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s content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초

Valorization of marble's waste as a substitute in sand concrete

  • Ouassila, Boughamsa;Houria, Hebhoube;Leila, Kherref;Mouloud, Belachia;Assia, Abdelouahed;Chaher, Rihia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9권2호
    • /
    • pp.217-225
    • /
    • 2020
  • The recovery of waste proves a solution with two impacts: the environmental impact by the reduction of pollution and the gain of the occupied space by this waste, and the economic impact by the use of these lasts in the building and in the area of public works. The present research consists in recovering a waste marble (thrown powder exposed to the different meteorological phenomena) generated by the quarry marble of Fil-fila, located at the east side of Skikda in the north-east of Algeria, and add it, as sand in the composition of sand concrete. To carry out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evolution brought by the substitution of ordinary sand by marble waste sand, with 25%, 50%, 75% and 100% on the properties in the fresh state (density, workability and air content) and in the cured state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surface hardness and sound velocity). For durability we tested water absorption by immersion and chloride penetr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compared with control samples of 0% of substitution rate. In order to have a good filling of the voids in the granular skeleton; we added a quantity of limestone recycled fines from the quarries and for a good workability a super-plasticizing additi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substitution modified both the fresh and the hardened characteristics of the tested concretes, the durability parameters also improved.

지료의 제타전위 측정을 통한 형광증백제의 흡착 평가 (Adsorption Analysis of Fluorescent Whitening Agent on Cellulosic Fibers by Zeta Potential Measurement)

  • 이지영;김은혜;김철환;박종혜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6호
    • /
    • pp.106-112
    • /
    • 2015
  •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analytical methods to measure the adsorption of di-sulpho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D-FWAs), but practical methods for D-FWA utilization in an actual paper mill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particular, the D-FWA adsorption behavior must be monitored in paper mills to ensure the effective use of D-FWAs. This study used the zeta-potential of pulps as an indicator of the adsorption behavior of a D-FWA.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adsorption of the D-FWA and the zeta-potential of the pulps as a function of D-FWA addition. zeta-potential measurements were then used to analyze the D-FWA adsorption behavior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pulp type, conductivity, and pH. The actual adsorption of a D-FWA was proportional to the ${\Delta}zeta-potential$ of the pulps (i.e., the difference between the zeta-potential of a pulp containing no D-FWA and one containing the D-FWA). The ${\Delta}zeta-potential$ of the pulps was therefore adopted for adsorption analysis. A higher adsorption of the D-FWA was observed onto Hw-BKP than onto Sw-BKP because of the shorter fiber length and higher fines content of Hw-BKP. A high conductivity and an acidic pH decreased the D-FWA adsorption because of direct effects of high ion concentrations and low pH on the D-FWA solubility. Therefore, a D-FWA must be added to Hw-BKP under low conductivity conditions and at neutral or alkaline pH to optimize the D-FWA adsorption.

동결-융해 반복작용으로 인한 화강풍화토의 압축강도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Cyclic Freezing-Thawing on Compressive Strength of Decomposed Granite Soils)

  • 유충식;신부남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2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동결-융해 반복작용이 화강풍화토의 압축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세립분 함유량을 변화시켜 다양한 시료조건을 조성한 후 동결-융해 시험 환경을 조성한 후 동결-융해 반복작용 사이클을 강제 부가하였다. 시료에 대한 평면변형률압축시험 및 미세입자구조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자주사현미경(SEM) 촬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SEM 분석 결과 화강풍화토는 동결-융해 반복작용에 노출될 경우 입자들이 뭉쳐 간극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압축강도 특성의 경우 세립분 함유량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세립분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강도저하 현상을, 세립분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강도 증가 현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뚝 인발모형실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Applicability of Finite Element Analysis in Model Test of Pile Pullout)

  • 유승경;신희수;이광우;박정준;최충락;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1-2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인발저항에 대한 합리적 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지반 조건(상대밀도, 세립분 함유율)에서 말뚝의 인발거동 모사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즉, 기존의 실내모형실험 결과(You et al., 2018)를 대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의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고, 유한요소해석에 이용된 해석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활용한 말뚝의 인발거동 모사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상지반이 적용된 축대칭 해석을 이용하여 말뚝의 주면마찰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양한 지반 조건에 대하여 말뚝-지반 경계면의 전단저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축대칭 해석은 말뚝의 합리적인 인발거동 모사가 가능한 해석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해석모델은 말뚝의 응력-변형 관계를 통한 인발거동을 적절하게 모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stimation of liquid limit of cohesive soil using video-based vibration measurement

  • Matthew Sands;Evan Hayes;Soonkie Nam;Jinki K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3권2호
    • /
    • pp.175-182
    • /
    • 2023
  • In general, the design of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processes are fundamentally dependent on their foundation and supporting ground. Thus,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soil under certain stress and drainage conditions. As it is well known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soils with fines are highly dependent on water content, it is critical to accurately measure and identify the status of the soils in terms of water contents. Liquid limit is one of the important soil index properties to define such characteristics. However, liquid limit measurement can be affected by the proficiency of the operator. On the other hand, dynamic properties of soils are also necessary in many different applications and current testing methods often require special equipment in the laboratory, which is often expensive and sensitive to test conditions. In order to address these concerns and advance the state of the art, this study explores a novel method to determine the liquid limit of cohesive soil by employing video-based vibration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 modal characteristics of cohesive soil columns are extracted from videos by utilizing phase-based motion estimation. By utilizing the proposed method that analyzes the optical flow in every pixel of the series of frames that effectively represents the motion of corresponding points of the soil specime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soil specimen could be assessed in a non-contact and non-destructive manne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results compared with the liquid limit determined by the standard method verify that the proposed method reliably and straightforwardly identifies the liquid limit of clay. It is envision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could be applied to measuring liquid limit of soil in practical field, entertaining its simple implementation that only requires a digital camera or even a smartphone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equipment that may be subject to the proficiency of the operator.

저품질 골재가 동일 작업성 조건에서 콘크리트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quality Aggregates in the Same Workability Condition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 민경철;한천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99-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일 작업성 조건에서 저품질 잔 굵은 골재가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 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럼프 및 공기량을 단위수량과 AE제 혼입량 변화로 동일하게 배합설계 하였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 비해 저품질의 골재 사용시 불량의 입도 및 미립자량 등의 영향으로 단위수량 및 AE제 혼입량이 각각 약 18%, 98%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양호한 품질의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 비해 저품질의 발파석 굵은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서 특히, 발파석 마사토 및 해사와 같은 저품질 잔골재와 복합될 때 20~35% 까지 저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품질 잔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는 압축강도뿐만 아니라 탄성계수와 내구성으로 동결융해, 건조수축, 탄산화 및 염해저항성 측면에서도 크게 저하하여 그 심각이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저품질 골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물씻기, 혼합골재에 의한 입도 조정 등 별도의 처리를 거쳐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을 철저히 규제하는 특별한 대책이 수립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내 동상시스템을 이용한 노상토의 동상민감성 평가 (The Frost Heaving Susceptibility Evaluation of Subgrade Soils Using Laboratory Freezing System)

  • 신은철;류병현;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3-23
    • /
    • 2013
  • 겨울에는 시베리아기단에 의해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계절동토지역인 우리나라는 춥고 건조하여 1월 평균기온이 $-6{\sim}-7^{\circ}C$의 영하의 온도로 낮아져 지반동결시 수분이동으로 동상현상이 발생하여 지반구조물의 불균형 동결팽창을 초래한다. 동상 발생시 토립자는 모관력에 의해 지하수를 흡수하여 아이스렌즈를 형성하며, 이 모관 흡수력은 토립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흙의 종류에 따른 동상민감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학적 특성이 다른 10종류의 흙시료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 파악과 통일분류법에 의한 흙 분류를 통해 실내동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각각 흙의 종류에 따른 동결깊이, 동상팽창량, 부동수분, 아이스렌즈와 같은 동상특성을 확인하여 시료의 동상민감성을 평가하였다.

In vitro 및 In vivo에서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 권진영;안인숙;박건영;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0
    • /
    • 2005
  •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 및 지질저하 효과를 3T3-Ll adipocyte cell culture system과 20%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살펴보았다 펙틴을 첨가한 3T3-Ll adipocyte cell의 글리세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leptin의 농도는 83% 유의 적으로 감소하여 (p<0.01) adipose 세포에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실험군간의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지방을 섭취시킨 쥐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체중이 50% 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에 펙틴을 10%와 20% 첨가시킨 군에서 는 체중이 각각 12% 및 16% 감소하였다. 상대적인 내장지방의 함량(g/100 g body weight)은 ND 4.3 g, ITFD 5.6 g, HFP10은 3.1 g, HFP20은 2.3 g로 펙틴 첨가군의 상대적인 내장 지방 함량이 정상대조군보다 낮아 펙틴의 비만억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상승된 혈장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펙틴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여 펙틴의 첨가에 의한 지질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간 및 심장의 지질 농도 역시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펙틴의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특히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 현상은 펙틴 첨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펙틴의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펙틴의 비만 억제 효과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지질의 흡수를 방해하여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을 촉진시키는 이외에도 다른 생리 활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펙틴은 고지방식이를 섭취 하는 경우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체중감소 효과보다 크며 혈장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고 HDL 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구 결과, cook-chill생산 시 녹차 추출물의 첨가가 미생물적 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급식소에서 음식 생산 시 녹차 추출물 및 천연 항균성 물질 첨가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 및 관능적 품질검사를 통한 레시피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다.다리다보니 점심시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차후 학교급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급식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식당공간 확보 시 신속한 시간 내에 급식이 가능하도록 넓은 공간과 쾌적한 환경의 식당 조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여부를 반영하는 임상증상의 빈도가 높은 청소년기 남녀 중학생의 경우 아침과 저녁의 결식빈도 및 외식과 간식의 빈도가 높았고, 아침식사의 질과 체형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건강과 식습관 및 체형만족도가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성장기 청소년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바람직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었으며,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재확인되었다.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er 90 % of good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due to fineness of form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unit powder content and the improvement of flowability, without regard to the replacement of crushed stone fin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sage of crushed stone fines can control the strength of super flowing concrete by replacement and reduce heat of hydration.

지반 및 도로 공동부의 긴급복구용 CLSM 재료로 매립 석탄저회 활용 가능성 (Possibility of Using Landfill Coal Ash as CLSM Material for Emergency Restoration of Ground and Road Joint Parts)

  • 김진만;신상철;민경남;김하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매립 석탄저회를 활용한 긴급복구용 CLSM 채움재의 실용화 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매립 석탄저회의 입도분포 및 미립분 함량 등의 물성을 파악한 결과 저회와 비회, 일반 흙이 섞여 있는 상태로 밀도 2.03, 잔입자 통과율 7.8 %인 입도분포 불량한 모래(SP)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화제 및 감수제와 같은 화학 혼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위수량으로 유동성을 확보하는 CLSM 재료는 Bleeding에 의한 재료분리 위험성이 크며 본 실험결과 석탄저회 사용량이 많고 배합수 추가가 많은 실험체의 경우 Bleeding ratio이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 시험결과 4시간 0.5 MPa 이상 강도발현은 반수석고를 단위결합재량 200 이상으로 사용한 시험체의 경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석고는 강도발현이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다. 매립 석탄저회를 CLSM 재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나 발전사별 회처리장에 매립되어 있는 석탄저회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중간토의 컨시스턴시 분석 (Consistency Analysis of Intermediate Soil Based on the Fines Contents)

  • 오세욱;배우석;방성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7-26
    • /
    • 2021
  •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 등의 침하 또는 안정성 검토 등에 사용하는 지반조사 및 결과분석은 사질토와 점성토에 따라 다르며, 세립토의 경우 주로 흙의 컨시스턴시를 이용하여 지반의 물리적 특성과 흙 분류, 공학적 거동을 평가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액성한계를 분석하는 방법은 Casagrande로 비교적 간단하게 액성한계를 구할 수 있으나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흙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의 액·소성한계를 가지고 압축지수를 추정할 때 세립분 함유율에 따라 액성한계치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토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산, 광양, 부산지역의 점토와 사질토를 혼합한 중간토를 제작하여 컨시스턴시 한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컨시스턴시 보정 제안식을 활용하여 적용성 평가를 하였다. 중간토는 점토와 사질토의 혼합시료로써 중간토 제작을 위해 세립토 함유율(Fc)을 50%, 75%, 100%를 적용하였다. 중간토는 자연 상태의 점토 특성을 재현하기 위해 벤토나이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시료를 성형 한 다음 물리적 특성 시험 및 컨시스턴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컨시스턴시 보정식과 실험에 의한 컨시스턴시 결과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컨시스턴시와 보정 제안식에 의해 수정된 컨시스턴시를 비교·분석하고, 보정된 컨시스턴시 값을 적용하여 사질토가 함유된 중간토의 압축지수 등 공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안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