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tration rate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32초

Can distinction between the renal cortex and outer medulla on ultrasonography predict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canine chronic kidney diseases?

  • Lee, Siheon;Hong, Sungkyun;Kim, Seungji;Oh, Dayoung;Choen, Sangkyung;Choi, Mincheol;Yoon, Junghe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58.1-58.11
    • /
    • 2020
  • Backgrou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nal cortical echogenicity (RCE) has been tried and developed in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for evaluating RCE quantitatively and intuitively, and to determine associations between ultrasonographic renal structural distinction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in canine chronic kidney disease (CK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 63 dogs, including 27 with normal kidney function and 36 CKD patients. Symmetric dimethylarginine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or calculating eGFR. RCE was evaluated as 3 grades on ultrasonography imag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nal cortex and outer medulla. The RCE grade of each kidney was measur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GFR between the group normal and CKD (p < 0.001). As mean of RCE grades (the mean values of each right and left kidney's RCE grade) increases, the proportion of group CKD among the patients in each grade increases (p < 0.001). Also, severity of RCE (classified as "high" if any right or left kidney evaluated as RCE grade 3, "low" otherwise) and eGFR is good indicator for predicting group CKD (p < 0.001). Conclusions: The degree of distinction between the renal cortex and the outer medulla is closely related to renal function including eGFR and the RCE grade def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thod of objectively evaluating RCE.

Gates 방법과 혈청 크레아티닌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의 비교 (Comparison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Using Gates Method and Serum Creatinine)

  • 윤종준;이효영;이화진;이무석;송현석;박세윤;정지욱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61-66
    • /
    • 2009
  • 목적: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은 신장 기능의 평가, 의심되는 신장질환의 진단 및 만성적인 신질환에서의 질병의 경과 관찰에 중요한 지표가 되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tes 방법으로 측정되는 사구체여과율, 혈청 크레아티닌을 기초로 한 Cockcroft-Gault (C-G),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공식으로 계산한 사구체여과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18세 이상의 다양한 신기능을 가진 217명(남자 127명, 여자 90명, 평균 연령 $51.3{\pm}16.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99m}Tc$-DTPA GFR과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을 기초로 한 C-G공식, MDRD 공식으로 계산한 사구체여과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99m}Tc$-DTPA (Gates) GFR은 C-G공식(r=0.864, p<0.0001) 및 MDRD 공식(r=0.831, p<0.0001)과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C-C 공식과 MDRD 공식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우수하였다(r=0.933, p<0.0001). 혈청 크레아티닌의 평균은 $3.0{\pm}3.1\;mg/dL$으로 정상 신기능(Scr<1.5mg/dL) 환자에서 $^{99m}Tc$-DTPA GFR (Gates)과 C-G공식(p<0.0001), MDRD 공식(p<0.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경증 신부전(Scr 1.5~4.0 mg/dL) 환자에서 Tc-99m DTPA (Gates) GFR과 C-G 공식(p=0.181), MDRD 공식(p=0.127)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증 신부전(Scr>4.0 mg/dL) 환자에서 $^{99m}Tc$-DTPA (Gates) GFR과 C-G 공식(p<0.0001), MDRD 공식(p<0.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Gates 방법을 이용한 사구체여과율, C-G, MDRD 공식으로 계산한 사구체여과율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정상 신기능 환자에서 $^{99m}Tc$-DTPA (Gates) GFR은 C-G, MDRD 공식보다 각각 낮았다. 경증 신부전 환자에서 $^{99m}Tc$-DTPA (Gates) GFR과 C-G 공식, MDRD 공식으로 계산한 사구체여과율은 유사하였고, 중증 신부전 환자에서 $^{99m}Tc$-DTPA (Gates) GFR은 C-G, MDRD 공식에 비해 사구체여과율을 과대평가하였다. 신기능의 정도에 따라 사구체여 과율을 평가하는데 있어 어떠한 측정방법이 더 우월한지는 분명하지 않다.

  • PDF

수평흐름식 여과기술의 CSOs 적용을 위한 공정 최적화 연구 (A Study on Process Optimization for CSOs Application of Horizontal Flow Filtration Technology)

  • 김재학;양정하;이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6-63
    • /
    • 2018
  • 강우사상이 발생함에 따라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미처리된 상태로 방류수계에 직접 배출되는 합류식 관거 월류수(Combimed Sewer Overflows, CSOs) 및 분류식 관거 월류수(Separated Sewer Overflows, SSOs)의 관리는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근래에 들어 그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에 적용성이 유리한 여과기술은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SOs에 적용된 사례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프형 섬유여재가 적용된 Pilot 규모의 수평흐름식 여과장치를 CSOs에 적용하기 위해 공정최적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와 하수를 적용한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인공시료를 적용한 사전연구에서 여재 자체의 손실수두는 약 1.1cm정도로 분석되었고, 선속도 10m/hr 증가에 따라 약 0.1cm 정도의 손실수두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S 제거효율은 81.4% 정도로 안정적이었고, 여과지속시간은 6시간 이상 유지되었으며, 공기역세척만으로도 98% 정도의 손실수두 평균 회복율을 보였다. 하수를 적용한 현장평가에서는 여재의 조기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 벨트 형 미세스크린(450mesh 이상)를 적용했을 때 2시간 내외의 여과지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고, 평균 83.9%의 S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CSOs 및 SSOs에 여과공정 적용을 위해서는 효율적 측면보다 여과지속시간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수리적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처리공정과의 조합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건기와 비교하여 우기의 유입하수 수질은 다소 낮은 보였으며, 이는 분류식 관거 비율이 높은 배수구역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우기와 건기의 유입수질에 따른 제거효율 차이는 미미하였다.

장기 및 단계 양수시험 시 강변여과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during the Constant and Step-drawdown Pumping Tests at the River Bank Filtration Site)

  • 김규범;신선호;김병우;박준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8호
    • /
    • pp.11-21
    • /
    • 2013
  • 창녕군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예정 지점에서 양수시험 동안에 발생하는 지하수 내 철과 망간을 포함한 다양한 수질항목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5단계의 단계양수시험($500m^3/day{\sim}900m^3/day$) 및 26시간의 장기 양수시험($800m^3/day$) 동안에 양수정과 10개의 관측정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장기 양수시험보다는 단계양수시험 기간 동안에 이온 농도의 변화가 뚜렷하였다. 특히, 단계양수시험 동안의 철과 망간 농도의 감소는 양수지점과 대수층의 연결성이 좋아 영향반경이 작은 방향을 따라 뚜렷하게 나타났다. 양수량의 급변에 따라 지하수 흐름에 교란이 발생하고 공기 접촉 등을 통하여 용존 철과 망간의 침전 산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지하수 내 철과 망간 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지중처리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양수정의 운영 방법,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물속의 방사성핵종(세슘) 제거율 연구 (Study on Removal of Cesium in Water Treatment System)

  • 정관조;손보영;안치화;이수원;안재찬;김복순;정득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물속에 존재하는 방사성 세슘($Cs^+$)의 정수처리 제거방법을 고찰하였다. 세슘은 물속에서 대부분 이온상태인 $Cs^+$로 존재하여 모래여과, 정수약품(PACl), 분말활성탄(PAC) 및 정수약품(PACl + PAC) 혼합주입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으나 탁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슘 제거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취수장 주변 고형물과 황토를 이용하여 탁도를 각각 74 NTU와 103 NTU로 조정했을 때 세슘의 제거율은 각각 약 56%, 51%이었으며 상징수를 GAC로 여과한 경우, 세슘의 약 80%가 제거되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세슘 제거를 위해서는 황토 등을 이용하여 원수 탁도를 80 NTU 이상 조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C에 의한 세슘 제거의 경우, 약 60%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접촉에 따른 흡착에 의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다. 막에 의한 세슘 제거에 있어서 정밀여과막으로는 제거되지 않았으나 역삼투막에서는 75%가 제거되었다.

입자상물질과 Ash양이 디젤매연여과장치 내의 배압 및 유동균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and Ash Amount on Pressure Drop and Flow Uniformity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Reduction System)

  • 김윤지;한단비;서태원;오광철;백영순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22-29
    • /
    • 2020
  • 최근 미세먼지 증가로 인하여 디젤엔진의 배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디젤 매연여과장치에 관심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특히 디젤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고효율화에 대한 기술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서 디젤매연여과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내 배기가스의 유동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배압을 낮추어서 배기가스처리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직경 12"의 DPF와 디젤산화촉매(diesel oxidation catalyst, DOC)를 장착한 디젤 매연여과장치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과 온도, DPF IO ratio, Ash와 PM양에 따른 배압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하여 배압을 낮추는 최적화 연구를 하였다. 결과로서 배기가스의 온도와 유속이 낮을수록 배압이 낮아졌으며, PM양이 Ash양보다 배압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비대칭 DPF가 대칭 DPF에 비해 배압이 더 낮게 나타냈으나, 유동 균일도의 경우는 다양한 변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냈다. european stationary cycle (ESC), european transient cycle (ETC) 조건에서 PM의 정화효율은 비대칭, 대칭 DPF 관계없이 유사하나, particle number (PN)의 정화효율에서는 비대칭 DPF가 대칭 DPF에 비해 높게 나타냈다.

소아개심술에서의 변형초여과법 (Modified Ultrafiltration in Pediatric Open Heart Surgery)

  • 이정렬;임홍국;김용진;노준량;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18-524
    • /
    • 1999
  • 배경: 본 연구에서는 개심술을 시행받은 소아 환아에 대하여 심폐기 이탈 직후 실시한 변형 초여과법의 효과를 임상례의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2월까지 변형 초여과법을 실시한 체중 7 kg 이하의 청색성 심질환을 보이는 50명의 환아들과 변형 초여과법을 실시하지 않은 체중 7 kg 이하의 청색성 심질환을 갖은 50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초여과 전후의 적혈구용적률, 혈역학적 수치와 체중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나이는 변형 초여과군이 4.1개월, 대조군이 3.1개월이었으며, 체중은 변형 초여과군이 4.8 kg, 대조군이 4.6 kg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변형 초여과군에서는 평균 7분 동안 매 환아당 60.0$\pm$29.2 cc/kg의 수액을 여과시켰다. 변형 초여과 직후에는 적혈구용적률이 36.1%로 대조군의 26.4%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심폐우회술후 흉관을 통한 배액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28), 수혈량은 변형 초여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p=0.04). 변형 초여과후 중심정맥압이 감소하였고(p=0.02) 수축기(p=0.0001)와 이완기혈압(p=0.0001)은 증가하였고 맥박수는 감소하였으나(p=0.02),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변형 초여과후 체중의 증가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4). 결론: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환아의 개심술에 적용된 변형 초여과법이 조작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혈액을 농축시키고, 단시간내에 정상 혈역학으로의 환원을 가능케 하였으며, 술후 체수분 조절에도 탁월하여 수술결과를 보다 양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 (Linnaeus)의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Physiology of the Manila clam, Teillarca granosa (Linnaeus))

  • 신윤경;문태석;위종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5-489
    • /
    • 2002
  • 전남 보성군 장도해역의 펄질에 서식하는 꼬막의 환경내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생존율, 호흡률, 여수율 둥의 생리적 반웅 및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꼬막의 용존산소농도의 감소에 따른 $LC_{50}$은 수온 $10^{\circ}$에서 16일동안 큰개체 1.31 mg DO/L, 작은 개체는 0.95mg DO/L이었으며, 수온 $25^{\circ}C$의 경우에는 각각 1.13와 1.24mg DO/L이었다. 호흡률과 여수율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 액 성분은 Hemoglobin, glucose,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을 분석하였다. 혜모글로빈은 모든 개체에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glucose는 수온 $25^{\circ}C$, 용존산소 1.6-1.2mg DO/L에서 일시적 증가를 보였으며, 1.2mg DO/L 이하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외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거나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외여과에 있어서 Si 콜로이드 용액의 투과유속 감소 및 오염특성 (Flux Decline and Fouling Mechanism of Si Colloidal Solution During the Ultra-Filtration)

  • 남석태;전재홍;이석기;최호상
    • 청정기술
    • /
    • 제5권2호
    • /
    • pp.25-35
    • /
    • 1999
  • Si 미립자를 함유한 콜로이드용액의 중공사막에 의한 한외여과 투과유속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중공사막의 시간변화에 따른 투과유속 감소현상은 막표면에 형성된 케익층의 증가 및 세공막힘에 기인하였다. 흐름형태를 달리했을 경우의 준 정상상태에서 dead-end flow의 투과유속은 cross flow의 약 60 % 이었다. Cross flow에서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J/J_w$는 감소하였으며, $0.5kg_f/cm^2$일 때의 64.2 %에서 $2.0kg_f/cm^2$일 때 45.7%로 감소하였다. 공급유량이 3 L/min일 때 초기저항은 세공막힘이 지배적이며, 공급유량이 1 L/min에서 3 L/min로 증가함에 따라 $R_c$는 약 40 % 감소한 $1.79{\times}10^{12}{\sim}2.34{\times}10^{12}m^{-1}$ 이었으나 $R_p$는 크게 변하지 않은 $1.71{\times}10^{12}m^{-1}$이었다.

  • PDF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조영제 부작용 예측 연구 (Contrast Media Side Effects Prediction Stud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 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23-43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정보와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부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조영제 부작용의 정도를 예측하여 이를 완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의 검진을 시행한 CT 검사 58,000건 중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1,235건 중 과거력 조사에서 조영제 부작용이 없었던 606명의 검사자를 대상자로 하였다. 606개 샘플 중 70%는 훈련 셋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30%는 검증을 위한 테스트 셋으로 사용하였다. 나이, BMI(Body Mass Index), GFR(Glomerular Filtration Rate), BUN(Blood Urea Nitrogen), GGT(Gamma Glutamyl Transgerase),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 and ALT(Alanine Amiono Transferase)의 feature를 독립변수로 조영제 중증도를 목표변수로 사용하였다. AdaBoost, Tree, Neural network, SVM, Random foest 알고리즘을 통해 AUC(Area under curve), CA(Classification Accuracy), F1, Precision, Recall을 파악하였다. 분류 예측에 사용된 알고리즘 중 가장 높은 평가지표를 나타내 것은 AdaBoost와 Random Forest이다. 모든 모델의 예측에서 가장 큰 요인은 GFR, BMI, GGT 이였다. 이는 신장 여과 기능, 비만에 따라 주입되는 조영제 양의 차이와 대사증후군의 여부에 따라 조영제 부작용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