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g leaf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3초

Genetic Analysis of Traits Associated with Panicle and Flag Leaf in Tropical Japonica Rice

  • Chang, Jae-Ki;Oh, Byeong-Geun;Kim, Ho-Yeong;Lim, Sang-Jong;Kim, Soon-Chul;Sohn, Jae-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5-140
    • /
    • 1998
  • Dialle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I's derived from crossing in all combinations without reciprocals among six rice varieties; three tropical japonica and three temperate japonica varieties, with different traits associated with panicle and flag leaf. Epistasis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primary branches (PB) per panicle and of spikelets per panicle, while flag leaf length, flag leaf color, PB length and neck node thickness were explained with the additive-dominance model. The estimated genetic mode of flag leaf length and PB length was a positive complete dominance model with high heritability, and that of flag leaf color and neck node thickness was an incomplete dominance model. In particular, tropical japonica varieties with low-tillering and heavy-panicle appear to have higher number of dominant genes for flag leaf length and PB length than temperate japonica varieties.

  • PDF

대맥의 최상부절간 및 주요형질의 유전력과 상관에 관한 연구 (Heritabilities and Relationships of Peduncle Size and Agronomic Characters of Barley)

  • 김흥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5-178
    • /
    • 1984
  • 보리 8개 품종에 대하여 최상부절간, 지엽, 지엽초 및 수장, 주당수수, 수당입수 등을 조사하여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고, 또 유전력을 추정했으며 이들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상부절간의 길이는 31.23cm로부터 46.79cm로 품종간 차이가 현저했으며 굵기도 최소 3.81mm로부터 최대 5.19mm까지 그 차이가 컸다. 2. 지엽초장, 지엽장 및 폭도 최상부절간과 같은 경향을 보여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조사한 수량형질들도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최상부절간의 길이에 대한 광의의 유전력은 0.9638로서 대단히 높았으며 굵기에 대한 유전력은 0.5652로서 낮았으며 지엽초장, 지엽장 및 폭에 대한 유전력도 각각 0.8143, 0.7927, 0.8980으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4. 최상부절간의 길이는 굵기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간장, 지엽초장, 지엽장과도 상당히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것은 또 수당입수 및 주당수수와도 상관이 있었다. 최상부절간의 굵기는 간장, 지엽초장, 지엽장,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와 상관이 있었다. 5. 지엽초장은 지엽장, 수장, 수당입수 등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지엽장은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와 상관이 있었고 지엽폭은 수량형질들과 상관이 없었으며 수장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태풍에 의한 벼 잎 파열의 품종간 차이 및 잎 파열이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 in Leaf Mechanical Damage by Typhoon among Rice Cultivars: Effects on Yield and Rice Quality)

  • 홍광표;김영광;정완규;손길만;송근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9-206
    • /
    • 2004
  • Typhoon "MAEMI", happened in September 2003, hit the great damage to Gyeongnam province area. Especially, rice plant was lodged or severe leaf damage was cau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xtents of leaf damage among different rice cultivars, and to evaluate rice yield and eating quality due to leaf damage after typhoon. Rice cultivars torn off over half of the flag leaf length (FLL) were one medium-late maturing cultivar (Donginl), medium maturing cultivar (Yeonganbyeo), eight early maturing cultivars (Samcheonbyeo, Jounghwnbyeo, Munjangbyeo, Taebongbyeo, Odaebyeo, Samhaegbyeo, Sobaegbyeo, Sinunbongbyeo), two long-il type cultivars (Samgangbyeo, Namcheonbyeo), and three special use cultivars (Heukseonchalbyeo, Jinbuchalbyeo, Yangjobyeo). Cultivars torn off below 1/10 FLL were eight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Chucheongbyeo, Daecheongbyeo, Saechu cheongbyeo, Donganbyeo, Daeyabyeo, Hwamyeongbyeo, 방eongsanbyeo, Dongjinbyeo) and two medium maturing cultivays (Donghaebyeo, Gumobyeo2). The rest cultivars were tore off by 1/10∼1/2 ELL. In yield components, the longer was flag leaf damage, the lower was ripened grain ratio, grain weight and brown/rough rice ratio, which was severly impacted to late than to ordinary season cultivation. However, rice yield did not decrease up to tearing by 1/10 ELL. Head rice ratio decreased from flag leaf tearing over 1/10 ELL in late season cultivation. The longer was flag leaf damage, the lower was eating quality, which coul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수도 도열병의 역학적 연구 II. 이삭 도열병 전염원으로서의 엽위별 병반분포의 의의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nt II. Significance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eaf Lesions at Different Location of Each Tiller as an Inoculum Source of Panicle Blast)

  • 박종성;류승헌;김공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7-282
    • /
    • 1983
  • 엽위별로 형성된 병반수나 병반면적율은 통일계품종에 있어서는 n-1에서 n-3까지 그리고 일본형수수품종에 있어서는 n-2에서 많았으나 통일계품종중에서도 고도로 감수성인 노풍에 있어서는 n-1(지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병반의 분포도와 시비수준과의 관계는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엽위별로 보면 수잉기 이후 이삭도열병의 전염원으로는 n-1에서 n-5까지의 잎위의 병반이 관여하나 주로 n-1엽과 n-2엽의 관여도가 큰 것으로 고찰되었다. 수잉기 이후의 저온역에서의 변온$(24^{\circ}C\~16^{\circ}C)$은 잎위의 병반에서의 포자 형성량을 증가시키며 포자의 형성, 이탈, 비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9월말까지도 다량의 전염원을 수에 공급하고 있었다.

  • PDF

엽노화 정도가 다른 벼 품종의 등숙기 광합성 특성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with Depending on Leaf Senescence during Grain Filling)

  • 이변우;박재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6-22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etal differences in leaf senesc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f senescence and photosynthesis during ripening stage of ric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leaf senescence was evaluated by SPAD readings (an indirect indicator of chlorophyll content) for 3 rice varieties (SNU-SG1, Hwaseongbyeo, Nampungbyeo). SPAD value of flag leaf and 2nd leaf of SNU-SG1 were much higher than the other varieties and the leaves of SNU-SG1 also showed a tendency of delayed senescence as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Photosynthesis at light saturation (Pmax) of flag, 2nd and 3rd leaf in SNU-SG1 during grain filling period were much higher than Hwaseongbyeo and Nampungbyeo. The Pmax of the flag leaf in SNU-SG1 was especially higher over 20% than the other varieties. It was due to its higher mesophyll conductance and stomatal conduct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Pmax, stomatal conductance and mesophyll conducta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PAD value and nitrogen concentration of leaves. In conclusion, the stay green characteristics of SNU-SG1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grain yield through the improved photosynthesis during grain filling.

근동질유전자 계통인 찰벼와 메벼의 전엽과 절영처리에 따른 등숙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by Source-Sink Size Control in Glutinous and Non-glutinous Near Isogenic Line of Rice)

  • 김춘송;안종국;정일민;강항원;이재생;고지연;박성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3-250
    • /
    • 2004
  • 본 시험은 찰벼의 수량제한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찰$.$메근동질유전자 계통인 화청찰벼와 와청벼를 공시하여 공급부위(잎)와 수용부위(영화)의 조절이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찰벼의 수량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삭당 총립중과 편균립중의 감소경향은 두 품종 모두 차엽처리구 < 지엽처리구 < 상위 1, 3엽처리구 < 상위 1,2엽처리구 < 상위 1, 2, 3엽처리구 순이었다. 상위 1, 2, 3엽 제거에 의한 총립중과 평균립중의 감소율은 화청찰벼에 비하여 화청벼에서 컸다. 2. 화청벼와 화청찰벼 모두 전엽처리에 의한 고밀도립비율과 등숙율이 2차지경보다 1차지경에서 높았다. 3. 화청벼와 화청찰벼 모두 영화의 절제처리에 의하여 이삭당 총립수와 총립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한 반면 평균입중과 등숙율은 증가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한 평균입중의 증가율은 1, 2차지경립 및 상$.$하위지경립의 절제구 모두에서 화청찰벼가 화청벼보다 높았다. 4. 영화의 조절의 의하여 두 품종 모두 고밀도립비율과 등숙립비율이 증가되었으며 고밀도립비율은 화청찰벼가 화청벼에 비하여 높았던 반면에, 등숙립비율은 화청벼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냉해지대의 수도생육과 임,불임 인각의 양분흡수에 관한 연구 제2보 재배시기 이동이 수도지엽과 인각의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Flag Leaf and Chaff of Rice Plant in Cold Injury Location II. Influence of Different Transplanting Date on Nutrient Uptake of Flag Leaf and Chaff of Rice Plant)

  • 김연진;최수일;나종성;이종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6-217
    • /
    • 1982
  • 지대별 이앙기의 차이가 수도의 지엽과 인각의 양분흡수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수지연은 지엽중 전질소함유율을 높이고 규산의 흡수를 저해하여 불임을 야기 시키는데 그 경향은 만식과 고지대일수록 뚜렷하다. 2. 지엽에 축적된 전질소함유율과 규산함유의 다소는 수량을 좌우하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이룬다. 3. 만식과 등숙이 불량한 인각일수록 전질소함유율은 높으나 규산의 흡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4. 인각의 무기성분함유율은 출수후 등숙기온에 영향을 받는데 등숙기온이 높을수록 인각의 인산, 가리, 칼슘, 규산의 함유율은 증가하나 전질소 함유율은 낮아져 인각의 무기성분조성이 불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여 준다.

  • PDF

액비엽면철포(液肥葉面撤布)의 수도등숙향상(水稻登熟向上) 효과(効果) (Leaf spray effect of liquid complex fertilizers on ripening of rice)

  • 심상칠;김무성;이승우;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5-70
    • /
    • 1976
  • 세가지 종합액비(綜合液肥)(Compresal 1호(號) 및 2호(號)와 3p)를 농가수도(農家水稻)(미네히까리) 포장(圃場)에서 출수(出穗) 10일전(日前)과 10일후(日後) 및 20일후(日後) 3회(回)에 걸쳐 살포(撒布)(1,000배액(倍液) $80{\ell}$/10a)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액비(液肥)에서 등숙율(登熟率)이 높았으며(10% 수준(水準)에서 유의(有意)) 수확지수(收穫指數)도 높아(5%수준(水準)) 균일포장(均一圃場)에서는 수량(收量)에도 유의성(有意性)있는 효과(効果)가 기대되었다. 2. 수확기(收穫期)에 있는 지엽분석결과(止葉分析結果)로 고찰(考察)한 바로는 철과다(鐵過多), 인산결핍지(燐酸缺乏地)로 액비(液肥)의 시용(施用)은 인산(燐酸)을 보충(補充)하고 철(鐵)의 이동(移動)을 막은것으로 보였다. 지엽중(止葉中)의 Mn농도(濃度)는 처리(處理)를 하므로써 증가(增加)되였으며(5% 수준(水準) 유의성(有意性)) 액비중(液肥中) Mn은 인산(燐酸)에 의(依)하여 상위부(上位部) 이동(移動)이 촉진(促進)되어 Fe/Mn 균형유지(均衡維持)에 기여한 것 같다. 4. 지엽중(止葉中)의 질소(窒素)는 불충분(不充分)하였으나 액비(液肥)의 효과(効果)가 등숙율(登熟率)에 관여된 것으로 보였다. 5. Ca농도(濃度)는 처리지엽(處理止葉)에서 증가(增加)하였으나 Mg B. Zn은 감소(減少)하였다.

  • PDF

소맥엽신의 기공분포 및 기공수와 타형질과의 관계 (Frequency, Distribution of Stomata and Relationship Between Stomatal Frequency and Other Characters of Wheat Cultivars)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7-314
    • /
    • 1984
  • 소맥 품종들에 대한 기공수의 품종간 차이, 엽각부위의 기공분석 및 기공수와 출수기, 간장및 타 광합성 관련형질들과의 관계를 구명코져 조광외 100품종을 공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엽표면의 기공수는 최저 51(/$ extrm{mm}^2$), 최고90, 이면의 최저는 35, 최고는 65개로서 표면은 이면비해 1.5배가 많았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기공수가 표면은 61~75, 이면은 41~50개인 품종들이었다. 2. 기공의 크기는 표면은 38.5~46.6$\mu$, 이면은39.4$\mu$48.0$\mu$으로 이면의 기공이 다소컸으며 기공수와 기공의 크기 간에는 표면 -0.63**, 이면 -0.48*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위엽의 기공수는 하위엽보다 많고 각 분얼 동신엽의 기공수는 지엽은 고위분얼이 그 하위엽에서는 저위분얼에서 발생한 엽에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동일엽신내에서는 표면은 선단부나 중앙부가 많고 기부가 적은 반면 이면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지엽 및 제2엽의 엽초에도 기공수는 상당히 존재하여 제3엽이나 제4엽이면의 기공수보다도 많았다. 6. 지엽표면의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타엽신이나 엽초에도 많았다. 7. 지엽표면의 기공수와 간장, 출수기와는 각각 0.53*, 0.51*의 상관이 있었고 엽면적당 건물중(SLW)과는 -0.48*, 엽록소함량 0.53*, 엽면적 -0.59**, 기공개도와는 -0.53* 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엽맥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간장이 크고, 출수기는 늦어지는 경향이며, 엽유의 두께나 엽면적은 작고 엽록소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봄 재배 연맥의 생육시기별 건물수량 및 화학조성분 (Dry Mater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pring Oats at Various Stage of Growth)

  • 신정남;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6
    • /
    • 1995
  • 연맥의 수확시 생육시기가 건물수량 및 사료적인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93년 3월 13일에 계명전문대학 부속목장에서 파종하여 지엽출현전, 지엽출현기, 출수기, 유숙기 및 호숙기에 수확하였다. 1. 사초의 건물함량은 지엽출현전, 지엽출현기, 출수기, 유숙기 및 호숙기에 각각 11.8, 12.3, 14.9, 25.6 및 28.8%로 지엽출현전부터 cnftnrlRK지는 낮았으나 출수기부터 호숙기까지는 급격히 증가되었다. 2. 잎의 비율은 지엽출현전의 58%에서 호숙기에는 11%로 생육이 진행된에 EK라 감소 되었고 이ㅗ영과 내영을 포함란 곡실의 비율은 출수기 7%에서 호숙기에는 43%로 증가 되었다. 3. 조단백질의 함량은 생육이 진행된에 EK라 감소(P<.05)되었고 그 범위는 24.9%에서 10.7%였다. 4. NDF의 함량은 생육이 진행된에 따라 출수기를 정점으로 증가(P<.05)되다가 유숙기에는 감소(P<.05)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변화가 없었다. ADF의 함량은 출수기를 정점으로 증가(P<.05)되다가 유숙기부터는 감소(P<.05)되었다. 5, 건물수량은 지엽출현전, 지엽출현기, 출수기, 유숙기 및 호숙기에 각각 2,420, 4,380, 7,190, 13,130 및 14,530kg로 생육시기가 진행된에 EK라 증가(P<.05)되었다. 6.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봄 연맥의 사일리지 제조를 위하여 일시에 수확한다면 유숙기가 알맞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