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molar

검색결과 1,022건 처리시간 0.022초

Cone Beam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상악대구치 발치 후 상악동 함기화 평가 (Maxillary sinus pneumatization after maxillary molar extraction assessed with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정연화;나경수;조봉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3호
    • /
    • pp.109-113
    • /
    • 200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erior expansion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following maxillary molar extraction. Materials and Methods : Cone beam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59 subjects were used to evaluate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between extraction sites and contralateral dentate sites. The height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as defined as the vertical distance to the Frankfort plane from the level of the anterior nasal spine to the most inferior point of the sinus floor.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sinus pneumatiz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ng teeth and the vertical relationship of the molar roots to the sinus floor. Results : The inferior expansion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as $1.20{\pm}1.86\;mm$ on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1.90{\pm}2.42\;mm$ on the maxillary second molar. Increased expansion was observed in cases where two proximate molars were extrac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nus pneumatization following extra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relationship of the molar roots to the sinus floor.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sinus pneumatization occurs following maxillary molar extraction. In situations where pneumatization can affect treatment after molar extraction, three-dimensional radiography should be considered.

  • PDF

Molar-incisor malformation에 이환된 제2유구치의 미세 형태학적 분석 : 증례 보고 (Micromorphological Analysis of Primary Second Molar with Molar-inciso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 김명환;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52-358
    • /
    • 2021
  • Molar-incisor malformation (MIM)은 치관은 정상이나 치근의 비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제1대구치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제2유구치나 상악 중절치도 때때로 이환된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제1대구치를 포함해, 제2유구치에 MIM이 나타난 환자의 증례를 보고하고, 치근이 건전하게 발거된 제2유구치의 micro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서는 MIM의 외형적 특징인 치관 - 치근 이행부의 cervical constriction을 육안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micro CT 분석에서 백악법랑경계부의 광화된 부위 (Cervical Minelarized Diaphragm), 많은 부근관과 막힌 근관 등의 복잡한 근관 형태, 근관 내 석회화 물질, 영구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착된 치관부 치수강이 관찰되었다.

CBCT study of mandibular first molars with a distolingual root in Koreans

  • Kim, Hee-Ho;Jo, Hyoung-Hoon;Min, Jeong-Bum;Hwang, Ho-Kee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3호
    • /
    • pp.33.1-33.8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 separate distolingual root an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bone in mandibular first molars in Korean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High-quality CBCT data from 432 patien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a separate distolingual root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was investigated. The distance from the distobuccal and distolingual root apic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bone was measured. We also evaluated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bone. Results: The prevalence of a separate distolingual root (2 separate distal roots with 1 canal in each root; 2R2C) was 23.26%. In mandibular first molars with 2R2C, the distance from the distobuccal root apex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bone was 5.51 mm. Furthermore, the distance from the distolingual root apex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bone was 12.09 mm. In mandibular first molars with 2R2C morphology,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bone at the distobuccal root apex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was 3.30 mm. The buccal cortical bone at the distobuccal root apex was significantly thicker in the right side (3.38 mm) than the left side (3.09 mm) (p < 0.05). Conclusions: A separate distolingual root is not rare in mandibular first molars in the Korean population. Anatomic and morphologic knowledge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can be useful in treatment planning, including surgical endodontic treatment.

Miniplat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교정치료 증례 (ORTHODONTIC TREATMENT OF AN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USING MINIPLATE AS A SKELETAL ANCHORAGE: A CASE REPORT)

  • 장윤형;김은영;김광철;박재홍;이백수;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6-251
    • /
    • 2010
  • 치아의 매복은 치배의 이상 위치 혹은 맹출로에 장애가 있어서 일어나지만,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하악 제1대구치 매복의 발생율은 0.01~0.25%로 매우 드물지만, 이러한 매복은 인접 치아의 우식 또는 치근 흡수, 치조골의 저성장, 치주적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매복을 해소시켜줄 필요가 있다.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가 근심경사 되어있을 경우 이를 직립시키기 위한 여러 생역학적 접근법이 있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은 상호간의 힘(reciprocal force)에 의해 고정원 단위의 이동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골격성 고정원(SAS, Skeletal Anchorage System)의 도입으로 목표 치아 혹은 목표 분절에 직접적인 힘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기간의 효율적 치아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만곡된 치근을 가진 매복 하악 좌측 제1대구치에서 치아의 직립을 위해 골격성 고정원인 miniplate를 사용 하였다. miniplate는 후구치 부위에 식립되었으며, 교정력을 적용한 10개월 후 매복치가 구강 내로 노출되고 직립되었다. 이에 하악 좌측 제1대구치를 고정성 교정장치에 포함시켜 정상 교합을 얻을 수 있었다.이와 같이 골격성 고정원을 사용함으로써 교정술식을 단순화시키고 교정치료 기간을 줄이며 부작용이 적었던 장점 등이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맹출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치료 : 증례 보고 (Management of Eruption Disturbance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 A Case Report)

  • 전현순;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4-320
    • /
    • 2013
  • 하악 제1대구치 맹출장애의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나며, 발생 원인과 발견 연령 등에 따라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primary retention), 이차적 만기잔존(secondary retention) 등으로 분류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술 후 교정적 견인술, 탈구를 동반한 교정적 견인술,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증례보고는 각각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진단된 5명의 환자들에서 다양한 치료방법을 이용하여 하악 제1대구치를 성공적으로 교합유도한 증례들을 보여준다. 맹출장애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는 치아의 평균적인 맹출시기에 임상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적절하게 진단내려질 수 있으며, 치아의 맹출 정도, 대합치와 인접치와의 관계, 환자의 연령, 협조도, 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되어야 한다.

소아청소년에서 제1대구치의 기성금속관 수복 후 교합 변화 (Changes of Occlusion following the Placement of Preformed Metal Crown to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지웅;이난영;지명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심한 우식 또는 저광화에 이환된 제1대구치에 기성금속관을 수복한 후 교합 변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제1대구치가 교합 평면까지 도달하여 교합되는 환자 중 기준에 부합하는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의 제1대 구치에 기성금속관으로 수복치료를 진행하였다. 치료 전, 치료 직후, 4주 후, 8주 후 검진마다 T-Scan III을 사용하여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교합력 분포를 측정하였고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로 수직피개를 측정하였으며 정중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8주 후 검진에서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부분 치료 전과 비교해서 치료 직후 악궁에서 수복한 쪽과 수복하지 않은 쪽 사이의 교합력 분포가 역전되었으며 수직피개는 감소했다. 하지만 4주 후에 좌, 우측 교합력이 평형을 이루었고 수복한 제1대구치와 수복하지 않은 제1대구치의 교합력 분포는 비슷한 값을 가졌다. 또한 변화한 수직피개, 정중선은 치료 전 상태로 회복되었고 치료 후 유의할만한 턱관절 및 저작 불편감은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성금속관 수복 후 한 달 뒤에 자발적인 교합 평형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성의치를 이용한 유구치 조기 상실의 치료 (Managemen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with Flexible Denture)

  • 송기언;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7-191
    • /
    • 2016
  •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은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이나 근심경사를 야기할 수 있다. 5세 여아에서 다수의 하악 유구치 조기상실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계승 영구치의 소포염으로 인해 하악 좌측 제1유구치와 제2유구치의 발거가 필요하였다.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는 동시에 제1대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였다.

한국인의 하악 구치의 근관 형태에 관한 후향성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ENDODONTICALLY TREATED MANDIBULAR MOLARS IN A KOREAN POPULATION)

  • 정일영;금기연;이승종;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731-738
    • /
    • 1997
  • A retrospective in vivo study of endodontically treated mandiblar molars was conducted. The radilographs and clinical records of mandibular molars that had been treated endodontically in the Dental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from 1986 to July 1997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A total of 1751 cases were studi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of root canals in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in a Korean population revealed three in 53.2 %, four in 23.0 %, two in 18.4 %, C-shaped canal in 5.0 %, and one in 0.4 %. 2. In mandibular second molar, three canals was observed in 53.2 %, four in 22.2 %, two in 14.9%, C-shaped canal in 9.1 %, and one in 0.6%. 3. In the results of the percentage of 4 canals of mandibular first molars at various age, before age 20, 37.7 % was obtained whereas 19.3 % after 30. 4. 7.94 % of mandibular first molars examined were found to have three roots. 5. The mandibular second molar had C-shaped canals in 9.1 %.

  • PDF

하악 제1대구치 단일 수복을 위한 발치 즉시 임플란트의 임상증례 (Immediate implantation for single mandibular first molar restoration: clinical case report)

  • 박철우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2
    • /
    • 2021
  • 발치 즉시 임플란트는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해서 치과임상에서 유용한 임플란트 치료법으로 인식되면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서 하악 제1대구치의 발치가 필요한 5명의 환자에게 발치 즉시 임플란트 치료를 진행하여 전체 치료 기간을 단축하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발치 즉시 임플란트는 발치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절한 초기고정을 얻어야 하고 주위 연조직도 개선해야 하는 고난도 치료법이지만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보철 수복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Prediction Partial Molar Heat Capacity at Infinite Dilution for Aqueous Solutions of Various Polar Aromatic Compounds ov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Habibi-Yangjeh, Aziz;Esmailian, Mahd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9호
    • /
    • pp.1477-1484
    • /
    • 2007
  •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for a first time, were successfully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partial molar heat capacity of aqueous solutions at infinite dilution for various polar aromatic compounds over wide range of temperatures (303.55-623.20 K) and pressures (0.1-30.2 MPa). Two three-layered feed forward ANNs with back-propagation of error were generated using three (the heat capacity in T = 303.55 K and P = 0.1 MPa,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six parameters (four theoretical descriptors, temperature and pressure) as inputs and its output is partial molar heat capacity at infinite dilution. It was found that properly selected and trained neural networks could fairly represent dependence of the heat capacity on the molecular descriptors, temperature and pressure. Mean percentage deviations (MPD) for prediction set by the models are 4.755 and 4.642,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