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migration rati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5초

수중보에 설치된 어도의 어류이동 연계율 평가 (Evaluation of Fish Migration Ratio at the Fishway Constructed in Weir)

  • 차순배;성진욱;김재옥;박제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9-236
    • /
    • 2015
  • In this study, the fish-migration ratios of rivers were analyzed, with the aim of proposing objective materials to help South Koreans to establish fish migration systems efficiently in the future. A total of 34,012 weirs have been built in the five major basins, with 5,081 fish-ways observed. Consequently, the fish migration ratio was considered low (14.9 %).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analyzing the 5,081 fish-ways, standard-type fish-ways took up 68 % of the total while the non-standard types accounted for 32 %. The five major basins were observed to have a total fish-migration ratio of 21.4 %. Regarding tributaries, Tributary 1 accounted for 27.5 % of the fish-migration ratio, while Tributary 2 and 3 accounted for 19.8 % and 16.3 %,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any relevant field in the fishing industry of South Korea need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fish-migration ratio. This would be expected, eventually, to help them maximize the efficiency of a minimum number of fish-ways. In addition, the study supports the need for those in relevant fields to study carefully the ecological needs of each fish species, before establishing priority standards for the building of fish-ways.

Otolith microchemistry reveals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Pisces: Mugilidae) in Korean waters

  • Bae, Seung Eun;Kim, Jin-K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3호
    • /
    • pp.185-195
    • /
    • 2020
  • Background: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has the widest distribution among mugilid species. Recent studie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showed that the species comprises at least 14 different groups, three of which occur in the northwest Pacific. We analyzed the otolith microchemistry of M. cephalus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to improve understanding of migration pattern and population origin. Results: We collected 123 sagittal otoliths from seven locations and determined their concentrations of eight elements (7Li, 24Mg, 55Mn, 57Fe, 60Ni, 63Cu, 88Sr, and 138Ba) using laser 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Mean otolith elemental ratio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locations. The Sr:Ca, Fe:Ca, and Ba:C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and useful chemical signatures for investigating the habitat use of M. cephalus populations. We identified five diverse and complicated migration patterns using the otolith data that we collected: estuarine resident (type I), freshwater migrant (type II), estuarine migrant (type III), seawater resident (type IV), and seawater migrant (type V). A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plot revealed separation of two groups (type II in the Yellow Sea vs. other types in remaining locations). Two locations on Jeju Island, despite their close proximity, had fish with quite different migration patterns, corroborating previous molecular studies that distinguished two groups of fishes. Conclusion: We successfully showed that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Korean mullet varied by location. Only fish from the western sector of Jeju had a unique migration pattern, which is likely confined population in this area. Among the eight otolith elements measured, the Sr:Ca ratio was found to be the best indicator of migration pattern and population origin.

염분 구배가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의 수직이동 및 DNA/RNA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stratified Waters on Upward Migration and Ratio of Extracted DNA/RNA in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Based on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and 280nm)

  • 조은섭;이영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8-473
    • /
    • 2005
  • 여수연안은 어류 치사성 유해적조생물인 C. polykrikoides 적조가 매년 발생되는 해역일 뿐만 아니라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이 돌산을 중심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도 변화가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했다. 실험장치는 60l들이 아크릴 수조에 일반해수와 담수와 해수를 혼합시킨 시험구를 설정하여 C.polykrikoides의 수직부상 속도와 DNA/RNA함량 비교를 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시행했다. 실험개시로부터 종료시까지 시험구의 경우 상층부위에서는 염분이 20으로 나타난 반면에, 하층은 30 정도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용존산소와 pH 변화는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chlorophyll a도 수조의 하층보다 상층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24시간동안 C. polykrikoides 상$\cdot$하층 이동을 조사한 결과 점등이 되는 순간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었다. 소등이 되는 동안은 점등에 비하여 상$\cdot$하층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고 대부분 균일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 종료시나 24시간 주 $\cdot$야간 수직이동 시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에 분포하고 있는 C. polykrikoides의 DNA 및 RNA 변화폭이 높았다 이 실험을 통하여 담수유입은 C. polykrikoides 세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속한 수직상승으로 인하여 여기에 대한 C. polykrikoides의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Hydrolysis Mechanisms of Fish Oil by Lipolase-100T

  • HUR, BYUNG-KI;DONG-JIN WOO;CHONG-BO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5호
    • /
    • pp.624-630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ition of various fatty acids attached to glycerol and the specificity of Lipolase-100T, hydrolysis of fish oil was carried out with Lipolase-100T derived from Aspergillus oryzae. The amounts of free fatty acids produced from triglyceride, 1,2(2,3)-diglyceride, 1,3-diglyceride, and 2-monoglyceride and conversion rates of 1,2(2,3)-diglyceride to 1,3-diglyceride and 2-monoglyceride to 1(3)-monoglyceride were also calculated. The ratio of 1,2-diglyceride content to 1,3-diglyceride was higher than 70 in the early period of hydrolysis. The fatty acid content of the glyceride mixture after 72 h of hydrolysis was compared with that of fish oil, and it was found tha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6:4, C20:4 n-3, C20:5 n-3, C21:5 n-3, C22:5 n-3 and C22:6 n-3 were located in the 2-position of glycerol. Material balance of each component in the hydrolysis system was written to obtain a set of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The theoretical quantity of free fatty acids produced from triglyceride, 1,2-diglyceride, 1,3-diglyceride, and monoglyceride, respectively, were calculated by solving the linear equation system. The conversion rate of 1,2(2,3)-diglyceride to 1,3-diglyceride and that of 2-monoglyceride to 1(3)-monoglyceride were also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gration rate of 1,2(2,3)-diglyceride to 1,3-diglyceride was higher than the hydrolysis rate of 1,2(2,3)-diglyceride to 2-monoglyceride and the conversion rate of 2-monoglyceride to 1(3)-monoglyceride was extremely low.

  • PDF

국내 6개 하천에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상 (Fish Fauna Using Fishway on Six River in Korea)

  • 김동억;박제철;황종서;김동섭;이완옥;황길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55-264
    • /
    • 2020
  • 국내 주요 6개 하천의 보에 설치된 어도에서 2~9년 이상 매월 연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어류의 어도이용을 조사하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어도 출구부에서 trap에 의한 직접 채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6개 지점의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대략 2~7종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어류의 어도 이용이 종적 생리특성에 따라 특화된 결과로 보이며, 단순히 어도에서의 흐름에 따라 어도 이용을 유인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6개 지점에서 어도 이용 어류의 분포는 하천의 위치 및 보에 설치된 어도형식에 따라 달랐다. 이러한 차이는 해양 및 하구로부터 이동한 회유종의 분포 여부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어도형식에 따른 수리특성의 차이도 영향을 주었다. 대체로 어도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보이는 버티컬슬롯식 어도에서 어도이용 종수가 적고 유영능력이 좋은 어류의 비율이 높았다. 어도를 이용하는 주요 어류의 분석결과는 어도 계획과 이를 위한 주요 대상종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완도 해역의 새우조망어업에서 발생한 부수어획물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Bycatch Variations in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of Coastal Wan-do, Korea)

  • 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9-77
    • /
    • 2010
  • We examined shrimp and bycatch species composition in the shrimp beam trawl fishery off Wan-do, Korea(in the major or fishing ground)from December 2004 to November 2005. We observed a total of 103, 072 individuals in 96 taxa. By densities of individuals, 96.97% were shrimps, 1.20% decapods, 1.10% fish, 0.30% cephalopods and 0.43% other species. By catch weight, 57.29% were shrimps, 26.33% fish, 6.82% decapods, 4.64% cephalopods and 4.92% other species. In spring, the dominant bycatch species by biomass were Okamejei kenojei, Lophiomus setigerus, and Charybdis bimaculata. In summer, the dominant species were Charybdis bimaculata, Muraenesox cinereus, and Paralichlhys olivaceus. In autumn, dominants were Okamejei kenojei, Conger myriasler, and Sefipinna tenuifilis, and in winter they were Okamjei kenojei, Chaeturichthys stigmatias, and Sillago japonica. Bycatch species composition and individual species abundanc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seasons, probably indicating that variations were related to the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bycatch species.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October (2.797) and lowest in July (1.012). The July dominance index (0.569) was much higher than in other months; evenness was highest in September (0.856) and lowest in July (0.374). During the study period, the bycatch-to-shrimp ratio of this fishery varied from 0.063 in February 2005 to 11.031 in May 2005, with a mean of 3.363 These temporal variations may be linked 10 variations in reproductive behaviors and migration patterns of the marine animals sampled.

꽁치의 어업생물학적 연구 1. 척추골수, 새파수 및 상대성장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OF THE EAST COAST OF KOREA 1. Numbers of Vertebrae, Gill Rakers and Relative Growth)

  • 김기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6
    • /
    • 1971
  • 1970년 5월, 7월, 12월에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어획된 꽁치에 대해서 척추골수, 새파수 및 상대성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척추골수는 65개를 mode로 하고 $64\~66$게가 전체의 $9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평균 척추골수는 64.80이다. 새파수는 12월에 있어서 $33\~44$개의 범위에 있으며 평균치는 37.08이다. 2. 중형군($26.0\~28.0cm$대)과 대형군($30.0\~31.0cm$대)으로 구분하여 척추골수라 새파수를 보면 북상기의 중형군은 남하기의 대형군과 그 수가 닮아 있고 남하기의 중형군은 북대기의 대형군과 그 수가 닮아 있다. 3. 척추골수와 새파수와의 사이에는 상관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12월에 있어서 척수골수는 대형군이 중형군보다 많으나 새파수는 중형군이 대형군보다 많다. 4. 체장에 따른 두장비의 변화는 체장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다. 5. 체장과 두장과의 관계 및 체장과 체중과의 관계는 북상기와 남하기에 따라 그 경향이 다르다. 6. 7월의 중형군에서 12월의 대형군까지의 체중 증가량은 12월의 중형군에서 7월의 대형군까지의 체중 증가량의 약 2배 이상이 될 것이라 추정된다. 7. 체장에 따른 비만도(내장 제외한 체중으로 계산)는 12월에서는 거의 일정하나, 7월의 손 꽁치 어업에서 어획되는 산란중의 군중에서는 중형군과 대형군이 상이하다. 그리고, 12월의 비만도는 7경의 비만도보다 높다.

  • PDF

생선비늘의 유효이용을 위한 성분분석 (Analysis of Composition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Fish Scales)

  • 전유진;김용태;김세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89-597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산가공율의 증가에 따라 부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수산부산물 내지는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어류의 비늘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고 아울러 해산어와 담수어 유래의 비늘 사이에 서식환경에 따른 함유성분의 차이가 있는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해산어와 담수어의 두 어종간에 있어서 함유하고 있는 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이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함량의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숭어비늘의 일반성분 함량은 회분과 단백질이 거의 50%로 같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는데 반하여 잉어비늘에서는 회분이 약 20% 그리고 단백질이 약 80%로서 단백질의 함량이 회분보다 약 4배 가량 높았다. 비늘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그 아미노산 조성 및 전기영동패턴에 의해 콜라겐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비늘 콜라겐의 $\alpha$1 a 및 $\alpha$2 사슬의 전기이동패턴은 대조구로 사용된 소껍질의 Type I 콜라겐의 그것들과 거의 똑같은 것으로 보아 비늘 콜라겐도 Type I으로 추측되었다. 그리고 숭어비늘의 경우에는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단백질이 콜라겐인데 비하여 잉어비늘은 전체 단백질 중 약 53%만을 차지하고 있었다. 비늘로부터 추출한 조회분에 대한 원소분석 및 X-ray 회절분석에서는 그 주성분 hydroxyapatite로 확인되었으며, 시료간의 차이는 전혀 없이 거의 완전하게 일치하였다.

  • PDF

내수면 수산자원보호구역 오십천 및 왕피천의 어류군집 구조 및 수산자원 분포특성 (Fish Community Structur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eries Resources in the Osip Stream and Wangpi Stream, Fishery Resources Protection Areas)

  • 김경훈;이진왕;조영빈;임재현;최지웅
    • 생태와환경
    • /
    • 제56권1호
    • /
    • pp.57-6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십천과 왕피천 수산자원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어류군집특성과 수산자원종의 분포현황을 분석하고 수산자원보호구역의 가치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십천과 왕피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시기별로 총 4회 조사하였다. 오십천과 왕피천에서 각각 31종, 29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피라미(28.6%)와 점몰개(41.7%)로 나타났다. 각 하천에서 출현한 어류를 생활형(Life type)에 따라 구분하면, 오십천에서 일차담수어 18종(58.1%), 회유성종 4종(12.9%), 왕피천에서 일차담수어 21종(72.4%), 회유성종 6종(20.7%)으로 확인되었다. 수산자원종은 6월에 개체수가 풍부하였고, 10월에 생체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오십천과 왕피천의 하류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는 각각 44종 및 45종으로 높은 생물다양성을 나타내었고, 황어, 은어, 민물검정망둑 등은 안정적인 개체군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지표종 분석결과 내성종 비율은 오십천이 14.4%, 왕피천은 1.1%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서식환경의 양호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분석을 종합한 결과, 오십천과 왕피천의 수산자원보호구역은 기능 및 보존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지속적인 이용 및 관리를 위해 생물학적 교란요인에 대한 관리, 환경수용력을 고려한 수산자원 방류사업, 어류의 생활사를 고려한 물리적 서식환경 개선, 장기적인 수산자원조사를 통한 기초자료 구축 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rcachon灣(佛) 水域에서 뱀장어群(Anguilla anguilla)의 年齡과 成長 (AGENIG AND GROWTH OF EEL POPULATION, ANGUILLA ANGUILLA, IN THE LAGOONS OF ARCACHON BAY(FRANCE))

  • 이태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3-94
    • /
    • 1982
  • 1977年부터 1978年 10月 사이 Arcachon灣 水域에서 採集된 資料를 分析하여 年齡을 決定하고 成長을 推定하였다. 耳石 斷面의 構造는 전자 현미경 하에서 觀察 하였고, 解剖 현미경 하에서 觀察된 結果와 비교하였다. 年輪은 冬季 뿐 아니라 夏季에도 목이 相對的으로 좁은 "年輪"이 形成됨이 觀察되었으며, 後者는 夏季에 發生하는 赤潮現象과 關聯되어 진 것으로 思料된다. 成長은 例外的으로 큰 個體를 除外시켰을 때, Von Bertalanffy식을 適用할 수 있었다. 産卵回遊에 의한 한 年齡群 中 큰 個體의 除법은 水에 남은 魚群의 成長律을 減少시키고, 이러한 選擇적인 큰 個體의 回遊가 Von Bertalanffy의 假定을 滿足시키는데 一部 기여하는 것 같다. 例 外的으로 큰 個體의 연 별 體長分布를 "正常的"인 個體들 및 回遊魚群과 比較分析 하여, 이들은 어릴때부터 成長이 빠른 個體들 중 一部로 構成되어 있음을 제시하였 다.一部로 構成되어 있음을 제시하였 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