard ticks collected in Daejeon)

  • 한소영;성선혜;서진우;김종호;이석주;유상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3-102
    • /
    • 2021
  • In this study, a total of 9,449 hard ticks were collected once a month from April to October 2020 from a neighborhood park in Daejeon by flagging & dragging method and CO2 manned trap method. The collected tic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Yamagutsi search table using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of four pathogens (SFTSV, Anaplasma spp., Ehrlichia spp., Borrellia spp.). As a result of the study, Haemaphysalis longicornis were collected the most in all areas of the five boroughs at a rate of 82 to 96 percent, while adults were collected the most in May to July, nymphs were collected the most in April to June, and larvae from August to October at a rate of 78 percent to 98 percent. In pathogens, three cases of SFTSV were detected, showing a minimum infection rate (MIR) of 0.46%, while Anaplasma spp. and Ehrlichia spp. were detected one each, with 0.15% and Borrelia spp. with a minimum infection rate of 0.46%. The detected SFTSV showed 99.9% homogeneity with the KF781490 detected in Cheongwon-gun, Chungbuk Province, Anaplasma spp. showed 99.0% homogeneity with JN990105 detected in China, and Erhlichia spp. showed 98.9% genetic similarity with U96436 separated from the U.S.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status and pathogen infection rate of the hard ticks in the Daejeon area are analyzed and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the hard tick-borne infectiou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