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ropagation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3초

Smoldering 연소로 인한 화재사고 조사보고 소개 및 이론적 해석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of a Fire Accident Caused by Smoldering Combustion)

  • 김연승;변영철;황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7
    • /
    • 1999
  • 산호제의 양이 충분치 못한 밀폐된 공간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기대를 깨고, 다공성 물질내부에서 공극안에 있는 산화제를 이용하여 서서히 연소되는 smoldering 반응을 통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실제 화재 사건을 화재 조사 방법에 의하여 기술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smoldering 연소가 화재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하였으며, 예시된 사고의 smoldering 연소를 강제대류에 의한 하향식 역방향 smoldering으로 모델링하였다. 화학반응으로는 열분해가 없는 1 단계 반응이 채택되어, 온도 및 산화제의 공간적 분포와 smoldering의 전파속도를 수치적으로 모사하였다. 수치결과로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연료의 공극률이 반응지역의 전파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우세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smoldering 에 의한 화재 발생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연료의 공극률과의 관계를 알고 있다면 주어진 연료의 공극률에 대하여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불길로의 천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CFD를 활용한 수소-천연가스 혼합연료에 대한 피해영향 분석 (Consequence Analysis of Hydrogen Blended Natural Gas(HCNG) using 3D CFD Simulation)

  • 강승규;방효중;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5-21
    • /
    • 2013
  • 본 연구는 3차원 위험성평가 시뮬레이션 툴(FLACS)을 활용하여 연료의 종류에 따른 위험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고압가스 충전소 레이아웃을 활용하여 연료를 CNG, 수소, 30%HCNG로 하였을 경우 충전소에서 가스누출에 의한 화재 폭발 상황을 모사하여 피해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스별 누출제트에 의한 피해영향을 평가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수소, CNG, HCNG가 누출되어 화재폭발이 발생할 경우 수소는 최대과압이 30kPa, HCNG는 3.5kPa 그리고 CNG는 0.4kPa의 과압이 측정되었다. HCNG의 과압이 CNG에 비해 7.75배 높게 측정되었으나, 수소에 비해서는 11.7%에 불과했다. 화염 전파에 있어서 수소는 매우 빠른 화염전파 특성을 가지는 반면 HCNG와 CNG는 수소에 비해 전파속도 및 전파거리에서 비교적 안전한 경향을 보였다. 제트화염에 의한 화염경계거리는 수소가 5.5m, CNG가 3.4m이고 HCNG는 CNG보다 약간 확장된 3.9m로 예측되었다.

화염방지기의 소염성능 (The Quenching Ability of Flame Arrester)

  • 류은렬
    • 방재기술
    • /
    • 통권11호
    • /
    • pp.23-30
    • /
    • 1991
  • For the prevent of fire accident or explosion disasters from inflammable gas and vapour, flame arresters are used in chemical equipment, oil tank or other similar installation. The flame arresters have been used mainly wire gauze type. Wire gauze type flame arrestes is affected several factors. We have know that the quenching ability has a great of difference the preference in accordance with flame velocity, direction of flame propagation and wire net of mesh and number of qauze and introduce examination result data quoated from the abroad.

  • PDF

Habitability evaluation considering various input parameters for main control benchboard fire in the main control room

  • Byeongjun Kim ;Jaiho Lee ;Seyoung Kim;Weon Gyu Sh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1호
    • /
    • pp.4195-4208
    • /
    • 2022
  • In this study, operator habitability was numerically evaluated in the event of a fire at the main control bench board (MCB) in a reference main control room (MCR). It was investigated if evacuation variables including hot gas layer temperature (HGLT), heat flux (HF), and optical density (OD) at 1.8 m from the MCR floor exceed the reference evacuation criteria provided in NUREG/CR-6850. For a fire model validation,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reference MCR were compared with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on the same reference MCR. In the simulation, various input parameters were applied to the MCB panel fire scenario: MCR height, peak heat release rate (HRR) of a panel, number of panels where fire propagation occurs, fire propagation time, door open/close conditions, and mechanical ventilation operation. A specialized-average HRR (SAHRR) concept was newly devised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how the various input parameters affect the operator's habitability. Peak values of the evacuation variables normalized by evacuation criteria of NUREG/CR-6850 were well-correlated as the power function of the SAHRR for the various input parameters. In addition, the evacuation time map was newly utilized to investigate how the evacuation time for different SAHRR was affected by changing the various input parameters.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OD is the most dominant variable to determine the MCR evacuation time. In this study, however, the evacuation time map showed that the HF is the most dominant factor at the condition of without-mechanical ventilation for the MCR with a partially-open false ceiling, but the OD is the most dominant factor for all the other conditions. Therefore, the method using the SAHRR and the evacuation time map was very useful to effectively and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operator habitability for the various input parameters in the event of MCB fires for the reference MCR.

축소 모의된 구획 화재의 흘림 실험에 대한 인화성 액체의 화재 패턴 해석 (Analysis of Fire Patterns of Flammable Liquids for Oil Flow Tests of Compartment Fires with Reduced Simulation)

  • 조희수;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43-48
    • /
    • 2014
  • 본 연구는 구획된 공간에 인화성 단일 물질을 채우고 착화된 화염의 전파 속도, 방사 범위, 확산 패턴 및 연소 완료 시간 등을 해석하는 데 있다. 화염의 전파 속도는 등유가 0.2 s로 가장 빠르고, 알코올이 82.1 s로 가장 늦었다. 화염이 착화된 후 화염이 가장 빠르게 최성기에 도달한 것은 시너이었고 19.0 s가 걸렸다. 그리고 가장 늦은 것은 알코올로 138.6 s로 측정되었다. 인화성 액체 200 ml가 연소 완료되는 시간은 시너가 79.9 s로 가장 짧았고, 가솔린 135 s, 등유 170 s, 경유 231.4 s, 알코올 337.0 s 등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인화성 액체가 연소될 때 화염의 하단 부분은 층류 패턴이 지배하였고, 상단 부분은 난류 패턴을 나타냈다. 대두유의 실험에서 착화시킨 화원을 제거하면 화염은 자연 소화되어 연소가 진행되지 않았고, 불완전 연소에 따른 흰색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터널내 열차 화재시 효과적인 구난역 제연 설비를 위한 수치 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Effective Smoke-Control System of a Rescue Station in a Tunnel Fire)

  • 양성진;원찬식;허남건;차철현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6년 제4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5-578
    • /
    • 2006
  • In designing smoke-control system of rescue station in train tunnel, a purpose is to prevent a disaster by proposing the jet fan operation together with smoke-control curtain in tunnel fire.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he Heat Release Rate(HRR) and a adequate ventilation velocity to control the fire propagation in tunnel fire, and has improved the effect of the smoke-control curtain on preventing the flow of pollutants. In this stud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simulations with ST AR-CD(ver 3.24) were carried out on predicting the fire spreading and the flow of pollutants, considering jet fan operations and effect of smoke-control curtain. Our simulation domain is the full scale model of the 'DAEGWALLYEONG' 1st tunnel. The results represent that ventilation operation can control the fire spreading and pollutants effectively to prevent a disaster.

  • PDF

건축물 화재에서의 인동거리에 따른 화재 전파에 대한 실험 및 CFD해석 (An Experimental and CFD Analysis Study on the Buildings Distance for Fire Propagation)

  • 김동은;김봉찬;;이주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31-134
    • /
    • 2011
  • 최근 건축물 화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화재지점의 연소보다 연소 확대를 통한 인접건축물의 화재로 전파되는 2차적 피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 피해의 경우 화재원인을 명확하게 결정내리기 힘들기 때문에 화재 조사 분야에서도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호서대학교에서는 2009년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모델을 위한 실제 실험을 대상으로 CFD 중 FDS를 이용하여 이를 해석하고 이를 통한 화재조사분야에서 활용범위와 신뢰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시장화재의 전파과정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 신진시장 화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ropagation Process of Market Fire in Korea - in the Case of the Sinjin Market Fire)

  • 구인혁;신이철;권영진;임 길언;대궁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47
    • /
    • 2010
  • 우리나라는 최근 건축물 화재 및 시장화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 중 시장화재는 일반적인 화재와 달리 대형화재로 확대될 위험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종로구 신진시장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시장화재 전파과정을 분석한 결과 지붕을 통한 화염전파가 주된 확대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전파과정을 고려한 화재위험성평가수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소형항공기의 화재방지 요건 및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Prevention Requirements and Tests for Small Aircraft)

  • 유승우;진영권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11
  • The goal of fire prevention research is to eliminate fires as a cause of fatal accidents and there are two main areas of research. One is to prevent flame propagation during in-flight and it addresses fire hazards. The other i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flame penetration or fuselage burn-through and it aims toward post-crash survival include crash protection, emergency evacuation and post-evacuation survival. Civil aviation authorities world-wide are trying to identify threats and measure performance for fire preven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standardized and given as general directions of test methods. This paper has prepared to study and present the means of compliance to the fire prevention requirements and applicable test methods.

화재완화를 위한 소듐 루프 건물의 구획화 (Fire Mitigation by Partitioning a Sodium Loop Building)

  • 김병호;권상운;정경채;김광락;황성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2-44
    • /
    • 1998
  • Analysis on the study for the sodium fire mitig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CONTAIN-LMR code. Sodium loop building was partitioned into the many cells, in which the safety venting systems we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odium fire safety and minimizing its effect on the sodium loop building. The effects of sodium fire on sodium loop building partitioned into the many cells and not partitioned were investigated. The peak pressure and temperature of each cell accompanied by sodium fire in sodium loop building partitioned were lower than those of sodium loop building not partitioned. In the case of partitioning sodium loop building, the pressures, temperatures and aerosols into cells were transferred through propagation path of CONTAIN-LMR sodium fire model simulated by this study, and the effect of sodium spray fire on sodium loop building was mitigated by partitioning building. In addition, the excessive rise of pressure into cells was prevented by installing the over-pressure exhaust valve and under-pressure exhaust valve on the flow path between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