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led sealan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42초

기계적 삭제방법을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 (THE FISSURE PENETRATION AND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WITH MECHANICAL PREPARATION)

  • 김지연;이제호;박기태;김성오;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4-173
    • /
    • 2005
  • 교합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치면열구전색제 도포시 열구내 유기물, 치태, 법랑질 잔사 등을 제거하여 전색제의 유지율을 증가시키고자 기계적 삭제 방법이 소개되었다. 기계적 삭제방법을 사용할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정도의 차이는 임상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계적 삭제방법(소와열구 삭제 후 산부식)과 산부식 방법을 시행한 후, 각각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를 처치하고 이들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와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60개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그중 30개는 산부식 처리하고 나머지 30개는 소와열구의 기계적 삭제와 산부식 처리를 시행한 후 각각의 방법에서 15개는 unfilled sealant로 나머지 15개는 filled sealant로 수복하였다. Thermocycling($5^{\circ}C$$55^{\circ}C$ 1200회)을 시행하고 5%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보관하였다가 각각의 치아를 근심소와와 원심소와에서 협설 방향으로 절단하여 120개의 절단면을 얻었다. 각 절단면을 Measurescope으로 관찰한 결과, 기계적 삭제 방법은 산부식만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 모두 열구 침투도를 증가시켰다(P < 0.05).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un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에 비하여 미세누출이 적었고(P < 0.05),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와는 미세누출에 차이가 없었다.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는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한 경우 모두 열구 침투도나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시 열구 침투도가 우수하고 미세누출이 적은 기계적 삭제 방법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filled sealan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미세누출에 있어 교합력을 고려한 실험이나 장기간의 임상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후 광중합 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전색제 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ME ELAPSED FROM APPLICATION TO CURING ON THE PENETRATION OF SEALANT)

  • 최선아;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8
    • /
    • 2005
  •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후 시간에 따른 열구 내 침투율을 알아보고자 발치된 소구치 192개를 이용하여 전색제 도포 후 광중합 할 때까지 경과시간 3초, 5초, 10초, 20초별로 침투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상악과 하악, filled sealant와 unfilled sealant군으로 나누어 시간대별로 침투율에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할수록, filled sealant군보다 unfilled sealant군에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전색제의 침투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임상에서 치면열구전색을 시행할 때 이 결과를 임상적 지침으로 적용하면 유용하리라고 여겨진다.

  • PDF

접착제 미 사용시 치면열구전색제로서의 유동성 복합레진 평가 (EVALUATION OF THREE FLOWABLE COMPOSITES AS PIT AND FISSURE SEALANTS WITHOUT USING BONDING AGENTS)

  • 권호범;김명진;신철환;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4-2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복합레진을 치면열구전색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Filtek Flow, Tetric Flow, Charmfil Flow)과 한 종류의 filled sealant(Ultraseal XT plus)가 사용되었다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및 filled sealant의 resin tag형성 양상을 비교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54개를 각각 18개씩 무작위로 세 군으로 배분하였다. 각 군마다 통상의 filled sealant와 한 가지씩의 유동성 복합레진을 교합면 열구에 도포하였다. 치아들을 thermocycling($5^{\circ}{\pm}2^{\circ}C$$55^{\circ}{\pm}2^{\circ}C$ 사이에서 30초씩 1200회 시행) 후 48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용액에 보관하였다. 각각의 치아를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및 filled sealant는 유사한 resin tag 형성양상을 보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은 각각 filled sealant보다 현저히 더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간의 미세누출 정도는 유사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은 통상의 filled sealant와 비교해볼 때 보다 많은 미세누출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치면열구전색제로 적절하지 않다.

  • PDF

치면건조제와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재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RYING AGENTS AND BONDING AGENTS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SEALANTS TO ENAMEL)

  • 임현화;장기택;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6-203
    • /
    • 2003
  • 전색재의 적용은 기술에 매우 민감한 술식으로써 도포 전에 치면의 완전한 건조를 요구한다. 전색재 실패의 여러 요인 중 가장 주된 원인으로는 산부식 후 전색재 도포 전의 수분 또는 타액에 의한 오염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부식만을 해오던 술식과 수분오염의 극복을 위해 변형된 술식이 전색재의 유지력에 미치는 효과를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1, 2, 3, 4군은 unfilled sealant인 Teethmate-F를, 5, 6, 7, 8군은 filled sealant인 Ultraseal XT plus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1군과 5군은 35% 인산으로 15초간 산부식과 세척 후 건조시켰다. 2군과 6군은 여기에 치면건조제를 도포하였고, 3군과 7군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광중합하였다. 4군과 8군은 치면건조제와 접착제를 둘 다 도포하였다. 이후 직경 3mm, 높이 2mm의 몰드를 이용하여 전색재를 접착시키고 열순환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filled sealant(5, 6, 7, 8군)에서 전단결합강도는 unfilled sealant(1, 2, 3, 4군)에 비해 각각 유의성 있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2. unfilled sealant에서는 산부식 처리만 한 1군에 비해 2, 3, 4군은 유의성 있게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p<0.05), 2, 3, 4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filled sealant에서는 산부식 처리만 한 5군에 비해 6, 7, 8군의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6, 7, 8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파절면 검사결과 ailed sealant 군에서는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unfilled sealant 군에서는 2, 3, 4군에서 응집성 파절이 나타났다.를 보였으며 복합 레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 PDF

불소 전처리가 법랑질과 치면열구전색재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UORIDE PRETREATMENT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ENAMEL AND FISSURE SEALANT)

  • 유필준;장기택;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2-529
    • /
    • 2001
  • 본 실험은 소아치과에서 널리 이용하고 있는 우식예방법인 불소도포가 치면열구전색재와 법랑질과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1, 2, 3, 4군은 unfilled sealant인 Teethmate A(Kuraray, Japan)를, 5, 6, 7, 8군은 filled sealant인 Ultraseal XT(Ultradent, U.S.A.)를 이용하였고 1군과 5군은 불소로 전처리를 하지 않았으며 2군과 6군은 1.23% APF인 60 second taste(Pascal Company, U.S.A.)로 전처리하고 3군과 7군은 2.0% NaF인 Swirl(Biomedica Concepts, U.S.A.)로 전처리하였으며 4군과 8군은 불소를 함유한 세마재인 Nupro(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 Inc., U.S.A.)로 치면세마를 시행하였다. 준비된 시편은 산부식한 후 직경 3mm, 높이 2mm의 몰드를 이용하여 30초간 전색재의 중합을 시행하였고 열순환 후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unfilled sealant의 경우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filled sealant의 경우 5군과 8군에 비해 6군과 7군은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 PDF

치면열구전색술 - Advanced technique (Pit and fissure sealing - Advanced technique)

  • 이상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1호
    • /
    • pp.22-32
    • /
    • 2011
  • This paper reviewed the following subheadings and a few selected references in each section were discussed: ${\cdot}$ Sealant placed over caries; is it possible? Initial caries which is not sticky during proving is possible to be placed with sealants. ${\cdot}$ Prophylaxis of fissure; which method is most effective? Mechanical preparation with fissurotomy or resin polishing bur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lean the pit and fissure. ${\cdot}$ Glassionomer cement as a sealant; GIC, wheather it released fluoride or not, cannot be as cost-effective as resin-based sealants. ${\cdot}$ Sealant products; Color(white vs opaque), fluoride(containing vs not), filler component(filled vs non-filled) do not influenced the quality and retention of sealants. ${\cdot}$ Use of intermediate bonding agent to improve retention; Intermediate bonding may increase the retention rate of sealants ${\cdot}$ Penetration method of sealants; Several methods including waiting before light curing are recommended.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치면열구전색제 중합능 평가 (Evaluation of High-power Light Emitting Diode Curing Light on Sealant Polymerization)

  • 박영준;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Xtra Power 및 High Power mode의 짧은 중합시간이 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에 충분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금속 주형을 이용해 시편을 제작하여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로 중합한 시편의 미세경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High Power mode로 8초, Xtra Power mode로 3초 중합한 filled sealant와 High Power mode로 8초, 12초, Xtra Power mode로 6초 중합한 unfilled sealant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나타냈다(p = 0.000). 이 연구를 통하여 중합 시간과 전색제의 종류를 고려한 특정 조건에서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Xtra Power 및 High Power mode의 짧은 중합시간이 치면열구전색제를 적절히 중합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치아홈메우기의 건강보험 급여화와 치과위생사 시술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태도 (Parent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ealant by dental hygienist)

  • 김윤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99-1105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ealant by the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329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ents in G metropolitan city and N city from July 11 to 27,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ealant and sealant by the dental hygienist, and recognition toward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a descriptive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program. Results: Recogni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was 2.52 times higher in high school and 4.97 times higher in recognition toward purpose of sealant. Factor affecting recogni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was subscription of private health insurance, recognition of sealant treatment by dental hygienist (DH) and recogni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ealant. Attitude toward sealant treatment by DH was positive in experience of sealant, recognition of sealant treatment by DH and experience of sealant treatment by DH. Factor affecting satisfaction on the sealant by DH was recognition of sealant treatment by DH and recognition of purpose of sealant. Conclusions: To increas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ealant, it is necessary to expand positive public relations of sealant by the dental hygienist.

변연누출방지(邊緣漏出防止)를 위한 전색재(塡塞材)[NUVA-SEAL]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고찰(考察) (AN IN VITRO STUDY ON MARGINAL LEAKAGE PREVENTION WITH AN ADHESIVE SEALANT (NUVA-SEAL))

  • 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39
    • /
    • 1976
  • The present in vitro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nitial marginal sealing ability of the sealant known as Nuva-Seal to seal cavity margins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daptic and Nuva-Fil restorative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re each Adaptic and Nuva-Fil restorative material was filled, showed the greatest degree of marginal leakage. 2. Where Adaptic and Nuva-Fil restorative materials were filled after acid etched surrrounding enamel surface adjoining the cavity margins, showed some degree of marginal leakage. 3. Where the Nuva-Seal was applied after acid etching a) to the cavity walls and the peripheral enamel surface adjoining the cavity margins, b) only to the surrounding enamel surface adjoining the cavity margins, and c) over the restorations and the peripheral enamel surface, showed complete absence of marginal leakage of Adaptic and Nuva-Fil restorative materials. 4. Where the Nuva-Seal was applied with the same methods as above, and restorations were placed on thermal stress also showed complete absence of marginal leakage of Adaptic and Nuva-Fil restorative materials.

  • PDF

공항용 조인트 충진재의 성능 및 내유저항특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Performance & Jet Fuel Oil Resistance of Joint Sealant Materials for Airside)

  • 박태순;이근식;이수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587-592
    • /
    • 2006
  • Airside 지역 콘크리트 포장의 조인트에 사용되는 충진재는 항공기 이 착륙시 엔진에서 뿜어져 나오는 고열의 후폭풍과 계류장에서 항공기의 정비 및 주유시 항공유 유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항용 조인트 충진재는 도로포장용과는 다른 충진재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3 종류의 충진재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 시험과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폴리썰파이드, 폴리우레탄, 실리콘을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폴리썰파이드 충진재는 내열성과 내유성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폴리우레탄, 실리콘 충진재의 순으로 시험결과가 나타났다. Airside 지역별 특성을 고려했을 때, 폴리썰파이트 충진재는 활주로와 계류장에, 폴리우레탄 충진재는 유도로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실리콘 충진재는 Airside 지역 충진재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