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facilities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37초

사회복지시설의 화재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최규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13
  •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회복지시설에서의 화재안전은 매우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근래에 발생했던 노인요양원의 화재를 계기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소방관련법과 기준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시설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실태조사 및 소방기술인, 교수, 시설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여 화재안전관리방안으로 법 개정을 통한 맞춤형 소방시설설치, 소방시설유지관리강화, 소방안전관리 및 관련시설 평가를 통한 소방안전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산불예방을 위한 감시시설 가시범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Visibility Range of Forest Fire Detection Facilities for Forest Fire Prevention)

  • 이시영;안상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57-160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on the area of Samcheok, Kangwondo about forest fire alarming area and enlargement of the area. Then, visible area by unattended watching camera and watchtower for forest fire which were run by Samcheok was cross-check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 could be whether effective on watching the area where the forest fire risk was high enough and also it could be expanded to larger forest fire. The result of study, the visible area by watching facilities only holds for 13.4% of the whole forest fire alarming area, but the forest fire can be observed even though it is occurred in small valley because of smoke and all the forest fire have been occurred in daytim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watching area will be extended around 50.3% while the observation radii of watching facilities raise by 4km. However, Samcheok has much greater area of mountain area in compared to any other cities or counties, watching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and run additionally for extinguishing the forest fire from the beginning.

  • PDF

소방시설의 화재진압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e of Utilizing Fire Facility in Fire Fighting)

  • 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44-1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이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화재진압에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이를 이용하는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하여 파악하고, 문제가 있다면 개선방안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소방공무원들은 평소 사용하는데 익숙한 휴대 장비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62%가 소방시설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한 경험이 있고, 활용한 소방시설은 옥내소화전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도 활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신속대응을 위해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2.5%로 가장 많았고,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매우 그렇다 및 그렇다고 답변하였다. 결론적으로 화재현장에서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 활용도의 변수로서 현장지휘자의 소방시설 활용에 대한 적극성, 소방시설활용 능력, 설치기준 및 구조의 용이성, 소방시설의 신뢰도에 대한 인식 등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nsys를 활용한 플랜트 시설물 내화성능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Plant Facilities using Ansys)

  • 최두찬;양민혁;오수민;양소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958-967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위험도가 높은 플랜트 시설물에 적용하고 있는 국내 내화성능을 분석하고 적합한 내화저항성능을 확보하여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활용하여 화재하중과 내화피복을 변수로 열전달 해석과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해석 결과에 따른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성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플랜트 시설물에 적용된 내화피복은 UL 1709에 제시된 탄화수소화재의 화재하중을 적용하였을 때 내화성능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화재 후 강재의 변형 또한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현재 플랜트 시설물에 적용된 국내의 내화성능은 석유화학 플랜트 등과 같이 급격한 화재성장과 큰 화재하중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없으며 플랜트 시설물의 성능평가를 통해 적합한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화재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지역자원시설세에 관한 연구 -구 공동시설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Resources Facilities Tax)

  • 김진동;차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23-3231
    • /
    • 2013
  • 주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소방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하여 지방재정인 소방예산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소방예산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은 소방의 목적세인 지역자원시설세를 개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자원시설세와 소방예산, 소방사업비예산, 사회 경제적 요인, 소방수요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과거의 연구와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5가지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은 회귀분석과 t검증이다. 가설의 검증 결과, 지역자원시설세는 소방예산과 소방사업비 예산에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사회 경제적인 요인도 지역자원시설세에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소방수요 변수 중에서 화재, 구조변수가 지역자원시설세에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고, 구급, 잠재적 수요변수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초고층고층 건축물의 개구부에 대한 화재안전 설계방법 조사 (A Study on the Fire Safety Design Methods of Opening in High-rise Building)

  • 권영진;진승현;이병흔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9
    • /
    • 2018
  • In recent years, the fire risk in the aged housing facilities in high-rise building has been closing up due to the fire in the Grenfell Tower. In the case of these high-rise residential facilities, fire cases of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Uijeongbu Apartment Fire The fire hazard has been reexamined mainly. Especially, the fire of these residential facilities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window, so measures are needed.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re is almost no fire safety measures against these opening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by comparison with advanced countries based on fire safety measures for domestic windows.

  • PDF

환경에너지시설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Fire and Evacuation Safety in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 전용한;한상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44
    • /
    • 2019
  • In this study, fire and evacuation safety of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using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was examined as part of performance-oriented design. The worst-case fire scenarios in which fire-fighting facilities such as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control systems are not working, and the FDS analyzes the visibility,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rough FDS. The safety was examin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evacuation could limit the visibility, temperature,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a smooth range, based on the safety standards set by relevant laws.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safety of fire and evacuation for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where a large amount of combustibles and fires coexist.

주거시설의 화재통계를 이용한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Safety Design using the Fire Statistics of Residential Facilities)

  • 윤웅기;서동구;김동은;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8-239
    • /
    • 2013
  • A study on the fire scenario proposal of residential facilities by using fire stat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idential facilities fires by using fire statistics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during 2007~2012, fires from carelessness were the most causes. specially, fires during food cooking among carelessness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and followed sparks, neglecting fire sources, and cigarette stubs in order. through this the study suggested fire scenarios according, It is believed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a secure building in a fire using a basis for fire safety design of buildings in the future this.

  • PDF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한 법규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Legal Improvement for Fire Protection i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 김동철;노삼규;함은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9-26
    • /
    • 2015
  • 본 연구는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하여 설치되고 있는 소방시설 설치기준에 관하여 법체계 및 제도적 장치 확보에 관한 사항이다. 목조건축 문화재의 화재방호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소방시설과 현행 법제도를 고찰함에 따라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법정 소방설비와 자체진화 소방설비 등의 구축과정에서 화재방호성능, 기술기준, 책임소재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목조건축 문화재는 화재방호 시설을 구축하더라도 문화재 원형보존의 원칙은 최소한 확보되어야 하므로 소방시설은 화재 특성을 고려하여 화재방호 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치기준을 법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목조건축 문화재 소방시설 구축 시 성능확보를 위하여 설계 시공 및 감리제도의 법정화를 통한 구축시스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소방시설 기술기준의 법정화를 제안한다.

진주시 도시시설물별 화재발생 위험도 평가 (The Risk Assessment of the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Urban Facilities in Jinju-si)

  • 배규한;원태홍;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50
    • /
    • 2016
  •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인구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도시시설물들이 급속도로 도시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고 있고 사회재난 중 화재는 교통사고와 더불어 도시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2015년 우리나라의 화재발생은 44,432건이 발생하여 253명의 사망자와 4,3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다양한 피해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화재정보시스템과 진주소방서를 통하여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진주시 화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행정자치부의 시설물 현황 DB를 통해 진주시의 화재와 시설물의 군집성을 분석하고 화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미국소방기술사회(SEPE: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기준에 따른 화재발생빈도에 대한 위험 등급을 4단계로 구분한 경우 가장 높은 A등급으로 업무시설, 위락시설, 자동차시설이 분류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U등급은 단독주택, 공동주택, 교육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집합시설, 의료시설, 산업시설, 생활서비스시설, EU등급은 기타주택이고,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BEU등급은 위험물제조시설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설물은 위험물제조시설이었고 재산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는 집합시설과 산업시설이 가장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도시에서 발생된 화재를 시설물별로 구분하여 발생빈도, 인명피해, 재산피해에 대해 위험등급을 산정하여 제시함으로서 도시공간에 분포한 시설물에 대한 화재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