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isk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4초

현장 및 실내조사를 통한 일반국도교량의 화재위험요소 분석 (Investigation of Potential Fire Hazard Resources of Bridges on National Routes by Field and Web-based Satellite)

  • 김용재;김승원;안호준;공정식;박철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05-115
    • /
    • 2017
  • PURPOSES : The occurrence of unexpected disasters, including fire events, increases as the road network becomes complicated and traffic volume increases. When a fire event occurs on and under bridges, the damage extensively influences direct damage to structures, vehicles, and human life and secondary socioeconomic issues owing to traffic blockage. This study investigated potential fire-hazard risks on bridges of the Korean national route road. METHODS :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with satellite pictures and road views from commercial websites and the Bridge Management System (BMS). From the filed investigation, various potential fire resources were identified. The satellite pictures and road views were helpful in measuring and recognizing conditions underneath bridges, stowage areas, etc. RESULTS : There are various potential fire resources underneath bridges such as piled agricultural products, parked petroleum tanks, construction equipment, and attached high-voltage cables. A total of 94.6% of bridges have underneath clearances of less than 15 m. A bridge underneath volume that can stow a potential fire hazard resource was $7,332m^3$ on average, and most bridges have about $4,000m^3$ of space. Based on the BMS data, the amounts of PSC and steel girders were 29% and 25%, respectively. CONCLUSIONS :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stowed potential fire hazard resources was proportional to the underneath space of bridges. Most bridges have less than 15 m of vertical clearance that can be considered as a critical value for a bridge fire. The fire risk investigation results sh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bridge fire-protection tools.

화재확산 저감을 위한 랙크 내 수평차단막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Horizontal Barrier on a Rack to Reduce Fire Spread)

  • 여인환;조규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71-79
    • /
    • 2017
  • 적재밀도가 높으며 수직적인 적재형태를 가지는 랙크식 창고는 화재발생 시 그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이에 미국, 일본에서는 자국의 랙크식 창고 실정에 맞는 In-Rack 스프링클러 및 수평차단막 등을 적용하여 화재확산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그와 관련한 연구 및 제도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화위치 및 수평차단막 설치간격에 따른 화재특성 확인을 위해 국내 랙크식 창고 실정을 반영한 표준랙크를 대상으로 축소모델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평차단막의 설치간격을 밀접하게 또는 빈번하게 할수록 약 30%씩의 수직 화재확산 억제성능이 발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평차단막을 경계로 상하부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차단막이 설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도분포가 약 2~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평차단막의 설치가 In-Rack 스프링클러의 조기 작동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Cancer Perceptions Among Smokeless Tobacco Users: A Qualitative Study of US Firefighters

  • Jitnarin, Nattinee;Poston, Walker S.C.;Jahnke, Sara A.;Haddock, Christopher K.;Kelley, Hannah 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284-290
    • /
    • 2020
  • Background: Prevalence rates of smokeless tobacco (SLT) use among firefighters are remarkably high and substantially higher than similar occupational groups and the general U.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fire service personnel regarding cancer and its associations with tobacco and SLT use.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Key informant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39 career firefighters and fire service administration from across the U.S. Discussion were 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transferred to NVivo software for narrative analysis. Topics explored included cancer perceptions, attitudes and beliefs, 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SLT use behaviors. Results: Major themes that emerged among fire service personnel included concerns about cancer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firefighting tasks, such as fire overhaul operations, and from their lifestyle behaviors, such as alcohol and tobacco use. Firefighters also suggested a number of reasons for their increased SLT use, such as fire department tobacco-free policy and fire service culture.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a rich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for the fire service and research communities regarding tobacco and SLT use and cancer risk. Additional research on firefighters' cancer beliefs deserves future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messaging about the risks of cancer due to firefighting.

라지스케일 칼로리미터에 의한 알루미늄 복합패널 외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s of Aluminum Composite Panel by Large Scale Calorimeter)

  • 윤정은;민세홍;김미숙;최승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89-9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복합패널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외장재 실물 연소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알루미늄복합패널의 빠른 화재확산을 보였으며, 이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에 내장된 폴리에틸렌이 연소되면서 화염의 수직확산이 급격히 일어난 것이다. 본 실험에서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최고 열방출률은 1,144kW로 나타났으며, 열전대에 의해 측정된 표면온도는 알루미늄의 용융점인 $660^{\circ}C$를 넘는 최고 $903.3^{\circ}C$ 이상 상승하였다. 그러므로 알루미늄복합패널의 화재는 상층으로의 급격한 연소확대나 개구부를 통한 내부로의 화재확산에 의한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물실험에서 얻어낸 결과는 향후 알루미늄복합패널의 모델링 구현과 비교함으로써 알루미늄복합패널의 화재 확산 예측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프로필렌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 평가를 위한 온도 200 ℃에서 산소농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Pressure at Temperature of 200 ℃ for the Assessment of the Risks of Fire and Explosion of Propylene)

  • 최유정;최재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356-361
    • /
    • 2020
  • 프로필렌은 석유화학제품의 제조 시 기초 유분으로 산업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물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200 ℃ 이상의 온도에서 합성되고 있다. 그러나 프로필렌은 인화성 가스로써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불활성 가스 중 가격이 저렴하고 공기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질소를 주입하여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필렌-질소-산소를 사용하여 온도 200 ℃에서 압력의 변화(0.10 MPa, 0.15 MPa, 0.20 MPa, 0.25 MPa)에 따른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소농도가 21%일 때 압력이 0.10 MPa에서 0.25 MPa로 상승할수록 폭발 하한계는 2.2%에서 1.9%로감소하였으며, 폭발상한계는 14.8%에서 17.6%로증가하였다. 또한최소산소농도는 10.3%에서 10.0%로 감소하여 압력이 증가할수록 폭발 범위가 넓어져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폭발압력은 압력이 0.10 MPa에서 0.25 MPa로 상승할수록 1.84 MPa에서 6.04 MPa로 증가하였으며, 최대 폭발압력상승속도는 90 MPa/s에서 298 MPa/s로 크게 증가하였다. 고온 및 고압에서는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프로필렌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소시 생성된 CO가스의 고찰을 통한 인명피해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s to minimize Casualties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 CO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 최만철;김병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3-140
    • /
    • 2013
  • Recently developed a variety of architectural interior decoration according hwadoeme type of toxic gases generated during fire also are becoming diversified, resulting in fatal casualties occurred in the trend is also being increased. During a fire, toxic gas that is generated varies depending on the combustible material occurs. However, all combustible materials, including carbon, incomplete combustion of carbon monoxide which is generated in the most common toxic gases can be seen as one. Accordingly, in this study of organic solids that are generated in case of fire toxic gases, and brief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sks and, by far the most common Co gas for measures to prevent human casualties, seolbijeok, the temperature dependence, divided into four aspects of administrative daechaekdeung explained.

연소시험에 의한 붕소 화합물 처리 목재의 화재위험성 (Fire Risk of Wood Treated With Boron Compounds by Combustion Test)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9-26
    • /
    • 2018
  • 붕산과 5붕산암모늄으로 처리한 편백목재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의 화재성능지수(FPI)는 공시편보다 1.2~2.1배 증가하였고, 화재성장지수(FGI)는 공시편보다 1.6~8.4% 증가하였다. 또한 총연기발생률(TSR)은 공시편보다 9.0~28.3.% 낮았다. 이것은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이 난연효과로 탄화층을 생성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공시편은 418 s에서 가장 높은 CO농도인 0.01112%를 보였으나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은 공시편보다 13.2~37.5% 감소하였다. 따라서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목재는 화재위험성과 위해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Performance-based Fire Protection Design of Domestic Super High-rise Buildings - Evaluation by ASET and RSET -

  • Roh, Hyeong-Ki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13
    • /
    • 2011
  • 초고층 빌딩 건설 시 요구되는 성능위주 소방설계는 인명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능동적인 대책으로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 공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관련 법규 및 기준을 적용하여 수행하는 기존의 설계 방식보다 인명 안전의 확보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피난 요구 시간인 RSET과 피난이 가능한 시간인 ASET에 의한Time-line Analysis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ASET과 RSET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프링클러설비가ASET을 증가시켰으며, 화재감지 및 경보시간의 단축이 RSET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주고 있다. 단축된 시간은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화설비, 화재 감지 및 경보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유지 관리되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화재의 성상을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피난 대응 프로그램 등이 구축되면 성능위주 설계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풍향에 따른 화재영향을 고려한 FPSO 상부구조물 고압가스 모듈내부의 장비 최적배치 연구 (Layout Optimization of FPSO Topside High Pressure Equipment Considering Fire Accidents with Wind Direction)

  • 배정훈;정연욱;신성철;김수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04-4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ptimal arrangement of FPSO equipment in a module while considering the economic value and fire risk. We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using the pipe connections and pump installation cost in an HP (high pressure) gas compression module. The equipment risks were also analyzed using fire scenarios based on historical data. To consider the wind effect during a fire accident, fuzzy modeling was appl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The objective functions consisted of the economic value and fire risk, and the constraints were the equipment maintenance and weight balance of the module. We generated a Pareto-optimal front group using a multi-objective GA (genetic algorithm) and suggested an equipment arrangement method that included the opinions of the designer.

VESTAP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불 취약성 평가 연구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est Fire in Jeju to Climate Change using the VESTAP)

  • 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가장 최근에 배포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인 VESTAP을 활용하여 RCP 8.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000년대에서 2040년대까지 제주시 및 서귀포시에 대한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취약성 지수는 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종합한 제주도 전체 읍면동의 산불 취약성 평가에 활용하였는데, 취약성이 높은 상위 10개 읍면동으로 제주시는 도서지역인 추자면과 우도면 그리고 2개의 동지역이, 서귀포시는 대정읍과 5개의 동지역이 산불에 대한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