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tration resistanc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5초

열안정 공기 여과막용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사이의 접착력 향상 (Enhancing Adhesion between Polyphenylene Sulfide Fabric and Polytetrafluoroethylene Film for Thermally Stable Air Filtration Membrane)

  • 김진욱;손혜정;강상훈;이창수
    • 멤브레인
    • /
    • 제33권4호
    • /
    • pp.201-210
    • /
    • 2023
  • 먼지 필터 막은 인간의 건강, 안전 및 환경 보호의 몇 가지 중요한 측면에 기여하기 때문에 인간의 삶과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고온 조건에 대한 우수한 열안정성과 접착 특성을 가진 polysulfone@polyphenylene sulfide/polytetrafluoroethylene (PSf@PPS/ePTFE) 복합 먼지 필터 막의 개발을 제시한다. FT-IR 분석은 PSF 접착제가 PPS 직물에 성공적으로 함침되고 ePTFE 지지체와의 상호 작용을 확인한다. FE-SEM 이미지는 향상된 섬유 상호 연결 및 PSf 농도와 함께 접착력을 보여준다. PSf@PPS/ePTFE-5는 가장 적합한 다공성 구조를 보여준다. 복합 막은 400℃까지 예외적인 열 안정성을 보여준다. 박리 저항 테스트는 먼지 여과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보여 공기 투과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힘든 고온조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보장한다. 이 막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유망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최적화 및 응용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다.

혐기성 소화의 후처리로서 분리막의 여과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Membrane Filtration as a Post Treatment to Anaerobic Digestion)

  • 추광호;이정학;백운화;고의찬;김상원;고종호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730-738
    • /
    • 1992
  • 혐기성 소화액의 한외여과에 의한 후처리에서 분리막의 재질에 따른 여과특성을 연구하였다. 상이한 분리막의 여과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저항 모델을 이용하였다. 소화액에 대한 플럭스의 양태는 초기의 물에 대한 분리막의 투과도에 무관하게 나타났다. 플루오로 폴리머 막의 경우에 유속의 증가에 따라 큰 플럭스의 향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다른 분리막에 비해 막표면에 형성된 케이크층의부착성이 약해 쉽게 제거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장시간 운전에서 플럭스의 감소는 오염층 저항의 증가에서 뿐만아니라 분극층 저항의 증가에서도 기인되었는데, 이와같은 계속적인 분극층 저항의 증가는 미생물의 분해 및 성장에 따른 케이크층 내의 성상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막표면이 친수성인 셀룰로오즈 막은 소수성인 폴리술폰 막에 비해 낮은 막오염도를 보여주었다. 감압을 통해 플럭스를 $5-10L/m^2/h$회복시킬 수 있었다. 세척단계에서 여과저항을 평가함으로써 15분의 단시간내에 세척이 완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액상유기성슬러지로부터 용존유기물의 회수를 위한 막결합형 발효 시스템의 여과 특성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Membrane-coupled Fermentor System for Dissolved Organics Recovery From Liquid Organic Sludge)

  • Jong Oh Kim
    • 멤브레인
    • /
    • 제13권2호
    • /
    • pp.65-72
    • /
    • 2003
  • 본 연구는 액상유기성 슬러지로부터 용존 유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막결합형 발효 시스템의 여과특성의 검토에 초점을 두었다. $0.1 {\mu}m{\sim}5 {\mu}m$ 범위에서 6종류의 막공경을 대상으로 한 슬러지 발효액의 정밀여과 특성으로 막공경이 작을수록 전체저항이 큰 값을 나타내었고 케?층의 형성에 의한 저항이 전체저항의 68~88%를 차지하여 막투과유속의 저하는 주로 입자간의 물리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한 막표면에의 강한 입자침전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발효액의 고형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막투과유속은 감소하였으나 일정이상의 고형물 농도에서는 비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막면유속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5.0~6.0의 pH범위에서 높은 막투과유속이 얻어졌고 에너지 효율측면에서는 가능한 낮은 압력에서 여과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0.1{\mu}m$$0.2{\mu}m$의 막공경에서는 100%의 미생물 제거율을 보였다 액상 유기성 슬러지로부터 용존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최적 막공경은 제안된 기준의 관점에서 볼 때 $1{\mu}m$ 정도라 판단되어진다.

내오염성 나노여과막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uling Resistant Nanofiltration Membranes)

  • 김노원
    • 멤브레인
    • /
    • 제17권1호
    • /
    • pp.44-5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나노여과막과 역삼투막의 표면 개질을 통하여 유량의 향상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실란 화합물이 코팅된 복합막의 표면 성질이 막 오염 지수 MFI 값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상용화된 역삼투막(RE1812-LP)과 나노여과막(ESNA 4040-LF) 복합막을 기저막으로 사용하여 실란 커플링제의 농도를 달리하여 개질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란 커플링제 aminopropylmethoxydiethoxysilane은 아민 관능기와 3개의 알콕시 관능기를 가지며 아민 관능기가 가지는 친수성 특성이 개질막의 투과 수량 및 내오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개질막의 실란층의 안정적인 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FE-SEM, 접촉각 측정 및 제타 전위값 등의 표면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개질된 나노여과막의 2가 이온 수용액을 공급수로 할 경우 염제거율에 대한 영향 없이 내오염성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테일러 와류 정밀여과에서 막오염의 실험적 연구 및 모델링 (Experimental Study and Modelling on Membrane Fouling in Taylor Vortex Flow Microfiltration)

  • 박진용;김현우;최창균
    • 멤브레인
    • /
    • 제13권2호
    • /
    • pp.88-100
    • /
    • 2003
  • 테일러 와류흐름 여과에서 평균기공 1.2 ${\mu}m$인 셀룰로우스 에스테르 정밀막으로 이루어진 내부원통의 회전속도와 슬러리의 농도, 입자의 크기에 따른 여과선속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여과선속은 압력차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케이크 층의 저항 변화를 회전속도, 슬러리의 농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 검토하였다.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케이크 저항이 감소하고 짧은 시간에 준정상 상태에 도달하였다 슬러리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초기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높은 저항값에서 준정상 상태가 유지되었으나, 준정상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은 농도에 무관하였다. 입자 크기가 작을 때 저항이 크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는데,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막 기공을 막을 확률이 더 높고 전단력에 의해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식은 입자의 퇴적과 제거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실험상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Transparent Conductiv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s Manufactured by adding carbon nanoparticles

  • Lee, Seung-Ho;Kim, Myoung-Soo;Goak, Jung-Choon;Lee, Nae-Sung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7-417
    • /
    • 2009
  • Although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CF) belongs to essential supporting materials for many device applications such as touch screens, flat panel displays, and sensors, a conventional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ndium-tin oxide (ITO), suffers from considerable drawback because the price of indium has soared since 2001. Despite a recent falloff, a demand of ITO is expected to increase sharply in the future due to the trend of flat panel display technologies toward flexible, paper-like features. There have been recently extensive studies to replace ITO with new materials, in particular, carbon nanotubes (CNTs) since CNTs posses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flexibility, electrical conductivity, optical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etc., which are prerequisite to TCFs. This study fabricated TCFs wi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produced by arc discharge. The SWCNTs were dispersed in water with a surfactant of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NaDDBS) under sonication. Carbon black and fullerene nanoparticles were added to the SWCNT-dispersed solution to enhance contact resistance between CNTs. TCFs were manufactured by a filtration and transfer method. TCFs added with carbon black and fullerene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UV-vis spectroscopy (optical transmittance), and four-point probe measurement (sheet resistance).

  • PDF

흡착과 정밀여과의 혼성공정에 의한 페놀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Phenol by Hybrid Process coupling adsorption with microfiltration)

  • 이호원;김규진
    • 멤브레인
    • /
    • 제6권2호
    • /
    • pp.109-116
    • /
    • 1996
  • 본 연구는 흡착과 막분리를 결합시킨 혼성 시스템을 폐수처리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페놀을 분말활성탄에 의해 흡착하고, 흡착된 페놀을 활성탄과 함께 정밀여과에 의해 분리하였다. 분말활성탄의 입자크기가 클수록 여과저항은 감소하였으며, 활성탄의 양이 적을수록 단절점(break point) 이전의 투과농도 변화율과 페놀 부하 변화율은 증가하였다. 분말활성탄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활성탄의 외표면적과 경막물질전달계수의 증가로 인해 단절점 전의 투과농도는 감소하였다.

  • PDF

충격기류식 여과집진기에서 경험모델을 이용한 최소압력손실의 분사거리 예측 (The Prediction of Injection Distances for the Minimization of the Pressure Drop by Empirical Static Model in a Pulse Air Jet Bag Filter)

  • 서정민;박정호;임우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4
    • /
    • 2011
  • The new empirical static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dimension analysis to predict the pressure drop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The empirical static model consists of the initial pressure drop term (${\Delta}P_{initial}$) and the dust mass number term($N_{dust}=\frac{{\omega}_0{\nu}_f}{P_{pulse}t}$), and two parameters (dust deposit resistance and exponent of dust mass number) have been estimated from experimental data. The optimum injection distance was identified in the 64 experimental data at the fixed filtration velocity and pulse pressure. The dust deposit resistance ($K_d$), one of the empirical static model parameters got the minimum value at d=0.11m, at which the total pressure drop was minimized. The exponent of dust mass number was interpreted as the elasticity of pressure drop to the dust mass number. The elasticity of the unimodal behavior had also a maximum value at d=0.11m, at which the pressure drop increased most rapidly with the dust mass number.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new empirical static model was 0.914.

Separation and flux characteristics in cross-flow ultrafiltration of bovine serum albumin and bovine hemoglobin solutions

  • Hsiao, Ruey-Chang;Hung, Chia-Lin;Lin, Su-Hsia;Juang, Ruey-Shi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2권2호
    • /
    • pp.91-103
    • /
    • 2011
  • The flux behavior in the separation of equimolar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bovine hemoglobin (HB) in aqueous solutions by cross-flow ultrafiltration (UF) was investigated, in which polyacylonitrile membrane with a molecular weight cut-off (MWCO) of 100 kDa was used. BSA and HB have comparable molar mass (67,000 vs. 68,000) but different isoelectric points (4.7 vs. 7.1). The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including solution pH (6.5, 7.1, and 7.5), total protein concentration (1.48 and 7.40 ${\mu}M$), transmembrane pressure (69, 207, and 345 kPa), and solution ionic strength (with or without 0.01 M NaCl) on the separation were examined. It was shown that the ionic strength had a negligible effect on separation performance under the conditions studied. Although BSA and HB are not rigid bodies, the flux decline in the present cross-flow UF did not result from the mechanism of cake filtration with compression. In this regard, the specific cake resistance when pseudo steady-state was reached was evaluated and discussed.

Pseudomonas sp. S4-14가 생산하는 Alkaline Lipase의 정제 및 효소학적 성질 (Purific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Alkaline Lipase from the Pseudomonas sp.S4-14)

  • 박상호;최수철;이준식;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1-276
    • /
    • 1994
  • The strain S4-14 which produced alkaline lipase and had resistance against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was isolated from soil or water samples. The isolated strain S4-14 was identified a species belong to Pseudomonas. Alkalin lipase secreted by Pseudomonas sp. S4-14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procedure follwed by DEAE-Cellulose, DEAE-Sepharose and gel filtration chromatohraphies with 995.15 U/mg protein and 16.1% yiel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estimated to be 65,000 dalton by SDS-PAGE.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the purified enzyme was 10.5 and 45$\circ $C, respectively. The emzyme was stable at 45$\circ $C for 1 hr and in a pH range from 8.0 to 12.0 for 24 hr at 4$\circ $C. The activity of lipase was enhanced by Ca$^{2+}$ while inhibited strongly by Pb$^{2+}$, Zn$^{2+}$ or Fe$^{3+}$. The activity of lipase was inactivated about 50~60% in the presence of 50 mg/l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alpha $-olefin sulfonate, alcohol ethoxylate or perbor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