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tering technique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34초

상황기반과 협업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 영화 추천 시스템 (Personaliz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ntext-Aware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 김민정;박두순;홍민;이화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289-296
    • /
    • 2015
  •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사용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얻는 것이 힘들어졌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새로운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개인에게 맞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추천 시스템 중 협업 필터링은 추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개인화 추천 시스템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방법이다. 협업 필터링 방법은 고객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을 하므로 희박성 문제와 cold-start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에게 더 정확하게 추천하기 위해 협업 필터링 기법과 상황기반 기법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황기반 기법은 사용자를 둘러싼 시간, 감정, 장소 등과 같은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으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기반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상황정보로 감정을 이용하며 이를 위해 개인의 주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영화 리뷰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협업 필터링 방법보다 성능평가 결과,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The Ecology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and Information Retrieval (I)

  • Jeong, Jun-Min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37
    • /
    • 1985
  • 본 논문은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보 시스팀을 개발하고자 다음 두가지 가설을 제시하였다. 1) 인용 문헌 분석을 통하여 인용빈도가 높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용율이 증가하는 문헌은 그 문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다(Quality Filtering). 2) 정보 검색에 있어서 확률이론을 통한 문헌간의 상관관계를 규명짓는 클러스터링 기법이 재현율과 정확율을 모두 증가시킬 수 있다(Clustering Technique). 실제로 고프만(Goffman)의 전염성 이론의 미시적 응용(Micro-epidemic process)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의 문헌의 질적 여과(Quality Filtering)를 위한 한 기법으로서 좋은 결과를 얻어냈으며 많은 정보를 이런 식으로 여과시킴으로써 정보 검색 시스팀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었다. 한편, 질적 여과를 거친 소규모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클러스터링 기법에 의한 정보 검색 효율은 수학의 커널 기법(Kernel Technique)의 활용으로 높은 재현율과 정확율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검색의 폭에 있어서도 많은 융통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PDF

The Ecology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and Information Retrieval (II)

  • Jeong, Jun-Min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6
    • /
    • 1986
  • 본 논문은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보 시스팀을 개발하고자 다음 두가지 가설을 제시하였다. 1) 인용 문헌 분석을 통하여 인용빈도가 높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용율이 증가하는 문헌은 그 문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다(Quality Filtering). 2) 정보 검색에 있어서 확률이론을 통한 문헌간의 상관관계를 규명짓는 클러스터링 기법이 재현율과 정확율을 모두 증가시킬 수 있다(Clustering Technique). 실제로 고프만(Goffman)의 전염성 이론의 미시적 웅용(Micro-epidemic process)은 데이타 베이스 내에서의 문헌의 질적 여과(Quality Filtering)을 위한 한 기법으로서 좋은 경과를 얻어냈으며 많은 정보를 이런 식으로 여과시킴으로써 정보 검색 시스팀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었다. 한편, 질적 여과를 거친 소규모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클러스터링 기법에 의한 정보 검색 효율은 수학의 커널 기법(Kernel Technique)의 활용으로 높은 재현율과 정확율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검색의 폭에 있어서도 많은 융통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PDF

적응형 군집화 기반 확장 용이한 협업 필터링 기법 (Scalable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based on Adaptive Clustering)

  • 이오준;홍민성;이원진;이재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73-92
    • /
    • 2014
  • 기존 협업 필터링 기법은 사용자들의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유사 아이템 집합 또는 유사 사용자 집합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해 예측된 사용자의 특정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추천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부족하게 되면, 유사 아이템 사용자 집합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추천 서비스의 신뢰도 또한 따라서 낮아진다. 또한, 서비스의 규모가 커질수록, 유사 아이템, 사용자 집합의 생성에 걸리는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추천서비스의 응답시간 또한 그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적응형 군집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협업 필터링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법은 크게 네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사용자와 아이템의 특성 벡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아이템 각각을 군집화 하여, 기존 협업 필터링 기법에서 유사 아이템, 사용자 집합을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며, 사용자 선호도 정보만을 이용한 부분 집합 생성보다 추천의 신뢰도를 높이고, 초기 평가 문제와 초기 이용자 문제를 일부 해소한다. 둘째, 미리 구성된 사용자와 아이템의 군집을 기반으로 군집간의 선호도를 이용해 추천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속한 군집의 선호도가 높은 순서대로 아이템 군집을 조회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여, 추천 시스템의 부하 대부분을 모델 생성 단계에서 부담하고 실제 수행 시 부하를 최소화한다. 셋째, 누락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사용자와 아이템 군집을 이용하여 예측함으로써 협업 필터링 추천 기법의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박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한다. 넷째, 사용자와 아이템의 특성 벡터를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학습시켜 아이템과 사용자의 정성적 특성 정량화의 어려움을 해결한다. 본 연구의 검증은 기존에 제안되었던 하이브리드 필터링 기법들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평가 방법으로는 평균 절대 오차와 응답 시간을 이용하였다.

방향성 다중 모폴로지컬 필터를 이용한 영상 복원 (Image Restoration Using Directional Multistage Morphological Filter)

  • 배재휘;최진수;심재창;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9호
    • /
    • pp.76-83
    • /
    • 1993
  • A morphological filtering algorithm using directional information is presented. Directional filtering technique is effective in reducing noises and preserving edges. The proposed directional filtering is composed of two stage filtering processe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in the lst stage are performed for the pixels is aligned to the vertical, horizontal, and two diagonal directions, respectively. The opening operation supresses the positive impulse noises, while the closing operation the negative ones. Then, each directional result and their average value are filter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s in the 2nd stage. The averaging operation diminishes the effects of Gaussian noises in the homogeneous regions. Thus, the morphological operation in the 1 st stageremoves the impulse noises and in 2nd stage reduces. Gaussian on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iltering is superior to the existing nonlinear filtering in the aspects of the subjective quality. Also, the morphological filtering method reduces the computational loads.

  • PDF

An Approach to Credibility Enhancement of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through Accommodating User's Rating Behavior

  • Sung, Jang-Hwan;Park, Jong-H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576-58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rengthen trust on the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is quickly becoming a popular technique for recommendation system. This elaborative methodology contributes for reducing information overload and the result becomes index of users' preferenc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in various fields. After it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was developed, many researches are executed to enhance credibility and to apply in various fields. Among these diverse systems,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which us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s most common in many researches. In this paper, we proposed new process diagram of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and new factors which should improve the credibility of system. In addition, the effects and relationships are also tested.

  • PDF

SNS에서 사회연결망 기반 추천과 협업필터링 기반 추천의 비교 (Comparison of Recommend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Collaborative Filtering in Social Network Sites)

  • 박상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84
    • /
    • 2014
  • As social network services has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web-based business, recommendation in social network sites that assist people to choose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is also widely adopted. Collaborative Filtering is one of the most widely adopted recommendation approaches, but recommendation technique that use explicit or implicit social network information from social networks has become proposed in recent research works. In this paper, we reviewed and compared research works about recommend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ollaborative filtering in social network site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the trend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recommendation in SNSs. It is expected that graph-based analysis on the semantic social network and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formances of social filtering and collaborative filtering are required.

퍼지노리를 이용한 Bin-Picking방법 (A Fuzzy Logic Based Bin-Picking Technique)

  • 김태원;서일홍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1권8호
    • /
    • pp.938-946
    • /
    • 1992
  • A novel 2-dimensional matched filter of the parallel-jaw type using fuzzy logic is proposed for bin picking. Specifically, the averaged pixel intensity of the windowed region for the filtering is considered to be fuzzy. Also membership functions for darkness and brightness are designed by employing the intensity histogram of the image. Then a rule is given to know how much a windowed region can be a possible holdsite. Furthermore eight rules are made to determine the part orientation, where Mamdani's reasoning method is applied. The proposed technique shows better performance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atched filtering technique in the following senses` 1) most of holdsites determined by the proposed technique are not concentrated at the locations nearly the end of part and 2) our filter is rather insensitive to noise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o show the validities of our proposed technique,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illustr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by conventional matched filter technique.

  • PDF

Filtering Random Noise from Deterministic Underwater Signals via Application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 Na, Young-Nam;Park, Joung-Soo;Choi, Jae-Young;Kim, Chun-Duc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E호
    • /
    • pp.4-12
    • /
    • 1996
  •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for filtering underwater random noise and for identifying underlying signals taken from noisy environment. The approach is to find a way of compressing the input data and then decompressing it using an ANN as in image compressing process. It is well known that random signal is hard to compress while ordered information is not. The use of a limited number of processing elements(PEs) in the hidden layer of an Ann ensures that some of the noise would be removed 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Two types of the signals, synthesized and measured, are us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NN-based filter. After training process is completed, the ANN successfully extracts the underlying signals form the synthesized or measured noisy signals. In particular, compared with the results form without filtering or moving averaged, the ANN-based filter gives much better spectrograms to identify underlying signals from the measured noisy data. This filtering process is achieved without using and kind of highly accurate signal processing technique. More experimentation needs to be followed to develop the ANN-based filtering technique to the level of complete understanding.

  • PDF

고속 RFID 필터링 엔진의 설계와 캐쉬 기반 성능 향상 (Design of a High-Speed RFID Filtering Engine and Cache Based Improvement)

  • 박현성;김종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A호
    • /
    • pp.517-525
    • /
    • 2006
  • 본 논문은 다수의 RFID 태그가 사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고속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필터링 엔진을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고속 라우터나 방화벽에 적용되었던 고속 패킷 필터링 기법이 RFID 데이터 필터링과 매우 유사함을 보이고 그 중 대표적인 기법인 Bit Parallelism 기반의 Aggregated Bit Vector(ABV)를 고속 RFID 필터링 엔진에 적용한다. 또한, RFID 데이터 필터링의 성향을 관찰한 결과 태그 인식 및 필터 부합의 시간적 중복성을 발견하고 두 가지 캐쉬(태그 캐쉬, 필터 캐쉬)를 적용하여 추가적인 필터링 성능 향상을 꾀하였다. 설계한 RFID 고속 필터링 엔진의 성능 평가를 위해 프로토타입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과로써 기존의 순차적인 RFID 데이터 필터링에 비해 고속의 필터링 성능을 보이며 특히 필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필터링의 효율이 높아짐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