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Detection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26초

열과 연기농도를 입력변수로 갖는 퍼지로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A Fire Detection System Using Fuzzy Logic with Input Variables of Temperature and Smoke Density)

  • 홍성호;김두현;김상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2-51
    • /
    • 2004
  • 본 논문은 열과 연기농도를 입력변수로 갖는 퍼지로직을 적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화재감지시스템은 열과 연기농도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하여 화재가능성이 추론되는 퍼지추론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이 추론시스템의 조건부(antecedent part)는 fuzzy 단일 값(singleton)으로 열과 연기농도가 입력되도록 하였고, 결론부(conclusion part)는 화재가능성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퍼지추론을 위하여 적용된 membership함수는 삼각형 membership함수이다 추론하는 방법은 Mamdani가 제안한 minimum 연산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계산을 위하여 Matlab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기반의 화재감지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퍼지로직이 적용된 화재감지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불꽃화재와 훈소화재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추론되는 화재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퍼지로직을 적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연소상황에 따라 비교적 정확하게 화재가능성을 추론하였다.

터널 화재의 화염 및 연기 검출 기법 연구 (A Study on Flame and Smoke Detection Method of a Tunnel Fire)

  • 이정훈;이병무;한동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27-102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d image-processing technique for automatic real-time fire and smoke detection in tunnel fire environment. To minimize false detection of fire in tunnel we used motion information of video sequence.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ct exact position of event in early stage with detection, test, and verification procedures. In addition, by comparing false detection elimination results of each step, we have proved the validity and efficiency of proposed algorithm.

  • PDF

웹카메라를 이용한 YOLOv5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 (A Fire Deteetion System based on YOLOv5 using Web Camera)

  • 박대흠;장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9-71
    • /
    • 2022
  • 오늘날 AI의 발전으로 인하여 AI 시장은 매우 커지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이 발전된 AI는 이미지 탐지이다. 그리하여 YOLOv5을 이용하는 많은 객체 탐지 모델이 존재한다. 하지만 AI의 대부분의 객체 탐지는 정형화된 객체 탐지에 중점이 잡혀 있으며 비정형 객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YOLOv5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설계하여 비정형 화재 데이터를 탐지 및 분석하여 화재 탐지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딥런닝 기반의 프레임 유사성을 이용한 화재 오탐 검출 개선 연구 (Fase Positive Fire Detection Improvement Research using the Frame Similarity Principal based on Deep Learning)

  • 이영학;심재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42-248
    • /
    • 2019
  • 화염 및 연기 감지 알고리즘 연구는 다양한 모양, 빠른 확산 및 색상으로 인해 컴퓨터 비전에서 어려운 과제이다. 일반적인 센서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의 성능은 환경 요인(실내 및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크게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딥러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것은 물체의 형상을 특징으로 추출하므로 비슷한 형상이 프레임내에 존재하면 오탐으로 검출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화재 오탐 검출 개선을 위해 딥런닝 사용 전과 후에 프레임 유사성을 이용하여 오탐을 줄이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화재 검출 성능은 유지를 하면서 오탐 부분이 최소 30% 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의 오탐 검출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제우주정거장 내부 화재시 연기거동 및 감지특성에 관한 수치 모델링 (A Numerical Modeling of Smoke Behavior and Detection for Fire Developed in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박설현;이주희;김연규;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1-56
    • /
    • 2012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화재발생은 승선한 승무원들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안이므로 선실내부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도 있는 화재의 초기 감지 및 진화는 우주정거장의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각종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는 가압모듈을 대상으로 환기, 연기거동 및 감지에 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수치모델링은 NIST에서 개발된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사용하였으며, 부력이 작용하지 않는 국제우주정거장 내부의 무중력환경에서 발생된 화재의 연기거동패턴은 지상에서의 현상들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가압모듈에서 적용되고 있는 환기조건을 고려하여 수행된 연기거동 및 감지특성에 대한 수치 모델링 결과는 향후 무중력환경에 노출된 수 있는 우주선이나 대형우주구조물의 화재검출장비의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승선하게될 우주인이나 승무원들의 훈련자료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축소 모형실험을 통한 광센서 선형 화재 감지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Optical Sensor Linear Fire Detection System with Miniature Model Fire Experiment)

  • 김동은;김시국;이영신;이춘하;임우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19-26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주요 시설 및 국가 기반 시설로 변화되고 있는 터널 및 지하 공동구의 조기화재탐지설비시스템 설치에 이용되고 있는 광센서 선형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한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저온 환경인 $-20^{\circ}C$에서 5일간 5가지의 열감지기 중에서 작동 여부를 확인한 결과 광센서 선형 감지기만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터널과 같은 풍속이 발생되는 곳을 가정하여 축소 모형 터널을 제작하여 0 m/s와 1 m/s를 변수로 하여 광센서 선형 감지기의 작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광센서 선형 감지 시스템의 온도 변화에 있어서는 풍속이 없을 때인 0 m/s 때의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소방방재설비 적용현황 분석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in Large Enclosure Gymnasium)

  • 최동호;김춘동;양정훈;조영흠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5-145
    • /
    • 2010
  • 본 논문은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소방방재계획상의 특정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에 건립될 대공간 건축물의 소방방재계획 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도출코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소방방재설비관련 법규 검토와 국내 3개, 국외 8개의 대규모 실내경기장을 대상으로 화재감지설비 소화설비 배연설비 피난계획 적용현황을 조사하여 대공간의 소방방재시스템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화재감지설비는 공간특성에 적합한 적외선화재감지기, 염감지기 등이 유력한 화재감지설비로 사용되며, 소화설비는 건식살수설비, 방수총소화설비 등이 채택되었으며 배연에서는 축연시스템이 적극 활용됨을 확인하였다.

  • PDF

퍼지논리를 적용한 전기적 접촉불량 및 아크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poor contact and arcing fault using a fuzzy logic)

  • 김현우;김인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5-210
    • /
    • 2007
  • This study on the prevention of electric fire. Generally the electric fire is caused by break or disconnection of the power line, short circuit and poor contact, arcing fault ect. In these causes,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detection of poor contact and arcing fault. The arcing fault is caused by poor contact mainly. The arcing fault can occurs a electric fire by interaction of flammable gas and materials and it can be caused of tracking and carbonization. These phenomenons is also caused of electric fire. Therefore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detection of arcing fault and poor contact.

  • PDF

컬러 화재영상의 화염 색상 및 시공간적 특성 분석 (Flame Color,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lor Fire Images)

  • 황준철;김원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1-4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컬러 화재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색상 분석과 시공간적 특징 분석을 통하여 신뢰성 높은 화재 판정 조건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컬러영상에서 화염을 판정하는 컬러속성으로서 Y-휘도 성분과 Cr-색차 성분을 조합한 문턱치를 도출하고 화염 후보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화염 후보영역에 대해서는 화염의 공간적인 질감분석과 시간적인 동적변화를 DCT와 프레임간 휘도성분 변화량을 분석하여 최종 화염 판정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한 화염 판정 조건의 신뢰성과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질감 및 색채의 공간 분포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기반 화재감지 시스템 (Design Of a Video-Bas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exture and Color Spatial Distribution Information)

  • 박봉희;류지구;문광석;김종남;장대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1-334
    • /
    • 2010
  • 본 논문은 질감 및 색채의 공간 분포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기반 화재감지 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화재 감지에 사용되는 영상들은 각각 상이한 장소, 시간, 위치에서 획득된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비전기반 화재감지 기법에서는 정확한 화재감지를 위해서 많은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감지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비디오 영상의 사이즈 및 칼라 정보를 정규화 한다. 다음 색채의 공간 분포 정보를 적용하여 화재 후보 영역을 검출하고, 이 후보 영역에서 영상의 질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화재를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이전의 비전기반 화재 감지 기법에 비해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