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검색결과 15,663건 처리시간 0.038초

특수건물 이재물건의 방재성능 비교조사 (Comparitive Research for the Performance of Fire Protection Systems between Fire-Damaged Buildings and Non-Damaged Buildings of Properties Specified by the Law)

  • 윤희상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23
    • /
    • 1996
  • This paper, as a part of reviewing the adequacy of reflecting the fire protection systems in calculating fire insurance premium,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bability of fire accidents and the capability of fire protection systems in buildings

  • PDF

소방공무원 근무환경에 대한 안전보건 의식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nd Health Consciousness for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re Fighter)

  • 이종호;김요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7-143
    • /
    • 2015
  • Fire fighter are exposed to the situations which are hard to predict due to continuous and accidental changes which hinder their fire fighting activity. As these threats of safety accident act as fear factors, they are doing insecure fire fighting activities. Therefore, as unclear and abnormal risks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riskiness of expansion of disaster, instability, obstacles of activities, abnormality, urgency, etc. increase, safety accidents are caused.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and health and awareness of fire fighter who are exposed safety accidents during their fire fighting activities and utilize such result as the basis data to secure safety of fire fighter, keep efficient safety control and prevent acciden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As rescue works among all fire-fighting works shows the highest emotional stabilization and the highes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shown in fire sergeant level positions, and fire fighters whose working period is 10-15 years, reinforcing safety training to long-term workers is necessary. As the result of survey regarding safety awareness, the highest awareness level was shown in fire sergeant level positions, and fire fighters whose working period is over 20 years, and when it comes to opera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s, fire-fighting workers and workers having 1-4 years of working period showed high safety awareness. The more serious injury in a fire fighter experienced as the first injury after working as a fire-fighter, the mor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personal physical condition and work, and it is shown as obstacles of fire fighting activities and affects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oreover, as after-work off duty activities also affect to official disaster, systematic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s required. Occupational medical work compatibility evalu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orks to secure fire-fighter' health care together with fire-fighting capability is shown to be necessary.

소방펌프차의 고압방수를 위한 중계방수방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y Pumping Method for the High Pressure of Fire Engine Pump)

  • 민세홍;권용준;박종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52-5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 화재 등 고압방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방수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방펌프차의 중계방수방법과 활용방안을 정립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중계 방수압력의 변화에 대하여 시험결과 소방펌프차의 방수구를 개방하고 측정하였을 경우 방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보다 약 20 %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활동 현장에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소방펌프차 2대의 압력을 각각 변화시키면서 시험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고압 방수능력이 있는 소방펌프차가 소방서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소방펌프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서도 고압 소방펌프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소방차를 활용하여 초고층 화재 등 고압방수의 필요성이 있는 화재현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방차량 운영 및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A Study on the fire-resistance of concrete-filled steel square tube columns without fire protection under constant central axial loads

  • Park, Su-Hee;Choi, Sung-Mo;Chung, Kyung-So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8권6호
    • /
    • pp.491-510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plan and guidelines that were drawn for Korean based research carried out on the fire-resistance of CFT column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Korean regulations related to the fire-resistance of CFT columns and examining studies which had been made in Korea as well as overseas.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plan was to compare the fire-resistance of square CFT columns without fire protection (obtained through fire-resistance tests and numerical analyses) with estimated values (obtained through fire-resistance design formulas proposed in Korea and overseas). This comparison provided conclusions as outlined below. Fire-resistance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proved that, when the actual design load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quare CFT columns without fire protection are able to resist a fire for more than one hour. A comparison was made of test and analysis results with the fire-resistance time based on the AIJ code, the AISC design formula and the estimation formula suggested for Korea. The results of this comparison showed that the test and analysis results for specimens SAH1, SAH2-1, SAH2-2 and SAH3 were almost identical with the AIJ code, the AISC design formula and estimation formula. For specimens SAH4 and SAH5, the estimation formula was more conservative than the AIJ code and the AISC design formula.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fire-resistance of CFT columns without fire protection and to draw fire-resistance design formulas for these columns. To achieve this, it is proposed that numerical analyses and tests be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fire-resistance of circular CFT columns, the influence of eccentricity existing as an additional factor and the influence of the slenderness ratio of the column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overall behavior of CFT structures without fire protection within a fire be evaluated through analysis simulation.

우리나라, 중국, 일본, 미국 수계소화설비 소화수 공급시간 및 소화수원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Fire Water Supply Duration and Capacity of Water Based Fire Suppress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Korea)

  • 민세홍;남유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3-20
    • /
    • 2013
  • 1968년 우리나라 소방법이 제정된 이래 최근에는 건축물이 초고층화 및 초심도 등 환경적으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른 소방력의 적절한 대응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에서 소화수원은 소방력의 근원이 되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이에 중국, 일본, 미국의 소방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화수원공급 시간 및 소화수원을 비교하였으며 각 수계소화시스템에 대해 건축물 용도, 면적, 층수 그리고 위험 급별로 소화수 유량(flow rate), 소화수 공급시간, 소화수원량 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일본, 미국 주변국가의 소화수원 산정 기준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소화수원 기준이 이 국가들과 비교해 다른 점과 유사한 점은 무엇이며 장, 단점에 대해 조사했다. 주변 국가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소화수원 기준이 국제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발전된 소화수원 기준에 대한 발전적 제안을 한다.

소비자의 적합성 실증분석을 통한 가정용 소화기의 디자인 개선방안 (Methods to Improve the Design of Household Fire Extinguisher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 Compatibility)

  • 이성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58-66
    • /
    • 2020
  • 주택의 경우에는 소방법에서 제외 대상으로 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초기 소화에 골든타임을 놓쳐 대부분 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주택에서 화재와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소방법을 개정하여 정부에서는 2017년부터 단독 주택에도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하였다. 소방청 2018년 주택용 기초 소방시설 설치 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체 비치율이 34.8%에 불과하다. 소화기는 화재 시에는 꼭 필요한 기구이지만 가정집에서는 기피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투박하고 빨간 색상으로 되어 있어 집안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소화기도 평상시에는 장식품과 팬시용품처럼 집안에 비치해 두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심플하면서도 디자인이 다양한 소화기가 있어야 한다. 집안 어디에 두어도 장식물처럼 어울릴 수 있는 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이제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심플한 소화기가 개발되도록 관련업체의 디자인 개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 상품화를 기대한다.

소방시설의 화재진압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e of Utilizing Fire Facility in Fire Fighting)

  • 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44-1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이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화재진압에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이를 이용하는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하여 파악하고, 문제가 있다면 개선방안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소방공무원들은 평소 사용하는데 익숙한 휴대 장비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62%가 소방시설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한 경험이 있고, 활용한 소방시설은 옥내소화전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도 활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신속대응을 위해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2.5%로 가장 많았고,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매우 그렇다 및 그렇다고 답변하였다. 결론적으로 화재현장에서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 활용도의 변수로서 현장지휘자의 소방시설 활용에 대한 적극성, 소방시설활용 능력, 설치기준 및 구조의 용이성, 소방시설의 신뢰도에 대한 인식 등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축소 구획실에서 화원과 측벽의 거리에 따른 화재특성 변화 (Changes in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e Source and Sidewall in a Reduced-Scale Compartment)

  • 윤홍석;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50-59
    • /
    • 2019
  • 과환기 화재조건에서 화원과 측벽의 거리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1/3 축소된 ISO 9705 화재실이 제작되었으며, Spruce wood crib이 연료로 사용되었다. 구획 내부의 현상 이해를 위하여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개방된 공간 화재에 비해 구획실 화재는 벽면의 열 피드백 효과로 인하여 질량 감소율과 열발생률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측벽과 화원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화염으로의 공기 유입 제한에도 불구하고 주요 화재특성인 최대 질량 감소율, 열발생률, 화재 성장률, 온도 및 열유속이 증가되었다. 특히 측벽과 화원이 접촉되었을 때 이들 물리량의 가장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추가로 화원과 측벽의 거리에 따른 구획 내부의 유동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온도의 수직분포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Behavior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under localized fire exposure conditions

  • Zhang, Gang;Kodur, Venkatesh;Yao, Weifa;Huang, Qia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9권2호
    • /
    • pp.193-204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the response of steel-concrete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under certain localized fire exposure conditions. Two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a simply supported girder and a continuous girder respectively, were tested under simultaneous loading and fire exposure. The simply supported girder was exposed to fire over 40% of its span length in the middle zone, and the two-span continuous girder was exposed to fire over 38% of its length of the first span and full length of the second span. A measurement method based on comparative rate of deflection was provided to predict the failure time in the hogging moment zone of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under certain localized fire exposure condition. Parameters including transverse and longitudinal stiffeners and fire scenarios were introduced to investigate fire resistance of the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Test results show that failure of the simply supported girder is governed by the deflection limit state, whereas failure of the continuous girder occurs through bending buckling of the web and bottom slab in the hogging moment zone. Deflection based criterion may not be reliable in evaluating failure of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 under certain fire exposure condition. The fire resistance (failure time) of the continuous gird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mply supported girder. Data from fire tests is successfully utilized to validate a finite element based numerical model for further investigating the respons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exposed to localized fire. Results from numerical analysis show that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can be highly influenced by the spacing of longitudinal stiffeners and fire severity. The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 with closer longitudinal stiffeners has better fire resistance than the simply composite box bridge girder. It is concluded that the fire resistance of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can be significantly enhanced by preventing the hogging moment zone from exposure to fire. Longitudinal stiffeners with closer spacing can enhance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The increase of transverse stiffener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도시형 생활주택의 위험성 분석을 통한 화재영향성평가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 for Introduction of Fire Influence Evaluation System through Risk Assessment of the Urban Lifestyle Housing Buildings)

  • 김동욱;백소나;최준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10-17
    • /
    • 2017
  • 건축구조 및 사용패턴 등의 다양성 때문에 소방시설만으로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화재안전을 확보하기 어렵다. 화재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화재 위험성과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화재 법규를 제 개정하여 화재 영향성 평가의 도입을 즉시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지금까지 시도한 두 번의 노력은 아직까지 실패한 채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와 남구에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 414개소에 대한 화재위험성을 전수조사하고 실제 조건을 반영하여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화재영향성평가의 도입필요성과 절차, 실행방법을 소방전문가와 건축전문가 집단에게 설문하였다. 그 결과, 화재영향성평가는 반드시 도입되어야 하며 소방관련 법령은 화재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 개정하여 화재안전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화재영향성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공청회, 부서 간의 합의, 화재영향평가를 수행하는 위탁기관 지정 등을 통한 적극적인 노력 또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