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ize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성능설계에서 선정된 설계화재의 적정성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 Fire Size Determining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in Korea)

  • 이세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50-56
    • /
    • 2014
  • 성능설계 시험 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크기를 정량화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계화재의 크기가 적합하게 선정되었을 때 화재로부터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성능설계의 역사가 짧고 공학적 자료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화재의 크기를 선정하는 데에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해외의 설계화재 가이드라인과 국내의 실 화재 실험 자료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설계화재 선정 사례를 조사하여 그 적정성을 분석하고 건축물의 용도별로 설계화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드라이워터의 입자크기가 소화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ticle Size of Dry Water on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 이응우;최영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35
    • /
    • 2019
  • Dry water is a core-shell structured powder which comprises a very fine water core covered with hydrophobic silica particles. Recently, the dry water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type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However, characteristics of the dry water as a fire extinguishing agent have not been revealed until now. To our best knowledge, this is the first work to uncover effects of particle size of the dry water on the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Pristine dry water, which has heterogene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carefully separated by sieving method into three fractions which were a small size (ca. $110{\mu}m$) fraction, a medium size (ca. $220{\mu}m$) fraction and a large size (ca. $400{\mu}m$) fraction. Microscopic observations confirmed the effective separation of dry water's particle size. In extinguishing tests of wood cribs fire, the medium size dry water showed most excellen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as compared to other dry waters having small (ca. $110{\mu}m$) and large (ca. $400{\mu}m$) particle size. The good performance of the medium size (ca. $220{\mu}m$) dry water may be attributed to the balance between cooling effect of the water core and smothering effect of the silica particles. It is also revealed that small size dry water has poor flowability than large size dry water.

화원의 높이 및 화재크기별 터널 천장온도 측정 실험 (Measurement of Ceiling Temperature in Tunnel for Heights and Fire Sizes of Fire Source)

  • 박원희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0
    • /
    • 2015
  • The "Ondong tunnel" is not used now where is one of the tunnels in the Janghang line which is from Cheonan to Iksan. The length of the tunnel is 214 m. The location of the fire source is center of the tunnel and the pool fire with heptane is for the fire source. Tests are carried out for the various fire sizes, the height and obstructed/open condition of the fire source. Temperature on the top of the tunnel is measured. Even if the fire size is same, the maximum temperature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for the elevated fire source is very larger than the maximum for the ground fire source. As the fire size is lager the maximum temperature on the ceiling is higher. These test results can be very useful for design and guidelines of fire detectors in tunnels.

방사특성 변화에 따른 미세물분무의 소화특성 (Extinguishing Charactristics of Water Mist by Discharge Properties)

  • 이경덕;신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1-48
    • /
    • 2001
  • 할론소화약제는 유류화재 및 전기화재의 진압에 가장 효과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오존층파괴지수와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아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대체기술의 하나로 관심을 끌며 연구되기 시작한 소화방법이 미세물분무를 이용한 소화설비이며, 미세물분무는 스프링클러의 살수입자에 비해 물입자가 작고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화염면에서의 증발 및 냉각특성이 우수하며, 산소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질식작용이 우수하다. 본 연구는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의 설계를 위한 기초단계로 유류화재에 대한 미세물분무의 입자크기, 유량밀도, 방사분포, 방사압력 및 화재의 크기에 따른 화염의 소화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액체 poo l화재의 소화시간은 유량밀도가 증가함으로서 짧아지고, 유량밀도가 0.5$\pm$0.05ml/$\textrm{cm}^2$ . min이하인 경우 입자크기가 증가함으로서 짧아졌다. 또 방사주기를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n-heptane 화재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방사한 미세물분무가 소화에 효과적이었으며, 이때 연속방사와 비교하여 화재를 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총량은 1/4로 감소하였다.

  • PDF

여객 열차 화재의 수치해석을 위한 민감도 분석 (A Study on Sensitivity Analysis for Numerical Solution of Passenger Train Fire)

  • 김우석;노삼규;정우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 예측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FDS(Fire Dynamics Simulation) ver. 4.07을 여객열차 화재예측에 적용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수행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 변수(Parameter)는 격자 크기(Grid size)와 Solid angle number이다. 분석결과, 격자크기의 변화는 온도(Plume temperature 상부층 온도(Upper layer temperature), 연기층 높이(Layer height)결과 값에 약$10{\sim}20%$의 차이를 갖게 하는 주요 민감도 변수이며 Solid angle number는 민감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0.05m의 Grid size가 0.1m보다 결과 해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혼입률 및 부재크기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화 특성 (Properties of Fire Resistance of Concrete with Contents of Polypropylene Fiber and Specimens Size)

  • 전선천;황인성;이병열;양성환;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63-468
    • /
    • 2001
  • A lot of considerations on the spatting by fir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should be taken into for fire resistance of the concrete structures. In this paper, fire resistanc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is described using polypropylene fiber, which is known to be contributed to fire resistance. Strength level and member size are varied with. According to test results, spatting by fire takes place more easily, as W/C increases and member size decreases. It shows that concrete containing polypropylene fiber has good effects on preventing spatting by fire. In case high performance concrete does not contain polypropylene fiber, residual strength shows to be decreased remarkably compared :o that of normal concrete. Whereas, in case 0.1% of polypropylene fiber contents, high performance concrete shows higher residual strength than that of normal concrete. As member size is smaller, residual strength shows to be decreased.

  • PDF

노즐 특성 변화에 따른 미분무수와 화염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Interaction between Fire Flame and Water Mist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Nozzle Performance)

  • 배강열;정희택;김형범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2983-2988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the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water-mist characteristic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fire suppression mechanism. The FDS are used to simulate the interaction of fire plume and water mists, and program describes the fire-driven flows using LES turbulence model, the mixture fraction combustion model, the finite volume method of radiation transport for a non-scattering gray gas, and conjugate heat transfer between wall and gas flow. The numerical model is consisted of a rectangular enclosure of $L{\times}W{\times}H=1.5{\times}1.5{\times}2.0m$ and a water mist nozzle that be installed 1.8m from fire pool. In the study, the parameters of nozzle for simulation are the droplet size and the spray velocity. Finally, the droplet size influences to fire flume on fire suppression than spray velocity because of the effect of terminal velocity, and the optimal condition for fire suppression is that the droplet size and the spray velocity are $100{\mu}m$ and 20m/s, respectively.

  • PDF

미분무수 특성이 화재억제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pray Properties of Water Mist on the Fire Suppression Mechanism)

  • 배강열;정희택;김형범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5-184
    • /
    • 2017
  • The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water-mist characteristic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fire suppression mechanism. The FDS are used to simulate the interaction of fire plume and water mists, and program describes the fire-driven flows using LES turbulence model, the mixture fraction combustion model, the finite volume method of radiation transport for a non-scattering gray gas, and conjugate heat transfer between wall and gas flow. The numerical model is consisted of a rectangular enclosure of $L{\times}W{\times}H=1.5{\times}1.5{\times}2.0m^3$ and a water mist nozzle that be installed 1.8 m from fire pool. In the present study, the parameters of nozzle for simulation are the droplet size and the spray velocity. The droplet size influences to fire flume on fire suppression more than the spray velocity because of the effect of the terminal velocity. The optimal condition for fire suppression is that the droplet size and the spray velocity are $100{\mu}m$ and 20 m/s respectively.

화원면적 변화에 따른 격자 크기 의존도 및 예측결과 분석 (Analysis of Prediction Results and Grid Size Dependence According to Changes in Fire Area)

  • 윤홍석;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9-19
    • /
    • 2019
  • 건축물의 화재안전성평가를 위한 화재시뮬레이션에서 화원면적 및 격자크기의 변화는 예측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최대 열발생률을 갖는 화원의 면적 변화가 구획화재의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으며, 동일한 화원면적의 조건에서 격자크기에 대한 예측결과의 의존도가 동시에 검토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특성화재직경을 기준으로 6개 이상의 격자가 삽입되면 화원면적이 변화되더라도 격자크기는 화재의 열 및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화원면적의 변화는 구획 내부에서 허용피난시간(ASET)과 관련된 주요 물리량의 예측결과에 상당한 차이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개구부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상의 구획외부에서는 화원면적의 변화가 전반적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공동주택 화재 시 화재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Fire Flow Velocity in the Case of Interior Fire in an Apartment Building)

  • 김병준;서찬원;신원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14-19
    • /
    • 2016
  • 재실자가 부속실로 피난할 때 부속실 송풍기가 작동하기 전 단계에서는 방화문 개방과 더불어 실내화재로 인한 풍속이 발생하고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소생성물이 부속실을 오염시켜 피난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스프링클러가 화재풍속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진행하였고 스프링클러의 유무와 분사되는 액적크기에 따른 화재풍속을 비교하였다. 해석은 실제 공동주택의 형상과 치수를 반영해서 진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었을 때 화재풍속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액적이 작을수록 화재풍속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