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ize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31초

소형선박 기관실의 개구부 유동 및 온도에 대한 화재시뮬레이션: 천장 통풍통 위치 및 측면 개구부 크기 영향 (Fire Simulation for Vent Flow and Temperature in Engine Room of Small Ship: Effects of Ceiling Duct Location and Side Vent Size)

  • 정이규;이치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4-465
    • /
    • 2020
  • 소형선박 기관실 내 화재 시 개구부 유동 및 온도에 대해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열방출률이 10 kW 급인 경유(Diesel) 화재를 대상으로 하였고, 천장 통풍통의 위치, 측면 개구부 유·무 및 크기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측면 개구부의 유·무 및 크기는 연기 거동 뿐 아니라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온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측면 개구부가 미설치되거나 크기가 작은 경우 연기층이 기관실 내 바닥까지 도달하였고, 측면 개구부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이 증가하고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천장 통풍통의 위치가 연기 거동,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측면 개구부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소형선박의 기관실 내 화재 시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천장 통풍통 위치보다 측면 개구부의 크기가 더 중요한 설계 인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연기와 연기감지기술에 대한 고찰

  • 이복영
    • 방재기술
    • /
    • 통권15호
    • /
    • pp.28-38
    • /
    • 1993
  • This report is explain the nature of smoke and the principle of smoke detec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hazard of smoke and select the optimum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smoke and the particle size of smoke produced by fire

  • PDF

환기부족 화재의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Under-Ventilated Fires)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2-16
    • /
    • 2016
  • FDS를 사용한 환기부족 화재 시뮬레이션의 문제점을 재확인하고 FDS의 환기부족 화재 판단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ISO 9705 화재실 내 1000~3000 kW의 프로판 화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화재규모가 2000 kW 이상일 때 1500 kW의 경우보다 온도가 낮게 예측됨을 확인하였다. FDS를 사용할 때 환기부족 화재에서는 화재규모가 증가해도 산소부족으로 열방출률은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화재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환기부족 화재 판단기준으로 열방출률이 사용될 수 있으며, ISO 9705 화재실에서는 화재규모가 1700 kW 이상일 때 환기부족 화재가 예측됨을 알 수 있었다.

Recent Progress in Methods of Generating Water Mist for Fire Suppression

  • Guangxuan, Liao;Xin, Huang;Beihua, Cong;Jun, Qin;Jianghong, Liu;Xishi, Wang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1-265
    • /
    • 2006
  • To prevent the ozonosphere from being destroyed by Halon, it is an urgent task to find out Halon replacement. As one of the replacements water mist have showed broad applications by its advantages: little pollution to environment (not destroying the ozone layer or bring green house effect), extinguishing fire quickly, consuming a small quantity of water and having little damage to the protected objects. The methods of generating water mist strongly influence fire suppression effectiveness, which determine the cone angle, drop size distribution, flux uniformity, and momentum of the generating spray. The traditional water mist nozzle included pressure jet nozzles, impingement nozzles and twin-fluid nozzles. All of them have more or less disadvantages for fire suppression. Therefore, many research institutes and corporations are taking up with innovations in mist generation. This article provided some recent studies in State Key Laboratory of Fire Science (SKLFS) of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SKLFS have investigated new methods of generating water mist (i.e. effervescent atomization and ultrasonic atomization). and self developed a series of nozzles and developed advanced DPIVS (Digital Particle Image Velocimetry and Sizing) technique. Characteristics of water mist (the distribution of droplet sizes, flux density, spray dynamics and cone angle) produced by these nozzles were measu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ork pressure, nozzle geometry, etc.) using LDV/APV and DPTVS systems.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fire suppression effectiveness in different fire scenario (different kindsof the fuel, fire size and ventilation conditions). The fire extinguishing mechanisms of water mist was also discussed.

  • PDF

밀폐공간에서 액체연료 화염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Liquid Fuel Flames in the Confined Space)

  • 전길송;황지현;이태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93
    • /
    • 2021
  • Modern society shows rapid growth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has led to the tendency of buildings to become dense, large and advancing. Regarding fire hazards,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fires causing fatal damage, due to the rapid spread of fire, increases. Therefore, for this reason, fire defense, i.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 buildings are essential and well applied. But there are always limitations to that. Based on this reas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a fire safety system. The method presented here is not only to use a single system for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s but to jointly use it in the environment and energy management fields within the building. However, an important step is required before introducing a system of these technologies. The fire extinguishing method proposed by this system is a method of extinguishing by blocking oxygen flowing into the space where the fire occurred. However, a sufficient basis is needed for this system to be applied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conduct a preliminary experiment to introduce the new concept of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The experiment used ethanol with a relatively simple combustion reaction and a high possibility of complete combus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how the internal values changed during a fire using ethanol. Resultingly, we obtained the internal oxygen concentration and in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ccording to the initial flame size. Lastly, the data accumul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application in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대심도 지하역사에서의 화재현상 연구 (The Study on Fire Phenomena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 장용준;김학범;이창현;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3-1780
    • /
    • 2008
  • 대심도 역사에서의 화재 발생시 승객의 주 대피이동로인 계단이 매우 길기 때문에 피난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하철 호선별 대심도 역사 중에서 하나인 숭실대역(7호선, 47m)을 선정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열기류 및 연기의 거동을 분석하였고, 적절한 피난대책을 고찰하였다. 최근에 지하역사에서의 화재유동 시뮬레이션이 몇 몇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지하의 전역사에서 화재 유동 해석은 드물게 수행되어 왔다. 특히 지하 40m가 넘는 대심도 역사에서의 유동해석은 일반 PC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리눅스 클러스터(Linux cluster) 장비를 이용한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여 대심도 역사에서의 화재해석을 수행하였다. 화재유동해석은 화재전용 FDS code를 이용하였으며, 난류모델은 LES 기법을 적용하였다. 화원의 규모는 10MW이고, 성장모델은 Ultrafast model를 적용하였다. 적정한 격자크기는 화원의 특성직경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총 격자규모는 약 10,000,000개이다. 이는 일반 PC에서는 다루기가 불가능한 격자수이므로,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여 6 cpu 리눅스 클러스터 장비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주거용 스프링클러 분무의 액적크기 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roplet Size Distribution of Sprinkler Spray for Residential Building)

  • 김성찬;김정용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5-180
    • /
    • 2015
  • A series of sprinkler discharging test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roplet size and its distribution of residential fire sprinkler heads. Droplet sizes in sprinkler spray were measured using a laser diffraction method for the flush, circular and pendent type sprinkler head. In this study, the $D_{v,50}$ of the flush type sprinkler heads were ranged between $530{\sim}1040{\mu}m$ and those of circular and pendent type were $988{\mu}m$ and $916{\mu}m$, respectively. The measured cumulative volume distributions were followed by a combination of the log-normal and Rosin-Rammler distribution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omputational fire analysis and the parameters of distribution function were obtained from the best fit line through the measured data.

물 분무 액적 특성이 화재진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Droplets Characteristics of Water Spray on Fire Suppression)

  • 이재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물 분무 액적 특성 변화가 화재 진압에 미치는 영향을 FDS 6.5.2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물 분무 노즐의 소화계수, 액적 분포함수, 중간체적 직경 및 초당 액적 수 변화에 대한 화재진압 특성은 정규 열방출률 곡선의 감소율와 냉각시간의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소화계수가 증가하면 정규열방출률 곡선이 더 급격하게 감소하고, 중간체적입경 변화가 화재진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일 액적분포에서 초당액적수의 증가에 따라 정규 열방출률 곡선은 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다중분포에서는 초당액적수가 작은 조건에서만 정규 열방출률 곡선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로지스틱 회귀식을 이용한 대형산불판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Large Fire Judgement Model Using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 이병두;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15-419
    • /
    • 2013
  •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형산불 가능성이 있는 산불에 대해 초기 단계에서부터 진화자원을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 초기에 대형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2건의 산불에 대해 피해 규모를 현장조사하고, 발화지를 중심으로 100 ha 이내의 기상, 지형, 연료인자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내용을 로지스틱 회귀식을 적용한 결과, 산불은 온도, 풍속, 무강우일수, 경사변이, 산림면적이 높을수록 대형화되었으며, 고도는 낮을수록 그 확률이 높았다. 본 모형을 사용하면 산불 발생 초기에 대형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초기 진화자원의 규모와 지역 주민 대피 결정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수상수에 따른 물방울 크기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roplet Size according to Discharge Coefficient of Sprinkler Head)

  • 허민녕;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6-21
    • /
    • 2017
  • The sprinkler system is a basic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uses water as an extinguishing agent. In order to evaluate the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the sprinkler system, information such as the discharge angle, discharge speed, discharge pressure, flow rate, and water droplet size of the installed head are requir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roplets size compared to other requirements.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x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sprinkler system, the droplet size distribution was measured for various types of sprinkler heads actually used. The size of the droplet was measured using laser diffraction method. The 50% cumulative volume distribution ($D_{v50}$) according to discharge coefficient(K factor) was $540{\mu}m{\sim}695{\mu}m$ for K50, $542{\mu}m{\sim}1,192{\mu}m$ for K80, $980{\mu}m{\sim}1,223{\mu}m$ for K115 and $1,188{\mu}m{\sim}1,234{\mu}m$ for K202.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the vaeiance of the droplet particle distribution and the distribution ($D_{v50}$) according to discharge coefficient(K factor) was $540{\mu}m{\sim}695{\mu}m$ for K50, $542{\mu}m{\sim}1,192{\mu}m$ for K80, $980{\mu}m{\sim}1,223{\mu}m$ for K115 and $1,188{\mu}m{\sim}1,234{\mu}m$ for K202.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the vaeiance of the droplet particle distribution and the Rosin-Rammler index value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fire simulation with FD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difference occurs according to the water droplet size distribution even when the same amount of water is used. Therefore, th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the sprinkler system should be evaluated considering the droplet siz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prinkler head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