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ource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34초

화원의 높이 및 화재크기별 터널 천장온도 측정 실험 (Measurement of Ceiling Temperature in Tunnel for Heights and Fire Sizes of Fire Source)

  • 박원희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0
    • /
    • 2015
  • The "Ondong tunnel" is not used now where is one of the tunnels in the Janghang line which is from Cheonan to Iksan. The length of the tunnel is 214 m. The location of the fire source is center of the tunnel and the pool fire with heptane is for the fire source. Tests are carried out for the various fire sizes, the height and obstructed/open condition of the fire source. Temperature on the top of the tunnel is measured. Even if the fire size is same, the maximum temperature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for the elevated fire source is very larger than the maximum for the ground fire source. As the fire size is lager the maximum temperature on the ceiling is higher. These test results can be very useful for design and guidelines of fire detectors in tunnels.

공연장 무대부 화재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자연 배연구 면적과 화원 위치 영향 (Numerical Investigation on Fire of Stage in Theater: Effects of Natural Smoke Vent Area and Fire Source Location)

  • 박민영;이치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22
  • This numerical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size of the natural smoke vent area (10% and 1% of the floor area)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source (i.e., at the side and center of the stage)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compartment and velocity distribution and mass flow rate of flow through a natural smoke vent for a reduced-scale model of a theater stage. Then, the mass flow rate of outflow through the natural smoke vent in the event of a fire for a real-scale theater stage was examined. The case with the larger natural smoke vent area and central fire source location showed lower temperature distributions and higher mass flow rates of outflow and inflow than the case with the smaller natural smoke vent area and side fire source location. The trends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mass flow rates for the outflow and inflow. Additionally, the case with the larger natural smoke vent area and central fire source location exhibited the most non-uniform flow velocity distribution in all cases tested. A bidirectional flow, in which the outflow and inflow occur simultaneously, was observed through the natural smoke vent. In the event of a fire situation in a real-scale theater stage, it was predicted that the case with the larger natural smoke vent area and central fire source location would have a mass flow rate of outflow that is 43.5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ase with the smaller natural smoke vent area and side fire source location.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natural smoke vent lo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in a theater stage where a fire can occur.

수정된 체적열원모델을 이용한 실내 화재의 연기농도 예측 (Numerical Prediction of Smoke Concentration in a Compartment Fire by Using the Modified Volumetric Heat Source Model)

  • 김성찬;이성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44-350
    • /
    • 200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fire-driven heat flows and gas concentration in a compartment fire by using the modified VHS model (MVHS). The main idea of this model is to add some source terms for combustion products and oxygen consumption to the original VHS model for providing more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on gas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well as thermal fields. It is found that the present MVHS model shows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eddy breakup combustion model. The tilting angle of fire plume calculated by MVHS is larger than that of EBU model because the fire source of VHS is affected by ventilating flow less than EBU. However, this discrepancy is apparently reduced in the downstream region of fire source.

축소 구획실에서 화원과 측벽의 거리에 따른 화재특성 변화 (Changes in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e Source and Sidewall in a Reduced-Scale Compartment)

  • 윤홍석;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50-59
    • /
    • 2019
  • 과환기 화재조건에서 화원과 측벽의 거리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1/3 축소된 ISO 9705 화재실이 제작되었으며, Spruce wood crib이 연료로 사용되었다. 구획 내부의 현상 이해를 위하여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개방된 공간 화재에 비해 구획실 화재는 벽면의 열 피드백 효과로 인하여 질량 감소율과 열발생률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측벽과 화원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화염으로의 공기 유입 제한에도 불구하고 주요 화재특성인 최대 질량 감소율, 열발생률, 화재 성장률, 온도 및 열유속이 증가되었다. 특히 측벽과 화원이 접촉되었을 때 이들 물리량의 가장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추가로 화원과 측벽의 거리에 따른 구획 내부의 유동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온도의 수직분포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메탄올의 소규모 Pool 및 Whirl Fire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ool and Whirl Fire on Methanol by Height of Fire Source using the Small Scale)

  • 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73-78
    • /
    • 2012
  •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풀 화재와 회오리 화염의 연소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화성 액체인 메탄올을 $100{\times}100{\times}50$ 크기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사각형 용기에 넣고 연소실험을 하였다. 연소시간, 질량감소속도, 화염온도, 화염높이 및 외부로부터 화염으로의 공기유입속도 등을 측정하였으며, 연소시 화염의 거동은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로부터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은 풀 화재보다는 회오리 화염에 있어서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DS를 이용한 교번식 미분무방식의 소화 성능 분석 (Analysis for fire suppression efficiency of intermittent water spray pattern with FDS)

  • 지문학;이병곤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0-203
    • /
    • 2008
  • Water mist fire suppression system utilizes the fire suppression features such as cooling of fire source, dilution of ambient oxygen, and shielding of radiation heat with the evaporation of microscopic water droplets. The momentum of water mist is relatively low and the infiltration of water mist to the fire source is not effective. In addition to lower penetration force, the evaporated water vapor is liable to decline to limited portion of fire source due to its light weight and sparse density. On the other hand, the cycling water mist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the penetration force of water mist as well as the dilution coverage capability with the stratified spray characteristics. At this paper we present the analyzed fire suppression capability of intermittent water spray pattern by use of FDS which is computational fire dynamics fire model. We expect this analysis shall be supportiv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of water mist nozzle.

  • PDF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in a Tall and Narrow Atrium

  • Sugawa, Osami;Takahashi, Wataru;Ohtake, Masanori;Satoh, Hiroomi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353-360
    • /
    • 1997
  • The modeling on fire safety assessment for a tall and narrow atrium is carried out using a reduced and full scale atrium models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flow behavior in and near comer fire and smoke ventilation system. The comer (or wall) effects on the flame behavior considering air entrainment into a flame was evalu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emperature, upward velocity, inlet air velocity, and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rium space and atmosphere were measured systematically in a reduced scale model. The performance of the modeling to estimate temperature rise and natural air ventilation volume was verifi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Smoke filling rate from a model fire source set at the center of a tall and narrow atrium is fastest in the other cases in which fire source set in or near a corner. This suggested that the centering of the fire source is acceptable as the fire source position to assess the fire safety design for a tall and narrow atrium.

  • PDF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Whirl Fire의 질량감소 및 공기유입속도 (Mass Loss and Air Entrainment Rate of Whirl Fire by Height of Fire Source)

  • 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26-131
    • /
    • 2011
  •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회오리 화염의 질량감소속도와 공기유입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오리 화염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화성 액체인 메탄올과 노말 헵탄을 사용하였다. 용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100mm ${\times}$ 100mm ${\times}$ 50mm 크기의 사각형으로 제작하여 연소실험에 사용하였다. 외부로부터 화염으로 의 공기유입속도는 화점의 높이를 0cm에서 30cm로 변화시켰을 때, 0cm의 높이에서 가장 빠른 공기유입속도를 나타냈으며, 동일한 화점의 높이에서는 다점풍속기의 높이가 30cm인 경우에 가장 빠른 평균 공기유입속도와 최대 공기유입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메탄올과 노말 헵탄의 회오리 화염의 결과로부터 질량감소속도는 노말 헵탄이 메탄올에 비해 1.33~1.58배, 외부로부터 화염으로의 공기유입속도는 노말 헵탄이 메탄올에 비해 4.38~5.44배 각각 빠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회오리 화염에서 질량감소속도와 외부에서 화염으로의 공기유입속도는 화점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같은 실험조건에서 시료의 고위/저위 발열량이 높을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L 268 시험화원에 따른 CO센서의 화재감지센서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the CO Sensor as A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Test Fire Source of UL 268)

  • 이춘하;성완기;이종화;김형권;지승욱;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54-63
    • /
    • 2014
  • 본 논문은 CO센서의 화재에 대한 감지특성을 분석 후 화재감지기로서의 적용성 판단을 하기 위한 논문이다. CO센서의 화재감지기로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시험실과 유사한 규모의 화재실험장을 설계 제작하고, UL 268에서 제시된 화재시험기준에 준한 실화재실험을 실시하여 화원 종류에 따른 CO센서와 광전식연기감지기의 다양한 화원의 화재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연기에 대한 감지특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종이화원 및 목재화원과 같이 불완전연소로 진행되는 초기화재에서 CO센서가 광전식연기감지기보다 약 2~3배 빠른 감지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목재훈소화재에서 CO센서의 감지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확산소화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성능평가연구 (Fir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Distance from a Fire Source)

  • 곽지현;김동석;구재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38-43
    • /
    • 2013
  • 보일러실이나 세탁소, 또는 음식점과 다중이용업소의 주방에 주로 설치하는 자동확산소화장치는 화재발생 시 화염이나 열에 의해 자동으로 약제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구 중 하나이다. 이 소화장치는 공칭방호면적에 해당하는 소화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방호대상물이 이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 유효한 화재진압이 보장되지 않지만 현행 기준에는 바닥면적에 따른 설치갯수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방호대상물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소화성능은 달라지게 되며 이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고자 천장높이가 2.5 m인 모형화재실에 본 소화장치를 설치하고 A급, B급 모형가연물과의 수평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일반가연물과 유류가연물을 모두 확실하게 소화할 수 있는 최대수평이격거리는 약 30 cm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