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escape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5초

선박사고용 호흡구난장비의 착용성 및 활동성 평가 연구 (Evaluation on th e Wear Fit and Activity of Emergency Escape Breathing Devices for Ship Accidents)

  • 노재현;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79-84
    • /
    • 2019
  • 선박 운항 중 화재나 사고 시에 선박 내부의 복잡한 구조나 침수로 인해 갑판으로의 신속한 피난이 어려울 경우 유해가스나 산소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상탈출용 호흡구난장비가 필수적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비상탈출호흡구가 개발 보급되고 있으나, 기본 성능만 만족할 뿐 실제 사용시의 착용성 및 활동성에 대한 평가 사례가 없어 그 효용성에 대해 의혹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사고에 적합한 비상탈출호흡구에 대한 착용성 및 활동성 평가 항목을 제반 국제 기준으로부터 도출하였고, 개방식과 폐쇄식 각각의 국산 제품 샘플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개방식은 시인성, 착용시간, 호흡저항 및 호스 걸림 부분에서, 폐쇄식은 정화통 방해, 무게 불균형, 호흡백 시야 가림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협소 거주공간 재실자 특성 및 화재위험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ncy Prediction and The Fire Hazard in Narrow Dwelling Space)

  • Lee, Changwoo;Oh, Seungju;Yoo, Juyoul;Kim, Jinsung;Cho, Ahra;Cho, Yongs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42-3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협소거주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대표적인 협소 거주공간인 고시원, 노래방 등에 대한 설문 및 실태조사와 과거 관련 사고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협소 거주공간의 화재 위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시원과 노래방은 업종 특성상 구획된 실의 밀폐되고 복잡한 통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노래방의 경우 지하층에 위치하여 있어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배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피난로가 복잡하여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고시원은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협소 거주공간의 구조물 특성에 적합한 소방설비의 설치와 특수한 구조적 형태 및 환경에 적합한 특수 장비(화원 탐지, 요구조자 구조 등) 및 화재 진압 전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경호경비계획을 위한 사무용 고층건축물의 피난안전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cape Safety Assessment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for Security Plans)

  • 박남권;이영주;윤명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28호
    • /
    • pp.57-77
    • /
    • 2011
  • 최근 국내외적으로 고층건축물에서 화재, 테러 등의 재난에 의한 연소의 확대로 인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고층건축물에 대한 안전대책의 일환으로 고층사무용건축물에서 재실자의 피난행동예측 및 피난안전성평가를 위해 각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고, 그 결과데이터를 토대로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제안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재 경호경비분야에서 고층건축물 및 다중이용시설에 관한 연구는 질적인 연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고층건축물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심층 분석하고 다각도로 대비함으로서 구체적 실질적 체계적 합리적인 종합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위기상황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고층건축물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피난구획의 설정은 비상시 피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이 되었다. 셋째, 고층건축물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복수 층의 동시 피난 상황을 고려하여, 층별 피난출구의 설정으로 전체 피난완료시간의 단축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 PDF

할인점 지하매장의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Performance for Discount-Store in Underground)

  • 김영일;윤명오;김종훈;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3-99
    • /
    • 2001
  • 본 연구는 현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대형 할인점의 지하 매장에 대한 피난성능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할인매장의 건축적 공간 특성 및 피난 상 문제점 분석 지하매장의 거주밀도 분포조사 피난용량 적정성 검토를 위한 피난 시뮬레이션 연구결과, 매장의 실질적인 수용인원을 기준으로 적정피난용량을 결정해야 하며, 피난동선상에 있는임시 판매대, 쇼핑 카트, 그리고 피난층의 계산대가 피난에 중요한 장애요소로서 이에 대한 개선과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피난시간을 기준 한 성능기준 피난설계 분석결과, 사례분석 대상 지하매장은 적정피난용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건축물 특별피난계단의 배연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moke Exhaust Condition and Improvement Program of Special Escape Stair)

  • 이동호;김하영;김정엽;심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86-2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특별피난계단의 제 배연시스템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총 50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으며 국내 제 배연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술 및 법적 수준은 선진국대비 $40{\sim}60%$로 평가 되었다. 또한 현재의 기준이 안전한 피난로 확보를 위해 개선되어야 한다는 답변이 64%로 나타나 이에 따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축물의 방화 및 피난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Fire Protection and Evacuation System for Buildings)

  • 이경수;임만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16
    • /
    • 1988
  •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ome ideal measures available in the course of construction from the viewpoint of an architect to reduce damage of human lives and Properties caused by fire accidents in buildings. For this study, 7 buildings burnt by conflaguration in Seoul during the years of 1985 and 1987 are picked up, and 105 withnesses, who were present in one of them at them at fire, are traced for personal interview and respones to the written questionaire about 5 main issues; their perceptional behaviour, their emotional state at that time, their reactions to avoid danger, their escape routes, and their usual awareness to prevent fire. Some desirable measures suggested here are ;making Provisions to install fire centers in large buildings and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fire fighting law, and requlating to compose fire units appropriate to the quantity of combustibles inside, limit the length of a blind corridor, furnish balustrade, and limit the width of the landing of the stairs in building code and regulations. Such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time of planning to construct a building, and some drill and education in fire prevention is demanded for the occupants of the buildings too.

  • PDF

도막상태에 따른 열감지기의 감온특성에 관한 시험, 연구 (A REPORT ON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 이복영;유인호
    • 방재기술
    • /
    • 통권14호
    • /
    • pp.18-33
    • /
    • 1993
  • This report is announced about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Thermal lag is forecast result from painting the part of heat receiving. It is delayed responsive time to assume fire fighting, escape. Test is simulated that heat detector is painted by synthetic resin emulsion pain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installation. Painting method, number, thick etc is determined by research worker based on the popular idea.

  • PDF

철도 선로안전시설에 관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Research on the Safety Facilities of Railroad)

  • 이승원;김승환;신승교;김태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0-555
    • /
    • 2005
  • In this research, safety requirements for guard rail, buffer stop, car stop scotch block, protection device, fire protection facilities, safety siding, escape facilities and inundation protection facilities are studied to establish a standard. First, various kinds of guard rail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are investigated. Researches on the level difference of main track and guard rail, joint, length, and fastening force of guard rail are done.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buffer stop and car stop scotch block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nd the impact force, speed limit and capacity of buffer stop are summarized. Details of protection device, fire protection facilities, safety siding, escape facilities and inundation protection facilities are also investigated. From this fundamental research results, basic data on the safety facilities of railroad system are established.

  • PDF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난상황 발생 시 최적 대피경로 설정 (A Mobile Application for Navigating the Optimal Escape Route in Accidents and Emergency Situations)

  • 조성현;주기돈;강훈;박교식;신동일
    • 한국위험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36
    • /
    • 2015
  • In early 2011,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had greater damage due to earthquake in Japan, and the awareness of safety has increased. In particular, special response systems should be required to handle disaster situations in plant sites which are likely to occur for large disasters. In this study, a program is designed to set up optimum escape routes, by a smart phone application,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his program could get information of the cumulative damage from sensors and display the escape route of the smallest damage in real-time on the screen. Utilizing our application in real-time evacuation has advantage in reducing cumulative damag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focusing on horizontal path, is calculated based on getting the data of fire, detected radioactivity and hazardous gas. Thus, using our application provides information of optimal evacuation to people who even can not hear sensor alarms or do not know geography,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costs except fixed sensors or server network deployment cost. As a result, being informed of real-time escape route, the user could behave rapidly with suitable response to individual situation resulting in improved evacuation than simply reacting to existing warning alarms.

화재 시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피난특성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Working of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for Fires)

  • 이승철;홍이표;김상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5-40
    • /
    • 2013
  • 본 연구는 일체형 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학생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일체형 방화셔터를 포함한 방화셔터 전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 검토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설치된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유무에 따른 재실자 피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 모의실험 결과, 일체형 방화셔터 미작동시 최종 대피완료 시간은 130초이며,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시에는 190초가 소요되었다. 그리고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시 피난대피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셔터내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 시 최종피난 완료시간은 상당히 지연될 수 있고, 많은 학생들이 화재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일체형 방화셔터 출입문 개폐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