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preading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2초

산불확산패턴 연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A Simulation Model for the Study on the Forest Fire Pattern)

  • 송학수;전원주;이상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1-107
    • /
    • 2013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이상기후가 세계 곳곳 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빈번한 산불 발생 및 산불의 대형화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산불은 재산피해,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특히, 생태계 파괴를 촉진시키는 매우 심각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산불로 인한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산불확산 및 패턴 수리모델이 개발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요인이 고려된 산불패턴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수리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은 격자기반위에서 구성되었으며 셀룰라오토마타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델에서, 숲은 불이 쉽게 옮겨 붙는 나무와 그렇지 않은 나무 두 종류로 구성되었다. 산불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연소된 나무의 개수가 전체 시뮬레이션 격자개수의 25% (= 10,000) 되는 시점(T)을 세 개의 독립변수인, 전체 나무밀도, 불 전이 확률이 큰 나무 밀도, 그리고 바람의 세기에 대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나무 밀도가 커질수록, T의 값은 줄어들었고, 바람의 세기가 커질수록 T의 값이 줄어들었다. 나무밀도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 바람의 효과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산불확산모델은 실제 산불 문제에 적용되어 효과적 대응방안 마련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발코니 길이변화에 의한 화염분출성상의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y of the Blowoff Flame Phenomena Due to Changes of Balcony Length)

  • 김회천;손장열;박형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35-244
    • /
    • 2007
  • In the case of the fire outburst within a partitioned space, it can disappear inside it through smoldering process if the fire cannot obtain sufficient imflammability. On the contrary, if it obtains it, the fire is not restricted within the room, spreading to the higher levels beyond outside windows and the compartment room. The method to prevent the fire spread through windows is considered to build a balcony or equip with sprinkler facilities. This case study is to identify which effects and controlibility a balcony brings about on the spread of fire through a full scale model experi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ire spread on the upper levels of the room on fire by changing the length of balcony,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radiant heat was investigated, and products of combustion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when fire occured, longer length of the balcony, which linked to the outside wall of the apartments, led to the blocking of the fire spread, lower level of radiant heat, and significantly less transfer of toxic gases,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outburst of flame was identified as the attractive force due to the turbulence of uncombusted gases, which exist on the upper level of the outbursting flame.

수치해석을 통한 지하공간의 제연설비 성능기준 검토 (A Study on the Performance Criteria of Smoke Control System for Underground Spaces Through Numerical Analysis)

  • 안찬솔;채한식;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56-36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화재 안전 기준 중 제연설비의 성능기준에 의해 지하 공간 건축물이 준공된 후 임의의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를 모델링하여 연기 확산 현상을 분석하고 제연 설비의 작동에 의한 재실자의 피난시간 연장과의 적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가연물의 종류와 발열량을 추정하였으며 추정 값의 검토를 위하여 임의의 단일지하상가를 모델링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지하상가의 제연설비가 작동될 경우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화재 안전 기준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PDF

실내 내장 벽지의 고온산소지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xygen Index of Interior Wallpapers at Elevated Temperature)

  • 오규형;이성은;김황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7-62
    • /
    • 2008
  • 한국의 실내장식재로는 대부분 벽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공간에 화재발생시 화재 확대요인중의 하나는 벽지의 연소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동안 산소지수 관련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상온에서의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화재에서 화재의 확대요인이 될 수 있는 벽지의 산소지수가 상온과 고온에서 얼마나 차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차이가 화재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LOI 및 TOI 측정한 결과 벽지의 상온과 고온에서의 산소지수는 $5{\sim}8%$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에서 산소지수 0.1%의 차이로도 연소 길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산소지수 감소가 화재확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mprovement for Prevention and Nonproliferation on Infectious Disease Proliferations)

  • 노태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44-150
    • /
    • 2017
  • 국가 간 교류 확대와 기후변화 등으로 감염병의 국내유입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회적 환경변화로 감염병 발생 가능성의 증가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불안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감염병 발생은 경제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므로 감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많은 의료 기관에서는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질병관리본부 등 상급 기관으로의 신속한 보고가 매우 중요하며 또한 일반 환자와 감염된 의심환자를 공간적으로 나누는 시설이 여의치 않아 병원 내에서 감염이 확대될 위험성이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원의 중동증후군(MERS)의 감사 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발생 보고, 감염자의 분리 방법 및 감염 확대를 막는 방법 등을 고찰하여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화재 위험성이 높은 노출배관 사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osed Piping with High Risk of Fire)

  • 김엽래;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1-66
    • /
    • 2015
  • 건축물 내에 노출배관의 자재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음에 따라 내부식성, 내약품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알려진 Poly Vinyl Chloride (PVC)관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시 유독가스의 발생과 화재의 확산 방지에 취약하다는 우려의 시각이 있다. 노출배관은 불연재를 사용하여야 화재시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초대형 건축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는 시기에 화재시 피해의 심각성이 매우 우려된다. 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을 강화하고, 높아진 안전의식을 수용하여야 선진국으로의 진입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 노출배관에 사용되는 자재를 조사하고, 선진국의 기준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성을 연구함으로서 국민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국내 각 지역별 건축물의 노출배관에 대해 현장의 실태를 조사하여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건축물 안전과 거주자의 안전 확보 및 국내 외 노출배관의 불연재 사용에 대한 실태를 바탕으로 관련법규를 개선함으로 국민안전에 대하여 그 효율성을 제고한다.

FDS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화재 시 승강장 제연조건의 적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Smoke Control Conditions of Platform at the Subway Fire by using FDS)

  • 김기성;송동우;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8-14
    • /
    • 2013
  • 지하철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크고 작은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대구지하철 화재에서 볼 수 있듯이 독성가스와 연기에 의한 가시거리 감소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지하철 만덕역에서 열차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승강장에서의 제연상황(열차문의 개방, 터널의 제연설비의 가동, 방화문의 작동)에 따라 연기의 전파거동을 FD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계산 결과 터널부의 제연설비를 가동하였을 경우보다는 가동하지 않았을 경우가 피난로 확보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열차문의 개방 형태는 승강장의 대피로 측의 문은 모두 개방하고 화재객차의 선로측 문만을 개방하였을 경우가 모두 개방한 경우보다 제연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승강장의 방화문이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형할인점의 피난대책 및 소방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cape Measures and Fire Protection System Improvement in Discount Stores)

  • 홍성우;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0-27
    • /
    • 2002
  • 본 연구는 현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대형 할인점의 피난대책 및 소방시설 설치기준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형 할인매장의 피난대책. -매장의 피난시설 설치의 문제점 및 대책. -매장의 방화구획 설치의 문제점 및 대책. -매장의 옥내소화전 설치의 문제점 및 대책. 연구결과 건축계획시 면적기준에 의해 설치되는 피난계단의 경우 상주인원수에 의해 수량, 설치위치, 규격 등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매장 부분의 방화구획 또한 시설물 설치로 인한 장애 및 피난로 확보 차원에서 매장부분에 한하여 설치를 완화하는 대신 스프링클러 설치 기준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며, 스프링클러 설치시 자진하여 옥내소화전을 추가 설치하는 경우 소화전은 상품진열 등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부분이 발생하므로 매장부분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은 설치반경을 완화하여 실질적인 소화시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산불화재 시뮬레이션분석에 의한 화재진압능력 개선방안 (Methods to Improve Fire Suppression Capability by Forest Fire Simulation Analysis)

  • 이정일;조성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5-134
    • /
    • 2022
  • Forest fires in Korea usually start in the fall and occur every year until spring. Most wildfires are human resources that combin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arelessness, and failure to respond in the initial stage and lack of cleanup are spreading to large-scale wildfires. In order to prevent these wildfires, active cooperation from the public is essential. As can be seen from recent wildfires,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s needed above all else because large-scale wildfires in Korea are occurring due to the people's negligence. If a wildfire spreads and becomes large, it cause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and the damage is irreversible. In this study, various methods were used to prevent forest fires and improve initial suppression ability. In order to minimize damage, the model analyzed by the 119 Special Rescue Team in Gangwon, Chungcheong and nearby forest fires was analyzed on the combustion progress and wind direction by time period. The propagation speed by the wind direction was simulated. Until now, most of the wildfires have been extinguished by firefighting, but I hope that the Forest Service will take the lead and maintain coordin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외부화염에 의한 드라이비트의 소손패턴 연구 (A Study on the Damaged Pattern of Dryvit by External Flame)

  • 박영주;홍이표;이해평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0-47
    • /
    • 2015
  • In this study,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fire damage form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flame spreading form and fire probability from ignition sources subject to drivit component materials which is finishing material in architecture. Ignition sources were limited to a gas torch and exterior panel board fire, and the size of the sample was manufacture in 30 cm length ${\times}$ 50 cm height ${\times}$ 5cm thickness size. Marble (inner wall) + 3 mm drivit (outer wall), marble (inner wall) + 4 mm plaster stone (outer wall), sandwich panel + 3 mm driver bit (outer wall), sandwich panel + 3 mm driver bit + insulation (outer wall), and gypsum board (inner wall) + 3 mm drivit (outer wall) were prepared for the sample. As result of the research f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y each material was shown in $218^{\circ}C{\sim}995^{\circ}C$ at 30 seconds and $501^{\circ}C{\sim}1078^{\circ}C$ at 300 seconds. Especially when the inner wall was a plaster board, lowest temperature of $501^{\circ}C$ was shown at 300 seconds and marble inner wall showed the following lowest temperature of $900^{\circ}C$. Temperature rising over $1000^{\circ}C$ was shown in other materials. Regarding fire damage form, drivit or gypsum board outer wall parts exposed to fire showed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to show calcination(breaking phenomenon) and influence of heat exposure was higher as calcination became more sev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