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re ignition

Search Result 52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액화석유가스 충전소의 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Safe Separation Distance from LPG Filling Station)

  • 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4-33
    • /
    • 1999
  • 충전소에서 일어난 사고를 1987부터 1998년까지 사고자료를 근거로 하여 사고 시나리오와 사고발생 초기의 피해거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cdot$외 안전거리를 비교$\cdot$검토하여 적절한 안전거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안전거리는 시설과의 최소한 이격거리를 두어 사고 발생시 점화가능성을 줄이고 원활한 방재활동과 피해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누출시 제트화재의 길이 또는 누출가스의 연소하한농도의 도달거리와 관계가 있으며, 안전장치 설치현황, 안전관리자의 의식수준, 그리고 경제성을 검토하여 안전거리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저장량에 따른 안전거리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 PDF

노말노난올의 연소특성치 측정에 의한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by Means of Measurement of Combustible Characteristics for n-Nonanol)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84-89
    • /
    • 2012
  • 노말노난올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폭발한계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노말노난올의 폭발하한계는 0.80 Vol.%, 상한계는 6.1 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밀폐계에서 $94{\sim}97^{\circ}C$와 개방식에서 $103{\sim}104^{\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노말노난올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70^{\circ}C$로 측정되었다.

노말도데칸의 인화점과 최소발화온도 측정에 의한 연소위험성 고찰 (The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Hazard by Measurement of Flash Point and Autoignition Temperature of n-Dodecane)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20-125
    • /
    • 2011
  • 노말도데칸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에서 폭발한계를 고찰하였고, 하부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노말도데칸의 폭발하한계는 0.60Vol.%, 상한계는 4.7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밀폐계에서 $77^{\circ}C$$80^{\circ}C$와 개방식에서 $84{\sim}87^{\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22^{\circ}C$ 측정되었다.

가솔린탱크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노말헵탄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of n-Heptane for Risk Assessment of Gasoline Tank)

  • 하동명;정기신;이성진;조용선;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6-81
    • /
    • 2010
  • 노말헵탄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 그리고 하부인화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노말헵탄의 폭발하한계는 1.0Vol%, 상한계는 7.0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4^{\circ}C$를 추천하였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25^{\circ}C$였다. 그리고 노말헵탄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점화에너지 변화에 따른 쌀겨분진의 폭발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losion Behavior of Air-born Rice Bran Dusts according to Ignition Energy)

  • 김정환;김현우;현성호;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6-32
    • /
    • 1999
  • 쌀겨분진의 연소 및 전기적 점화에너지에 의한 폭발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및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와 순간승압조정기를 이용하여 온도 및 전기 스파크에 따른 발열개시온도, 발열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Hartman 식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DSC 분석 결과 대기 분위기에서 발열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승온속도가 증가하고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발열량이 증가하였고, TGA 분석 결과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분해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은 입도가 감소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전기적 점화에너지가 클수록 폭발압력이 증가하였으며, 전기 점화원에 인가된 전압변화에 따른 폭발압력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50/60 mesh, 1.5mg/㎤에서 약 13.5kgf/$\textrm{cm}^2$의 최대 폭발압력을 나타내었다.

  • PDF

천연섬유분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iton Properties of Natural Fiber Dust)

  • 이창우;김정환;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0
    • /
    • 1999
  • 천연섬유분진의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국내 방적공장의 집진기에서 직접 포집된 천연섬유분진을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고, 자연발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입도분포 및 시료량에 따른 천연섬유의 연소특성을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른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송풍과 무풍 상태에서의 자연발화 또는 훈소특성을 조사하였다. 열분석 결과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발열개시온도가 현저히 낮았고 발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천연섬유 분진은 시료량과 입도가 증가할수록 발열개시온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연소형태는 모두 훈소 상태를 보였다. 시험기 내부가 송풍상태일 때 보다 무풍상태로 실험하였을 때 발열개시온도가 약간 낮으며, 발열량도 크게 나타났다.

  • PDF

AN INTRODUCTION TO SEMICONDUCTOR INITIATION OF ELECTROEXPLOSIVE DEVICES

  • Willis K. E.;Whang, D. S.;Chang, S. T.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4년도 제3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1-26
    • /
    • 1994
  • Conventional electroexplosive devices (EED) commonly use a very small metal bridgewire to ignite explosive materials i.e. pyrotechnics, primary and secondary explosives. The use of semiconductor devices to replace “hot-wire” resistance heating elements in automotive safety systems pyrotechnic devices has been under development for several years. In a typical 1 amp/1 watt electroexplosive devices, ignition takes place a few milliseconds after a current pulse of at least 25 mJ is applied to the bridgewire. In contrast, as for a SCB devices, ignition takes place in a few tens of microseconds and only require approximately one-tenth the input energy of a conventional electroexplosive devices. Typically, when SCB device is driven by a short (20 $\mu\textrm{s}$), low energy pulse (less than 5 mJ), the SCB produces a hot plasma that ignites explosive material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is technology are strongly dependent upon the particular technology selected. To date, three distinct technologies have evolved, each of which utilizes a hot, silicon plasma as the pyrotechnic initiation element. These technologies are 1.) Heavily doped silicon as the resistive heating initiation mechanism, 2.) Tungsten enhanced silicon which utilizes a chemically vapor deposited layer of tungsten as the initiation element, and 3.) a junction diode, fabricated with standard CMOS processes, which creates the initial thermal environment by avalanche breakdown of the diode. This paper describes the three technologies, discuss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s they apply to electroexplosive devises, and recommends a methodology for selection of the best device for a particular system environment. The important parameters in this analysis are: All-Fire energy, All-Fire voltage, response time, ease of integration with other semiconductor devices, cost (overall system cost), and reliability. The potential for significant cost savings by integrating several safety functions into the initiator makes this technology worthy of attention by the safety system designer.

  • PDF

건물 내장재의 화재위험성 평가 방법 (A Fire Hazard Assessment of Interior Finish Materials)

  • 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28
    • /
    • 1998
  • 건물 화재시 예상되는 내장재의 실째 화재성농올 기준으로 한 위험성 명가방법올 제시하였다. 이률 위해 ISO Room Corner Test. (9705)를 기준으로 Qui ntie re의 화재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내장재의 열 적 특성과 플래쉬 오버 도달시간과의 상관성을 유도하고 스쩨덴의 실제 시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 내장재의 상대척인 화재위험성은 화재확산 변수 b륨 기준으로 명가될 수 있었다.

  • PDF

도로터널에서 제트팬 근처의 재순환유동과 연기 역류현상의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Recirculating Flow Near The Jet Fan and The Backlayer of Smoke in a Road Tunnel)

  • 김창균;유진웅;김성준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A호
    • /
    • pp.191-201
    • /
    • 2005
  • A numerical analysis was done for a tunnel fire in a 1000m road tunnel. A cartesian coordinate was adopted to make a computational grid sytem which has 448,000 computational cells. A transient flow phenomena in the tunnel was simulated by the commercial code of PHEONICS from the ignition of fire to 600 seconds by the interval of 100 seconds. Total computational time of about 44 hours was required to get a convered solution in each time ste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of the backlayering pheonomena and recirculation flow in a tunnel. The compuational results say that the backlayering does not happens near the fire of vehicle in this case because the vehicle fire is located at the outside of recirculation zone of flow ocuured near the jet fan. In this research, onset of backlayering pheonomena could be escaped if jet fan is set 95m in front of the the fire of vehicle.

  • PDF

운동에너지 탄과 적재포탄에 따른 전투시스템 내부에서의 순간화재발생에 대한 전산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Flash Fire in the Combat System by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and the Loaded Shells)

  • 이승철;전우철;이해평;이헌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28-832
    • /
    • 2013
  • In this paper,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whether the flash fire of loaded shells breaks out in the virtual combat vehicle according to sorts of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as the preceding research for vulnerability analysis inside the combat system by an external threaty ammunition. In this simulation, Autodyn program was used and the Lee-Tarver ignition and growth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flash fire outbreak. In this study,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was set of type A and type B in two kinds and the loaded shells was set of COMPB, TNT, PBX9404 and ANB. As a result, TNT and PBX9404 have much higher flash fire probability than COMPB in high explosive, ANB has very low flash fire prob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