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egg laying da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재래닭과 Rhode Island Red의 교잡에 의한 주요 경제형질의 잡종강세 효과 추정 2. 한국재래닭과 Rhode Island Red 교잡종의 산란능력 (Estimation of Heterosis for Some Economic Ti'aits in Crossbreds between Korean Native Chicken and Rhode Island Red II. Lay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and Rhode Island Red Crossbreds)

  • 강보석;정일정;이상진;김상호;오봉국;최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7-137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laying performance and heterosis of Korean Native Chicken(KNC), Rhode Island Red(RIR), and KNC x RIR crossbreds A total of 1,274 female pullets were produced from KNC, RIR and RIR crossbreds i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Ko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O~64 weeks from Jan 20. to Nov.25, 1996. The age at first egg of crossbreds were 144.1~148.7 days. The first egg weight of crossbreds was 39. 4~40.3 g, and body weights at first egg of KNC dark brown strain x RlR(DR), KNC light brown strain x RlR(LR) and KNC dark black strain x RlR(BR) were 1,943 g, 1,925 g and 2,044 g, respectively. During the laying period the average viability of crossbreds was 96.6~98.3%. The hen-day egg production of crossbreds were 111.1~113.O eggs at 40 weeks of age, and 223.5~227.5 eggs at 64 weeks of age, respectively. The hen-day egg production peaks were 78.2~80.1% in KNC, and 85.8~87.5% in crossbreds. The heterosis were estimated to be 3.61%, 9.21%, 4.78%, 2.97% and -1.63% for the first egg days, body weights at first egg, layer viability, hen-day egg production, and feed conversion ratio, respectively.

  • PDF

토종오리 순종 2계통의 사육형태에 따른 산란능력 (Laying performance of two pure-line Korean native ducks at different house types)

  • 김학규;홍의철;강보석;김종대;허강녕;추효준;황보종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53-60
    • /
    • 2012
  • This work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ay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Ducks (KND) Pure-Line (PL). A total of 400 female pullets were hatched from PL to keep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Twenty weeks old PL female ducks were divided into 4 groups (5 replications/group, 20 head/replications). Four groups were compared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strain (White strains, WW; Celadon strains, CC) and house type (flat house, cage house). On first egg laying day, CC strain laid eggs earlier compared to WW strain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at and cage house. Egg weight (EW) and body weight (BW) at first egg laying day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and houses. BW of CC strain was higher than WW strain at the age of 30 week (P<0.01). Weekly feed intake (FI) have no difference between flat and cage house, but FI of WW strain was high compared to CC strain during 20~30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W between CC and WW strains, but EW was low at flat house compared to cage house (P<0.05). Weekly egg productions of WW strain and flat house were lower than CC strain and cage house, respectively (P<0.01). Finally,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hat needed to introducing new strains.

Effects of Chilled Drinking Water on Performance of Laying Hens during Constant High Ambient Temperature

  • Gutierrez, W.M.;Min, W.;Chang, H.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94-699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hilled drinking water on the productivity of laying hens under constant high ambient temperature. A total of seventy-two, 123-day-old Hy-line brown layers was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The first group (UDWG) was given unchilled water ($23.0{\pm}2.5^{\circ}C$) as a control, and the second group (CDWG) was given chilled water ($16.0{\pm}0.5^{\circ}C$). The laying hens were kept at $30^{\circ}C$ constant temperature with 50% relative humidity and were exposed to 17 h of light per day. Feed intake, egg production, egg quality (egg weight, shell weight, shell thickness, egg color, yolk color, and Haugh unit),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ed intake of CDWG laying hens was significantly higher (11.64%) than the UDWG counterparts (p<0.01). Egg production of CDWG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11.27%) than the UDWG counterparts (p<0.001). Furthermore, we observed that the CDWG laying hens had significantly higher (11.72%) levels (p<0.10) of blood calcium, with a corresponding value of 21.92 mg/dl compared to the UDWG hens (19.62 mg/dl). The higher calcium concentration in the CDWG animals may contribute to increased egg production. The CDWG laying hens also contained higher (12.53%)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blood compared to the UDWG (4.22 mg/dl vs. 3.75 mg/dl), although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10). Egg weight and egg quality were not affected by chilled drinking water. In conclusion, providing chilled drinking for laying hen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improved feed intake and egg production.

가잠란 발육과정에 따른 RNA 함량의 변동 및 방사선이 잠란 RNA 함량에 미치는 영향 (1) (RNA content of Bombyx mori egg during its development and irradiation effect on its RNA content (Part. 1))

  • 김영수;이기영;최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23-28
    • /
    • 1963
  • (1) 산란후 유정란의 RNA량은 계속 증가하여 제 5일에 최고 (제 1일의 약 2.1배)에 달하고 제 6일부터 약간 감소된다. 이와 같은 RNA 량의 변동은 잠란의 배자형성 및 발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무정란의 RNA 량은 산란직후부터 유정란의 그것에 비하여 대단히 적고 (약 절반임) 제 4일까지 약간의 증가를 보이나 제 5일부터 감소한다. (3) 조사유정란은 방사선조사(3,000 r)후 제 2일까지는 RNA 량이 약간 증가하나 그 후부터는 별 변동이 없다. 즉 방사선 조사로 란 RNA 합성이 크게 억제됨을 알 수 있다.(4) 침산처리란은 침산처리 제 4일부터 RNA 량이 격증하여 부화 1일 전인 제 7일까지 계속된다. 비침산란은 해기간중 RNA 량의 변동이 거의없다. 조사침산처리란 (1,500 r)에 있어서는 조사후 제 3일까지는 비조사란과 달라 RNA 량이 감소되었다가 제 4일부터 격증하여 제 7일까지 계속된다.

  • PDF

토종 종계 육성기 체중이 산란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Weight in Growing Period on Laying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Breeders)

  • 손시환;김기곤;최은식;오상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5-22
    • /
    • 2023
  • 본 연구는 토종 종계의 육성기 체중과 산란 능력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성숙 이전 주령별 체중과 이들의 초산일령, 산란율 및 난중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공시계는 (주)한협원종이 보유한 신품종 토종 종계 1,384수로써 발생부터 20주령까지의 체중과 초산일령, 초산이후 50주령까지의 일계 산란율 및 산란지수, 32주령 및 50주령 난중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육성 초기 체중과 초산일령 간에는 정(positive)의 상관이, 육성 후기 체중과 초산일령 간에는 부(negative)의 상관이 나타났다. 육성기 체중과 일계 산란율 및 산란지수 간에는 비슷한 상관계수를 보이고, 육성전기 체중과 산란율 간에는 부의 상관이, 육성 후기 체중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육성기 체중과 32주령 난중 간에는 거의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50주령 난중과는 낮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토종 종계에 있어서 8주령 이전까지의 육성 초기 체중과 산란 능력 간에는 거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여지고, 12주령 이후 육성 후기 체중과 산란 능력 간에는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육성 후기 때 병아리의 체중이 증가할수록 성 성숙이 빠르고, 산란율도 높고 난중도 증가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토종 종계 모계의 경우 육성 후기 병아리의 체중 관리가 매우 중요하고, 이때 종계들의 체중이 표준 체중 이상이 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Evaluation of different non-fasting molting methods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during molting and post molting periods

  • Gun Whi, Ga;Soo Ki, Kim;Yong Gi, Kim;Jong Il, Kim;Kyung Il, Kim;Kwan Eung, Kim;Yong Ran, Kim;Eun Jip, Kim;Byoung Ki, 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4호
    • /
    • pp.717-726
    • /
    • 2022
  • The study evaluated different molt-inducing methods to achieve the main goal of molting in commercial layers during molting and post-molting periods. A total of 400 60-week-old Lohmann Brown lay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eight replicates of 10 birds for each group). Laying hens in the fasting control group received no diet from day 1 to day 10. The second group received a molt-inducing diet recommended by the breeding company. The third group received a wheat bran-based diet. The fourth group received a commercial layer diet with 8,000 ppm zinc (as zinc oxide, ZnO). The fifth group received an induced molting diet given to the second group with 8,000 ppm zinc, respectively. Egg production in the fasting control group and groups fed a diet with ZnO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01) than those in groups fed the molt-inducing and wheat bran-based diets without ZnO during molting. Egg laying in the fasting control group was rapidly reduced and stopped on the 5.9th day of molting. In both groups having molt treatment with ZnO, egg production was similarly reduced and ceased on the 6.9th day and 7.0th day of molting, respectively, none of them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Layers fed molt-inducing diet or wheat bran-based diet did not reach the cessation of laying even on the 28th d of molting period. Relative weights of the ovary and growing oocytes of layers subjected to fasting or fed diets with ZnO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During the first two weeks of post molting, layers fed molt-inducing diet with ZnO showed higher egg produc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p < 0.01). The eggshell strength in the group fed the commercial diet with Zn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the molt-inducing diet or wheat bran-based diets at 6 weeks of post molting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on-feed withdrawal molting using ZnO is more effective in inducing molting and increasing post-molt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han other methods using a molt-inducing diet alone or wheat bran-based diet without ZnO.

토종오리 대형종 산란초기 능력 (Performance of Early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 김학규;추효준;김종대;허강녕;이명지;손보람;강보석;서옥석;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23
    • /
    • 2013
  •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초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의 20주령 토종오리 168수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A와 B계통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계통 당 6반복, 반복 당 14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산일령은 평균 154.6일, A와 B계통이 각각 154.5일과 154.7일, 시산난중은 평균 67.3 g, 각각 69.1 g과 65.5 g, 시산 시 체중은 평균 3,146 g, 각각 3,187 g과 3,105 g으로 나타났다. 초산일령은 평균 173.7일, A와 B계통이 각각 175.8일과 171.5일, 초산난중은 평균 75.1 g, 각각 75.2 g과 74.9 g, 초산 시 체중은 평균 3,235 g, 각각 3,245 g과 3,225 g으로 나타났다. 시산일령, 시산 난중과 초산 난중, 시산 시와 초산 시의 체중은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산일령은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빠르게 나타났다(P<0.05).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계통 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주령별 체중은 28주령에 가장 높았으며(P<0.05), 주령별 사료섭취량은 26주령 이후로 증가하였다(P<0.05). 평균난중은 사료섭취량과 마찬가지로 A와 B계통간 차이는 없었으며, 26주령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산란율은 22~24주령에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P<0.05), 다른 주령에서는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란수는 24주령 이후 30주령까지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높았으며(P<0.05), 주령별 산란수는 주령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사료요구율은 22~24주령에 A와 B계통이 각각 10.7과 6.53으로 A계통이 B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주령별 사료요구율은 20~22주령이 가장 높았으며, 22~24주령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4주령부터 30주령까지는 낮게 유지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초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Effect of Housing Systems - Barn vs Cage on the First Phas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Pullet

  • Ahammed, Musabbir;Ohh, Sang Jip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7-73
    • /
    • 2013
  • With an increasing concern on laying hen welfare, barn system has appea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replace the conventional c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arly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at the barn system with those at the conventional cage. A total of 288 shaver-579 brown layers were used for 9 weeks ($21^{st}$ to $30^{th}$ weeks of age) feeding study. Feed consumption and egg weight were significantly (P<0.01) higher at barn than at ca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housing systems on hen day egg production (HDEP), egg mass, body weight, feed efficiency and livability. In case of egg quality parameters, shell thickness,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wo systems. Haugh unit and albumen h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ggs produced at cage (88.97 and 8.16 mm) compared than those produced at barn (83.11 and 6.87 mm), whereas shell thickness was thicker in eggs produced at barn than those produced at cage. Shape index, breaking strength, blood spots and yolk index data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types of housing system. To implement welfare bestowing produc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barn system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cage without serious sacrifices on starting phase egg pro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arn system need to be optimized in view of daily feed consumption.

토종 종계 계통 간 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신품종 토종 실용산란계 생산 (Production of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Layer Using Crossbreeding among Native Chicken Breeders)

  • 신가빈;이슬기;김기곤;이준호;장수용;허정민;추효준;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03-212
    • /
    • 2023
  • 본 연구는 산란능력이 우수한 토종 실용산란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토종 종계 4계통(YC, YD, CK, CF)을 이용하여 이면 교배조합 검정시험(diallel crossbreeding test)을 실시하였다. 능력검정은 6개 조합의 312수를 대상으로 발생 후부터 60주령까지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난중, 산란율 및 난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생산능력 및 결합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조합의 평균 생존율은 77.1±18.8%이고, 조합 중 YDYC조합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YCCF조합의생존율이 가장 낮았다. YDYC조합의 경우, YD와 YC계통 간의 특정결합능력이 특히 우수하였다. 체중은 모든 측정 주령에서 조합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 기간 YDYC 조합의 자손이 다른 조합의 자손들보다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1). 평균 초산일령은 121.3±2.5일로 조합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주령부터 60주령까지 전체조합의 평균 일계산란율은 74.0±6.4%이었고, 산란지수는181.4±33.8개로 일계산란율은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합 중 YDCF 및 YCCK조합의 산란 성적이 가장 높았고, YDYC 및 CKCF조합이 가장 낮았으며, 이들의 성적은 일반결합능력보다 특정결합능력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중은 측정 시점 모두에서 조합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YDYC조합의난중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난각색, 난각 두께, 난각 무게 모두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1), 난각색은 YDYC조합의 달걀이 가장 짙었고, 난각 두께는 YDCF조합이 가장 두꺼웠다. 내부 난질은 조합 간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색은 YDCF조합이 가장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란 능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토종 실용산란계를 선정시 산란율이 우수하면서 생존율이 높은 YCCK조합과 산란율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난질이 양호한 YDCF조합이 가장 바람직한 조합으로 사료된다.

토종 종계 이면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생산능력 및 잡종강세효과 (Production Performances and Heterosis Effects of Korean Native Chicken Breed Combinations by Diallel Crossing Test)

  • 최은식;방민희;김기곤;권재현;정옥영;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3-134
    • /
    • 2017
  • 본 연구는 국산 신품종 토종닭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토종닭 GPS 계통들을 대상으로 $5{\times}5$이면 교배조합 시험을 실시하여 교배조합별 성적을 토대로 최적의 종계 조합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총 25개 교배조합의 암컷 1,157수를 대상으로 주요 생산능력인 생존율, 체중, 시산일령, 난중, 일계산란율 및 산란지수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각 조합별 형질들의 잡종강세효과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계의 평균 생존율은 순계구가 67.7%, 교잡구가 77.1%로 나타났다. 체중 측정 결과, 이들 25개 조합은 뚜렷한 3개의 그룹 즉, 9개의 고체중구, 12개의 중체중구 및 4개의 저체중구로 구분되었다. 12주령 평균 체중은 고체중구는 $1,873.8{\pm}43.0g$, 중 체중구는 $1,595.4{\pm}56.6g$, 저 체중구는 $1,152.7{\pm}24.7g$이었으며, 순계구는 $1,560.2{\pm}339.3g$, 교잡구는 $1,640.9{\pm}213.7g$이었다. 산란능력에 있어 시산일령은 순계구는 $139.7{\pm}4.9$일, 교잡구는 $135.8{\pm}5.1$일이었고, 평균 난중은 순계구에서 $52.3{\pm}1.6g$, 교잡구는 $53.0{\pm}1.6g$이었다. 20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지수는 순계구가 $58.3{\pm}12.9$개, 교잡구는 $69.2{\pm}10.4$개였다. 잡종강세 효과 추정에 있어 전체 조합에 대한 평균 생존율은 16.9%, 12주 체중은 5.4%, 시산일령은 -2.7%, 난중은 1.3% 및 일계 산란율은 14.3%의 잡종강세율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생존율 및 산란형질들의 잡종강세 효과가 성장형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할 때 최적의 실용계 생산을 위하여 부계통으로는 우수한 성장능력을 가진 HF 조합구의 선정이 바람직하고, 모계통으로는 우수한 산란능력을 가진 GW 및 FW 조합구의 선정이 바람직하리라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