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revention

검색결과 1,545건 처리시간 0.046초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Standard of Architectural Glass and Curtain Wall)

  • 김지영;김남혁;김동은;서동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3-167
    • /
    • 2010
  •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에 따른 커튼월 시공에 따라 유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커튼월 구조는 바람, 지진 등에 취약하며, 화재 안전성에 있어서도 취약할 것이라 판단되므로,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기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유리 기준은 단열 및 내풍압 성능에만 집중되어있으며, 화재 및 지진, 안전성능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며, 커튼월에 대한 안전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국의 사례와 같이 초고층에서 커튼월의 안전성능을 고려한 설계프로세스나 안전 기준의 세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소형항공기의 화재방지 요건 및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Prevention Requirements and Tests for Small Aircraft)

  • 유승우;진영권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11
  • The goal of fire prevention research is to eliminate fires as a cause of fatal accidents and there are two main areas of research. One is to prevent flame propagation during in-flight and it addresses fire hazards. The other i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flame penetration or fuselage burn-through and it aims toward post-crash survival include crash protection, emergency evacuation and post-evacuation survival. Civil aviation authorities world-wide are trying to identify threats and measure performance for fire preven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standardized and given as general directions of test methods. This paper has prepared to study and present the means of compliance to the fire prevention requirements and applicable test methods.

국내 성능위주설계의 시행현황 분석 - 화재시나리오 및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 안성호;문선여;류일현;최준호;황철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40
    • /
    • 2017
  •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Based Design (PBD) implemented in 4 wide areas (Seoul, Gyeonggi, Incheon and Busan) over the past 5 years was reviewe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PBD implementation and target buildings. Then, detailed status related to fire scenarios, input information for fire simulation, and grid size were analyzed with the pre-review for the PBD. As a result, the domestic PBD was mainly applied to the mixed occupancy. In the fire simulations performed on the identical fire scenario and fire space,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BD designer. Various combustibles were also considered for the identical fire source, and their combustion properties also showed considerable uncertainty.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accurate input information for predictive models of heat and smoke detectors was examined. Finally, the average grid size for the fire simulation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FDS) was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of PBD to minimize designer dependency was proposed.

화재하중을 통한 사찰의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Risk Assessment of the Temple Using Fire Loads)

  • 김수영;신영주;박영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9-415
    • /
    • 2008
  •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fire risk assessment of the temple using fire loads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bustibles. 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were classified as walls, beam-columns, floorings, ceiling panels and the loading combustibles were classified into fixed materials and movable material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otal fire load of the Palsangjeon was $368\;kg/m^2$. 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3.8 percent of the total fire load and the loading combustibl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2 percent.

  • PDF

Efficient Forest Fire Detection using Rule-Based Multi-color Spac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pplication in Unmanned Aerial Vehicles

  • Anh, Nguyen Duc;Van Thanh, Pham;Lap, Doan Tu;Khai, Nguyen Tuan;Van An, Tran;Tan, Tran Duc;An, Nguyen Huu;Dinh, Dang Nh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2호
    • /
    • pp.381-404
    • /
    • 2022
  • Forest fires inflict great losses of human lives and serious damages to ecological systems. Hence, numerous fire detec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one of which is fire detection based on sensors. However, these methods reveal several limitations when applied in large spaces like forests such as high cost, high level of false alarm, limited battery capacity, and other problem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novel forest fire detection method based on image processing and correlation coefficient. Firstly, two fire detection conditions are applied in RGB color space to distinguish between fire pixels and the background. Secondly, the image is converted from RGB to YCbCr color space with two fire detection conditions being applied in this color space. Fin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fires and objects with fire-like colors. Our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and evaluated on eleven fire and non-fire video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and achieves up to 95.87% and 97.89% of F-score and accuracy respectively in performance evaluation.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예방활동·화재안전특별조사·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pecial Investigations of Fire Safety, and Fire Safety Management by the Apartment Buildings Management Methods and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 김종남;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89-502
    • /
    • 2020
  • 이 연구는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분석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특히, 공동주택 소방안전관리의 중요성 측면에서 집단 간의 비교분석은 필요한 것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시설점검에 따라서 예방활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 및 점검표에 따라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관리방식에 따라 화재안전특별조사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안전특별조사에도 만족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예방활동이 소방시설점검과 관리방식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고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예방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보여준다.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주요가연물 연소특성 DB 구축 (An Study on the Preparation of Fire Behavior of Fixed Combustibles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

  • 서윤정;김동은;홍해리;황현배;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3-76
    • /
    • 2011
  • 최근 건축물에서 공동주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공동주택의 화재비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재 시 인명 피해의 주원인인 가연물은 소재가 다양화되고 있으나 안정성 보다는 디자인, 기능성에 치중되어 그에 따른 화재 위험성도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보의 실내장식물에 이어 공동주택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적재가연물을 가연물 조사를 바탕으로 선정하여 Furniture Calorimeter를 이용해 그 연소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파가 타 시료에 비해 화재 시 높은 위험성을 나타냈으며, 일본건축학회에 발표된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소파의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단일화재실험을 통한 FDS 신뢰성 분석 연구 (A Reliability Analysis on FDS through Full Scaled Fire Experiment of a Sing Fire Area)

  • 김동은;김봉찬;서동구;이주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82-285
    • /
    • 2012
  • 최근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위험성평가를 많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재시뮬레이션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구획의 화재실험을 실시하고 각 가연물의 연소 특성 실험을 적용한 FDS와 일반적으로 구동하는 FDS의 비교를 실시하여 FDS의 신뢰성을 알아보았다.

  • PDF

가연물 연소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Behavior analysis of Combustibles Experiment of a Sing Fire Area)

  • 김동은;김봉찬;서동구;이주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16-419
    • /
    • 2012
  • 본 연구는 주거시설 중 공동주택의 가연물 조사결과를 토대로 9개의 시료를 ISO-9705의 Furniture Calorimeter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연소 실험한 결과의 HRR값을 기존의 범용화재시뮬레이션 FDS에 적용 가능한 HRR유형화 곡선화시키고 이에 따른 가연물 연소특성에 대한 분석방법에 대해서 제시하여 기존 국외 문헌 및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실시하고 있는 화재 시뮬레이션의 사용에 있어서의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