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sh length

검색결과 1,046건 처리시간 0.029초

경구투여에 의한 버섯균사체 배양액이 넙치의 성장 및 비특이적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e Broth from Mushroom Mycelium on Growth and Non-specific Immune Parameters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nistration)

  • 김만철;김민주;김주상;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434-1440
    • /
    • 2007
  • 본 연구는 넙치의 면역반응에서 버섯균사체 (상황버섯, 운지버섯) 혼합배양추출물의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혼합배양추출물은 넙치에 대해서 성장, 혈액, 라이소자임활성, 백혈구, 식세포활성 및 Vibrio anguillarum에 대한 질병저항성에 관해서 평가되었다. 성장에 있어서 버섯균사체 혼합 배양 추출물을 섭이한 그룹의 체중은 52 g 전장은 2.1 cm가 대조구보다도 증가하였다. 혈액학적으로 버섯균사체 혼합 배양추출물을 경구투여 했을 때 글루코오스의 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각 그룹에 대한 C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lc pyruvic transamlnase), TG, TP, LDH (lactate dehydronase)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라이소자임 활성은 대조구 보다 실험구에서 80%의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식세포 활성은 실험구에서 대조구 보다 60% 높은 활성을 보였다. 라이소자임 활성과 식세포 활성의 결과 경우에는 12주후에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대조구 보다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7{\times}10^8\;CFU$ 농도로 어류 병원성 세균인 Vibrio anguillarum를 어류 당 투여하여 병원성 테스트를 한 결과 누적 폐사율을 대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25%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출산기 모체에게 triiodothyronine (T3) 주사하여 얻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어의 성장 및 활성 (Growth and Activities of Larvae Born from the Triiodothyronine-Injected Parturient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허준욱;민병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51-556
    • /
    • 2002
  • 출산기에 임박한 조피볼락 암컷에 20mg/kg체중의 농도로 3,5, 3'-triiodo-L-thyronine $(T_{3}$)를 주사한 뒤, 출산 자어로의 호르몬 전이여부, 자어 성장과 활력을 조사하였다. 출산자어의 갑상선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출산직후에 $T_{3}$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T_{3}$농도를 나타냈으나, L-thyroxine $(T_{4}$)의 농도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기간 동안 어체내 모든 실험구의 감상선호르몬 농도는 $T_{3}$$T_{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실험구별로는 $T_{3}$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어의 성장률은 대조구에 비하여 T,구에서 높았으며, 출산후 경과일수에 따라 직선적인 전장성장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종료시 생존율은$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유영활성에서도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출산직전 $T_{3}$ 모체주사는 외부영양원 섭취개시기의 자어성장 및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출산전 모체주사를 통하여 외인성 $T_{3}$가 자어로 전이되며, 전이된 호르몬은 출산후의 자어의 초기 발달기 동안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Radio telemetry를 이용한 금강보 설치구간에서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이동 특성 (Evaluation of the Movement Pattern of Siniperca scherzeri Using the Radio Telemetry in the Middle Part of the Geum-River where Wiers were Constructed Recently)

  • 백승호;윤주덕;김정희;박상현;이진웅;장민호;김수경;변명섭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77-85
    • /
    • 2015
  • 쏘가리는 국내 주요 경제성 어종이며 방류 및 복원사업의 대상 어종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금강의 보 설치구간에서 쏘가리의 이동 특성 및 서식처 범위 등을 평가하기 위해 Radio telemetry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란기에 방류한 개체들의 경우 방류 즉시 상류로 10km 이상 소상하였지만, 비 산란기에 방류한 개체들은 2개체를 제외한 모든 개체들이 방류 지점으로부터 400 m 이내에서 정착하였다 (Ss11, 3.2 km; Ss 15, 1.4 km). 산란기에 상류로 소상한 개체들이 정착한 지점의 서식처 특성은 기존에 알려진 쏘가리의 산란장 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 퇴적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였다. 쏘가리가 감지는 수변부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변부에 큰 돌이 많이 분포하는 것, 쏘가리가 주로 돌 틈에 숨어서 서식하는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쏘가리의 개체 특성과 이동거리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무게와 비대지수가 이동거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과 크기는 이동거리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기 이동 범위 분석 결과$214.94m^2{\sim}3,257.19m^2$로 나타났으며 주로 수변부에 국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쏘가리 방류사업, 혹은 복원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떡류(類)의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1670년${\sim}1943$년의 우리말 조리서를 중심으로)- (A Bibliographical Study of Dock(Korean rice cake))

  • 맹혜열;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3-162
    • /
    • 1988
  • $D{\acute{o}}ck$ (Korean rice cake) is a peculiar food of Korea made of grain. By means of cooking from, it is defined as 'Pulvberzed food of grain' $D{\acute{o}}ck$ was one of the daily food, but development of boild rice had narrowed it's use to the food of festive days and ceremonies. $D{\acute{o}}ck$ is used as a main food of all Kinds of ceremonies from one's birth to death, such as the Three seven day(a baby's twenty-first day of life), one hunderdth day, birthday, wedding, both brithday, funeral and sacrifical rites, vocational ceremonies, such as a sacrifice to spirits and a srevics for a big catch of fish. It is also used as a present and seasonal food. A large variety of $D{\acute{o}}ck$ is available and its recipe is scientific and reasonable. In this treatise, the Kinds of $D{\acute{o}}ck$ and the frequency of them, the material, the recipe, the measuring unit of material, cooking kitchen utensils and the cooking terms are studied from the books published in Korea from 1670 to 1943. 1. $D{\acute{o}}ck$ was classified as Tcbin $D{\acute{o}}ck$(steamed), Chin $D{\acute{o}}ck$(strikn), Chijin $D{\acute{o}}ck$(fried) and Salmun $D{\acute{o}}ck$(boiled), according to its way of cooking. 2. There were 122 Kinds of $D{\acute{o}}ck$, 57 were Tchin $D{\acute{o}}ck$, 35 Chin $D{\acute{o}}ck$, 20 Chijin $D{\acute{o}}ck$, and 10 Salmun $D{\acute{o}}ck$. 3. There were 34 Kinds of measuring units. Of them, 13 for volume, 4 for weight, 9 for quantity, 4 for length and 4 for the rest. 4. There were 55 Kinds of cooking Kitchen utensils but now many of them are not used because of mechanization or automation of tools of living. 5. There were 143 Kinds of cooking terms. Of them 49 for the preparing process, 25 for the mixing process, 27 for well-forming process 10 for process of getting ready to cook, 14 for heating process, 10 for cutting process, 5 for dishin process and 3 for process of soaking in sugar or honey.

  • PDF

수온, 염분 및 먹이에 따른 열대 유종류, Metacylis tropica의 성장 (Population growth of a tropical tintinnid, Metacylis tropica on different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 이균우;최영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22-328
    • /
    • 2016
  • 본 연구는 열대 유종류인 Metacylis tropica의 최적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5일 동안 수온, 염분 및 먹이원인 미세조류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M. tropica는 작고 투명한 난형의 피갑을 가지며, 피갑의 구강부 지름, 갑장 및 갑폭의 크기는 각각 $36.7{\mu}m$, $49.5{\mu}m$$44.5{\mu}m$였다. 수온별 실험에서, M. tropica의 최고밀도와 성장률은 수온 $30^{\circ}C$에서 각각 340.7 cells/mL와 1.1/day로 나타났다. 낮은 염분은 M. tropica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염분 33 ppt에서 최고밀도가 840 cells/mL로 나타났다. 먹이실험에서, 먹이로 Isochrysis galbana를 공급하였을 때,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배양밀도, 413 cells/mL; 성장률, 1.2/day). 본 실험을 종합하여보면, M. tropica는 rotifer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자어기에 입이 작은 어류의 초기먹이생물로 적합하며, 수온 $30^{\circ}C$, 염분 33 ppt에서 I. galbana를 먹이로 공급하는 것이 M. tropica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

불볼락(Sebastes thompson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안철민;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6
    • /
    • 1998
  •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경남 삼천포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의 성숙 및 생식주기를 주로 조직학적 방범에 의해 연구하였다. 난소내부는 난소외막으로부터 시작된 여러겹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며 이곳에서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난모세포는 성장하면서 난소박판 내부에서 부터 난소강쪽으로 돌출되어 난병에 의해 난소박판에 연결된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다수의 정세관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정세관은 여러개의 소낭구조를 가지는데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생물학적 최소형은 암컷은 전장 19.5cm, 수컷은 전장 21.5cm이다.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9.56으로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8월에는 0.15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수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2월에 0.25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7월에는 0.04로 연중 최저치를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암컷은 성장기 ($10\~11$월), 성숙기 ($12\~2$월), 임신기 (3월), 출산 및 회복기 ($4\~6$월) 그리고 휴지기 ($7\~9$월)로 나눌 수 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9\~11$월), 성숙기 ($12\~1$월), 완숙 및 교미기 ($2\~3$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 ($4\~8$월)로 나눌 수 있다.

  • PDF

쏘가리 Siniperca scherzeli 자어기에 있어 초기 기아가 체형, 생존율 및 공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layed initial feeding on body form, mortality and cannibalism in larval stages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li (Teleostei : Centropomidae))

  • 명정구;정철;한명수;김병기;김형배;최희정;김민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9-673
    • /
    • 1999
  • 1997년 7월, 강원도 소양댐에서 채포한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부화사육하면서 절식 1일(부화 후 5일째), 3일, 5일 실험구와 무급이구에서 쏘가리 자어의 체형, 생존율 변화 및 공식률을 조사하였다. 쏘가리 자어는 4일째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7일 절식구와 무급이구는 9일째 (부화 후 12일째) $100\%$ 사망하였다. 절식 1일 실험구에서는 급이구와 유사한 성장을 나타냈으며 3일 절식구는 실험종료일에 $33\%$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기아시 쏘가리 자어는 전상 금이구보다 성장이 느렸으며 지느러미의 발달도 느려졌고 체고 (BD)와 근절 높이 (MH)가 낮아지는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공식은 급이구에 비하여 무급이구나 절식구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절식구에서는 1일 최고 $23\%$의 높은 공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

홍백 비단잉어와 홍백 비단잉어×홍잉어 교배종의 적색소 분석 (Analysis of Red Coverage in Red- and White-koi Carp (Cyprinus carpio) and Red- and White-koi Carp (C. carpio)×Red Common Carp (C. carpio) Cross Progenies)

  • 황주애;김정은;이정호;김대희;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고품질 비단잉어 생산을 위해 비단잉어와 홍잉어 교배종의 성장과 적색색소의 빈도분석을 통해 비단잉어 색도를 분석하였다. 색소 및 성장도 분석을 위해 부화 후 170일령 비단잉어를 각 교배 집단별로[비단잉어${\times}$비단잉어(KK), 비단잉어${\times}$홍잉어(KR)와 홍잉어${\times}$비단잉어(RK)] 100개체씩 분석하였다. 성장도 분석 결과 비단잉어${\times}$홍잉어(KR) 교배집단에서 전장과 전중의 성장이 가장 높았다. 교배 그룹 모두 흰색, 적색-흰색, 적색의 3가지 색소 패턴을 보였다. 적색색소 분포는 KK 집단이 64%, KR 집단이 56%, RK 집단이 36%였다. 적색 색소 범위의 빈도분석 결과 적색색소 30~50%를 차지하는 비율이 KK 집단이 10%, RK 집단이 12% 그리고 KR 집단이 14%로 가장 높았다. 비단잉어 적색색소 빈도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단잉어 선별을 위한 분석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베트남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 (Teleostei; Scorpaeniformes)의 전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와 분자계통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and Molecular Phylogeny of the Flathead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 from Vietnam (Teleostei; Scorpaeniformes))

  • ;;최윤희;김근용;허정수;김근식;유정화;김경미;윤문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17-225
    • /
    • 2021
  • 양태과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저서성 바닷물고기로써 인도태평양과 지중해의 열대 또는 온대지역의 하구역에 서식한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flathead의 일종인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의 전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최초로 분석하였다. 그 총 길이는 16,641 bp이었고, 단백질암호화 유전자 13개, 리보솜 RNA 유전자 2개, 전량 RNA 유전자 22개로 구성되었다. 그 유전자의 구성과 배열은 전형적인 척추동물과 같았다. 단백질암호화 유전자 13개를 바탕으로 작성된 분자계통수에서 P. cultellatus는 같은 과에 속하는 종들과 단계통군을 형성하였고, P. indicus를 비롯하여 Platycephalus sp.로 등록된 표본들과 함께 분기하였다. 또한 DNA 바코딩 분자마커로 널리 사용되는 cox1 유전자를 바탕으로 작성된 분자계통수에서 우리의 표본은 같은 종에 속하는 표본들과 단계통군을 형성하여 그 분류학적 위치가 명확하게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분석된 P. cultellatus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는 이후 flatheads의 분류와 분자계통을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