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and explosion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28초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 재해예방 사례연구 (Case Study on Prevention of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 신운철;권준혁;이용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3-70
    • /
    • 2014
  •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used in new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reconstruction, or extension sites. There is vast room for improvement, especially in safety training, safety inspection, and selection of countermeasures because training, technicality, and management systems regarding fire/explosion risks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are very immature in most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fferentiated technical, educational, and management application plan for preventative management of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used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연소열을 이용한 유기할로겐화탄화수소류의 폭발한계의 예측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Organic Halogenated Hydrocarbons by Using Heat of Combustions)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63-69
    • /
    • 2012
  • 폭발한계는 가연성물질의 폭발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소열과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하여 유기할로겐화탄화수소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를 예측하였다. 제시된 예측식에 의한 폭발한계 값은 문헌값과 적은 오차범위에서 일치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다른 가연성 유기할로겐화탄화수소류의 폭발한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tudy on Hazard of Toner Cartridge at Recycle Facilities

  • Koseki, Hiroshi;Iwata, Yusaku;Lim, Woo-Sub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11권1호
    • /
    • pp.15-18
    • /
    • 2012
  • Because of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toner cartridge particle becomes smaller and more dangerous. And sometimes we had incidents with dust explosion of toner cartridge particle at recycling facilities in Japan. Therefore we studied on hazard of toner particle relating with dust explosion. We found that toner particle is so dangerous compared with most organic solids, even though it does not belong to hazardous materials in the UN regulation and the Japanese Fire Service Law.

폭발 보호(진압, 배풍, 차단) 시스템에 관한 소개 (An Introduction on Explosion Protection System)

  • 김찬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76-79
    • /
    • 1996
  •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r an introduction covering the nature of explosions, explosion protection techniques and explosion protection systems(EPS), It is not intended to be a result for the design or research of protection including explosion suppression, venting, isolation, and an explanation to the mechanical system.

  • PDF

조사연구-분진폭발에 대한 소고

  • 이지섭
    • 방재기술
    • /
    • 통권19호
    • /
    • pp.29-35
    • /
    • 1995
  • This decument, translated and rearranged deseribes the features of dust explosion and the factors which have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hazard of dust explosion on the purpose of prevention the disaster caused by dust explosion. The dust explosion exist close to our common life as latently, but it seems to be overlooking in com-mon, regretably Tr need to be evoked.

  • PDF

노후 분말소화기의 폭발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Causes on Explosion Accidents of a Old Dry Chemical Powder Extinguisher)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91-99
    • /
    • 2012
  • 분말소화기를 조작하거나 해체하는 과정 중에 아주 드물게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부식된 분말소화기는 조작 중 또는 해체(폐기)과정 중에 폭발하면 로켓과 같이 위쪽으로 솟아오르면서 소화기 조작자나 해체과정 중인 사람의 머리나 가슴, 목 부위 등을 쳐서 사상사고를 발생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분말소화기파열사고사례를 알아본 후, 파열사고의 원인과 파열로 인한 반동력, 예방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화기 파열사고의 예방대책으로 훈련이나 교육에 부식된 소화기의 사용 자제, 부식된 소화기에 대한 위험성 교육 및 홍보, 기설치 가압식분말소화기에 파열위험성 표시, 내용연수 표시 의무화, 일정기간 경과 소화기에 대한 수압검사 제도의 도입 검토, 폐소화기 회수시스템 구축, 폐소화기의 재활용시스템 구축, 노후소화기관련 상담창구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LP가스 폭발 후 화재 전이 현상 및 전이 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Explosion to Eire of LPG and Its' Prevention)

  • 오규형;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0-26
    • /
    • 2004
  • 본 논문은 가스폭발로부터 화채로의 전이현상 및 전이 방지 연구를 위해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0 cm {\times} 60 cm {\times} 45 cm$인 폭발용기를 사용하여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현상을 고속 비디오로 가시화하고 가시화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기구들을 확인하였다. 고체 가연물로는 신문용지를 가로 세로가 $30cm {\times} 20cm$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였고 LPG-공기 혼합가스는 10㎸ 전기 스파크를 사용하여 점화시켰다. 실험 변수로는 혼합가스의 농도, 개구부의 크기 및 가연물의 위치 등이었으며, 파열면의 크기는 $10cm {\times} 9cm, 13cm {\times} 10cm, 27cm {\times} 20cm, 40cm {\times} 27cm$로 하였고 가연물의 설치 위치는 4종류로 하였다. 폭발 후 전이 방지 기구의 고찰은 가스 소화약제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가스폭발로부터 화재로의 전이 현상은 혼합가스의 농도와 고온의 화염 및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폭발 후 분위기의 냉각이나 불활성화를 통해 화재로의 전이를 방지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리튬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Lithium Batteri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 심상보;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114-122
    • /
    • 2016
  • 본 논문은 리튬배터리의 고온 및 단락전류에 따른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대표적인 리튬배터리 종류인 리튬폴리머배터리 및 리튬이온배터리를 실험시료로 선정하였다. 고온에 따른 폭발위험성 측정결과 리튬폴리머배터리의 경우 평균 $170^{\circ}C$,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평균 $187^{\circ}C$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단락전류에 따른 온도상승측정결과 보호회로가 정상작동 할 경우 과전류를 제한하여 온도상승이 거의 없었지만, 보호회로가 고장 났을 경우 리튬폴리머배터리의 경우 평균 $115.7^{\circ}C$ 및 리튬이온배터리 경우 평균 $80.5^{\circ}C$까지 상승하여 화재 및 화상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에틸렌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분석적 평가 (An Analytical Evaluation of Fire and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Ethylene)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50-56
    • /
    • 2009
  •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특성으로 이용된다. 에틸렌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에틸렌의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를 고찰하였다. 에틸렌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공기 중에서 각 각 2.6vol%와 36vol%를 추천하며,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전면 가열인 경우는 $420^{\circ}C$, 국소 고온표면인 경우는 약 $800^{\circ}C$를 추천한다. 또한 에틸렌의 폭발한계의 온도 및 압력의 존성에 대한 새로운 예측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불균일 농도 LPG의 폭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PG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Non-uniform Concentration)

  • 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1-116
    • /
    • 2003
  •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0cm, 60cm, 45cm로 내용적이 $270\ell$인 폭발 용기를 이용하여 불균일 농도 상태의 LPG-공기 혼합가스의 폭발특성을 측정하였다. 폭발은 vented-explosion과 closed explosion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점화원의 위치, 노즐직경 및 유속으로, 시료가스를 주입하는 노즐의 직경과 유속을 변화시키면서 용기 내에서의 불균일 혼합정도를 조절하였다. 폭발압력은 strain형 압력센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폭발화염의 거동은 비디오카메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속과 가스 주입 시간이 용기 내 가스 혼합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불균일 정도가 심화될 수록 폭발압력과 압력상승속도가 감소하였으나 용기 내 폭발화염의 체류시간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가스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 위험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