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attern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4초

선박 거주구역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한 격자크기와 생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id Size and Generation Method for Fire Simulations for Ship Accommodation Areas)

  • 김별;황광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791-800
    • /
    • 2017
  • 선박 거주구역에 화재발생 시 화재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화재확산형상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면 화재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오늘날 화재시뮬레이션은 해석대상공간의 크기와 그리드 개수에 따라 해석을 하는데 있어, 매우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 시간단축을 목적으로 선박 거주구역 화재시뮬레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격자크기와 생성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선박 거주구역에 적용되는 격자크기는 0.25[m] 이내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ingle mesh 격자생성방법으로 수행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multi mesh 격자생성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을 때 가시거리 값은 4.3 %, 온도 값은 8.3 % 이내에서 유사하고 해석시간은 약 80 % 감소하였기 때문에, multi mesh 방법으로 격자를 생성하는 것이 해석시간을 단축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방 치료로 호전된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치험 1례 - 청열도담탕가감(淸熱導痰湯加減)과 당귀수산합유향정통산가감(當歸鬚散合乳香定痛散加減) 사용효과를 중점으로 (A Case of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Chungyeoldodam-tanggagam and Dangguisoo-san Plus Yuhyangjeongtong-sangagam)

  • 김태준;김용민;김희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0-155
    • /
    • 202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RAS) diagnosed as excess pattern(實證) based on symptoms of damum(痰飮), blood stasis(瘀血) and fire-heat(火熱). Methods : We treated a 61-year-old male patient who has RAS by korean medicine, pharmacopuncture and acupuncture treatment. These treatments were performed from 2020.01.22. to 2020.02.29. We have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ulcer lesions and pain. We recorded images that include change of symptoms. Results : After the treatments were done, the scores of numeric rating scale(NRS),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OHIP-14), oral assessment guide (OAG)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oral toxicity scale (WHO OTS) were decreased. The NRS score was decreased from 7 to 1. The OHIP-14 score was decreased from 30 to 14. The OAG score was decreased from 17 to 9. The WHO OTS score was decreased from 2 to 1. And ulcer lesions were clearly decreased.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sult, korean medical treatments such as korean medicine, pharmacopuncture and acupuncture treatment, that are targeted at excess pattern(實證) caused by damum(痰飮), blood stasis(瘀血) and fire-heat(火熱) can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RAS.

RTLS 시스템을 활용한 화재시 행동분석 연구 (The Research of the Analysis of Movement from a Fire using RTLS System)

  • 임경범;김하영;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8-103
    • /
    • 2010
  • 건물 안에 있는 사람의 보호는 재해방지 설계 시 우선적인 고려사항이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연기에 대한 가시도, 상호간의 거리, 사고방식 및 교통정체에 대한 인지정도 등을 계획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수에 대한 패턴 변화의 모듈화를 분석해 피난 시뮬레이션의 기초 자료를 활용하기 위함으로 이를 위해 태그로 부터 전파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하는데 RTLS(실시간 위치 시스템)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RTLS 시스템을 활용하여 피난 패턴에 대해 도수안경을 착용하여 가시도에 따른 이동속도, 건축 시 문의 최적 크기를 추정하기 위한 문의 크기에 따른 흐름 분석 및 병목상황 시 사람들의 움직임에 대한 3가지 패턴에 대해 분석하고 가시화 하였다. 이 결과 실제 사람들의 피난 시 다양한 상황에서 수치해석 적용에 기대할 것으로 판단된다.

열동전자식 MCCB의 열적 스트레스에 따른 소손 패턴 및 작동 특성 (Damage Patter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Thermal Magnetic Type MCCB according to Thermal Stress)

  • 이재혁;최충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9-7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rbonization patter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n MCCB. The MCCB is consisted of the actuator lever, actuator mechanism, bimetallic strip, contacts, up and down operator, arc divider or extinguisher, metal operation pin, terminal part, etc. When the actuator lever of the MCCB is at the top or the internal metal operation pin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art, the MCCB is turned on or off. It means trip state if the actuator lever or the internal metal operation pin moves to back side. In the UL 94 vertical combustion test, white smoke occurred from the MCCB when an average of 17~24 seconds elapsed after the MCCB was ignited and black smoke occurred when an average of 45~50 seconds elapsed. It took 5~6 minutes for the MCCB surface to be half burnt and took an average of 8~9 minutes for the MCCB surface to be entirely burnt. In the UL 94 test, the MCCB trip device operated when an average 7~8 minutes elapsed. If the MCCB trip has occurred, it may have been caused by an electrical problem such as a short-circuit, overcurrent, etc., as well as fire heat. From the entire part combustion test according to KS C 3004, it was found that the metal operation pin could be moved to the MCCB trip position without any electrical problems.

화재시 열방출 급상승 구간의 수치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 함수 및 역함수 곡선) (Development of a Numerical Model for the Rapidly Increasing Heat Release Rate Period During Fires (Logistic function Curve, Inversed Logistic Function Curve))

  • 김종희;송준호;김건우;권오상;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20-27
    • /
    • 2019
  • 본 연구는 화재 시 열출력 급상승 구간에 대한 정확한 열방출율을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함수를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화재공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αt2' 곡선은 화재시스템 공학 관점에서 비효율적이며 실효성 저하를 초래하므로 열방출율의 예측오차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αt2'과 비교하여 보다 논리적인 배경과 형태적으로 유사성을 가진 로지스틱 함수 이론을 기반으로 화재 급성장 구간은 물론 화재 초기 단계까지 적용 가능한 새로운 예측 함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함수는 더 넓은 화재성장 구간에서 정확도 높은 예측결과를 갖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화재성장패턴 연구의 개발과 함께 화재공학의 발전을 위해 적용될 것이다.

개구부를 통한 동시다발적인 화재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urrent Fire Appearance through Openings)

  • 민세홍;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90-96
    • /
    • 2012
  • 외장재에 의한 수직화재확산은 확산속도가 구획화재에 비해 매우 빨라 이에 대한 화재의 특성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연소 확대되면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화재의 성상에 대해서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는 심재가 폴리에틸렌인 일반 알루미늄복합패널에 대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수직확산화염은 화재초기에 2층까지 상승하는 데는 약 135초가 걸렸지만 10층까지는 470초, 최고층인 30층까지 상승하는 데는 711초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고층부로 갈수록 난류 및 외장재 설치공간의 연돌효과에 의해서 급격히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외장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화재 시 개구부를 통한 화재는 동시다발적으로 그 건물의 내부에 확대되는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농활동으로 인한 산불발생 특성 (Forest Fire Ignition Patterns Caused by Farming Activities)

  • 구교상;이병두;이명보;이시영;김정훈;박흥석;박건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03-110
    • /
    • 2010
  • 영농으로 인한 산불발생 건수는 최근 10년간 입산자실화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산불발생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2009년에 발생한 산불 중 원인이 논 밭두렁 소각과 쓰레기 소각으로 분류된 74건을 현장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발화원인은 영농쓰레기 소각이 2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영농부산물 소각, 생활쓰레기 소각, 논 밭두렁 소각 순이었다. 발화지에서 산림까지 사이에 위치하여 불을 전달하는 전이지대 종류는 묵밭 묘지, 밭 과수원, 밭두렁 묵밭으로 대부분이 밭을 통해 산림으로 전이됨을 알 수 있었다. 발화지에서 산림까지의 평균거리는 19m이었으며, 최대 130m 떨어진 지점에서도 산불로 전이되어 현재 소각금지 기준인 산림인접지 100m 거리까지는 산불 발생 위험성이 상존함을 알 수 있었다.

ARIMA모델에 기반한 화재발생 빈도 예측모델의 설계 (Forecasting Model Design of Fire Occurrences with ARIMA Models)

  • 안상훈;강훈;조재훈;김태옥;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28
    • /
    • 2015
  •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정책과 평가가 필요하며, 화재 발생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 기법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품질관리의 기법중의 하나인 관리도를 화재 모니터링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겨울에는 많은 화재가 발생한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매년마다 어떤 주기를 띠고 변화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름철과 겨울철에 동일한 기준(관리한계선)을 적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발생건수가 과다한 겨울에는 과도한 예방활동이 진행되고, 여름에는 잠재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건수 감소에 따른 착시현상으로 인해 활동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때, 각 계절별로 다른 관리 한계선을 적용시킨다면 합리적인 예측과 보다 효과적인 이상 패턴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생건수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 모델을 사용하여 화재발생 빈도 예측 모델계수의 체계적인 설정과정을 ARIMA 모델을 기반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재발생 패턴의 개선된 분석과 이에 기반한 보다 체계적인 예방활동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