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l slop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석회석광산의 식생녹화방법에 관한 고찰 -일본 이부키광산과 부코우광산의 사례연구-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for the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Disturbed Slopes in Limestone Mines -Case study of Ibuki mine and Bukou mine in Japan-)

  • 이준우;김남춘;남상준;박종민;차두송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72-8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ecological restoration on the limestone mines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of the revegetation measures of the disturbed slopes in Japanese limestone mines and the analysis of the case of Ibuki and Bukou limestone mines to realize the restoration works successfu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nes to carry out the revegetation works increase every year, the revegetation area and amount of planting also go on increasing in Japan. In the small mines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not recognized seriously, but some mines have muchly invested in the revegetation of the damaged land by mines. Ibuki mine in Shiga-gen is practicing the four principles for the restoring of the revegetation in the disturbed slopes by mines. Firstly, the mean slope preserves $37^{\circ}$ in the last rock cut slopes. Secondly, the last rock cut slopes to rehabilitate are covered with the soil dressing 30cm high. Thirdly, the grasses in the mining area are digged up beforehand, and then they are reused to the revegetation works of rock cut slopes. Lastly, from the upper rock cut slopes the revegetation works begin, the process of the above are repeated, as the result, the restoring works will be completed. Upon the ground of these principles, the complex of the original vegetation and the native species seeding, that is, the revegetation technique of Ibuki have established. In the difficult area to revegetate, sodding works, heaping up vegetation-sack, seed-spraying, heaping up soil-sacks and planting works are adapted variously. Bukou mine in Saitama-gen try to maintain the revegetation, the screening and the stability of the enormous mining rock cut slope, and for these works, the activity of 'Chichibu Working Group of Rock Wall for Limestone Mines' contributes largely. The chief technique of the revegetation in Bukou mine is following; after the making the berm on the rock cut slopes, the soil dressing is filled in it, and the trees is planted for the screening of the rock cut slopes. They devide the rock cut slopes into four typical types, and choose the different ways to make the berm and fill the soil dressing in characteristic. Most of the planting trees are consist ofthe native species of Mt. Bukou through the stages of the nursery and transplantation. Not only the revegetation of the demaged land but also the breeding of the conservational plants also are their important business.

고속도로 건설현장의 산성배수 발생개연성평가 및 피해저감대책: ○○고속도로건설현장 (Assessment and Damage Reduction Strategy of Acid Rock Drainage in Highway Construction Site: ○○ Highway Construction Site)

  • 이진수;김재곤;박정식;전철민;남인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5호
    • /
    • pp.411-424
    • /
    • 2013
  • ${\bigcirc}{\bigcirc}$고속도로 건설현장 ${\bigcirc}$공구에 분포하는 암석에 대하여 산성배수 발생개연성을 평가하고 피해 저감대책을 검토하였다. 고속도로건설구간의 지반은 이천리층에 해당하는 사암과 중성내지 산성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변의 화강암관입에 수반된 열수 용액에 의해 황화광물을 산점상으로 함유하고 있다. 황화광물의 함량이 높은 화산암과 사암은 산성배수 발생개연성이 높고 중금속(Zn, Pb, As)을 많이 함유한 산성배수가 주변지역으로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공사과정중 산성배수가 발생될 개연성이 높은 구역에서 배출되는 배수는 중화 및 중금속 제거처리 후 배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절취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산성배수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코팅처리기술을 적용한 후 숏크리트, 앵커 등 사면보강공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산암과 사암은 골재로서 활용이 어려우며 지반성토재로 사용할 경우 지하수와 우수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성토층의 구조를 갖춘 후 활용하여야 한다.

암석의 산성배수 발생개연성 평가 및 피해저감대책: 터널건설예정구간 사례 (Assessment of Acid Rock Drainage Production Potential and Damage Reduction Strategy: A Case Study of Tunnel Construction Area)

  • 김재곤;이진수;김통권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3호
    • /
    • pp.335-344
    • /
    • 2008
  • 경상남도 김해시 국가지원 지방도60호선 터널건설예정구간의 암석에 대하여 산성배수 발생개연성을 평가하고 피해 저감대책을 검토하였다. 건설예정구간의 지반은 석영반암, 사암, 응회암,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황화광물은 석영반암과 화강암에 산점상으로 사암에 맥상으로 산출되었다. 황화광물의 함량이 높은 석영반암과 사암은 산성배수 발생개연성이 높고 중금속(Zn, Pb, As)를 많이 함유한 산성배수가 주변지역으로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공사과정에서 산성배수가 발생될 개연성이 높은 구역에서 배출되는 배수는 중화 및 중금속 제거처리 후 배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절취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산성배수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코팅처리기술을 적용한 후 숏크리트, 앵커 등 사면보강공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석영반암과 사암은 골재로서 활용이 어려우며 지반성토재로 사용할 경우 지하수와 우수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성토층의 구조를 갖춘 후 활용하여야 한다.

침투해석시 토층심도 및 불투수층 유무에 따른 지반의 포화특성 분석 (Analysis of Soil Satu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il Layer Depth and Impervious)

  • 이승우;장범수;김용수;이종건;이주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1-26
    • /
    • 2013
  •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비탈면의 우기시 안정성 검토 방법이 기존의 해석 방법에 비해 강우를 고려한 침투해석이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개정된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에서도 보다 현실적인 안정성 검토를 위해우기 시 강우를 고려하여 침투해석을 실시할 수도 있게 개정되었다. 그러나 침투해석 과정에는 지반의 불투수특성과 강우강도등 고려되는 인자들로 인해 그 과정이 복잡하다는 애로사항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해석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안정성 검토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흙의 종류와 지속강우 특성에 따른 침투 조건을 변화시켜 일반적인 침투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이용하여 지표면까지 포화된다는 가정하에 해석을 실시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다.

수치지형모형을 이용한 효율적인 노선결정 (Effective Decision of the Route Alignment with Digital Terrain)

  • 강준묵;윤희천;이형석;이성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5-203
    • /
    • 1996
  • 노선계획 및 선정시 지형의 입체적 분석은 정책입안의 효율적인 판단을 내리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지형을 모형화, 분석 및 재현함으로써 대상지역내의 진입노선 및 설계교량에 대한 선형을 효율적으로 결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등고선도, 불규칙삼각망도, 격자망도와 같은 수치지형모형을 바탕으로 사면경사도, 경사방향도, 음영기복도, 시정선도 및 유하선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절. 성토량을 산정하고 유토목선을 도시함으로써 도로공사를 위한 토공량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도로와 지형의 모의관측으로 시공후의 경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입체적 지형자료의 시각적 효과는 계획가와 의사결정자가 대상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안노선을 선정 및 검토하는데 효과적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서울시 쓰레기 소각장 입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ste Incinerator Location Problem in Seoul)

  • 이금숙;이희연
    • 지역연구
    • /
    • 제14권1호
    • /
    • pp.91-107
    • /
    • 1998
  • Waste disposal probl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welfare indicators in urban area, because the volume of waste generated from urban area is remarkable. So far most waste of Seoul has been disposed at landfills. However, this landifill disposal method is confronted with several difficulties in recent. As public concern on environmental problem increases and autonomy system is settled down, local community people of the landfills refuse to receive the waste produced other places any more. It brought reginal confliction problem between waste sending and receiving by refusing to accept waste from certain region.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find another place to fill up the waste, while the existing landfiis is reached at the limit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aspects landfill method is not the best way to dispose waste. It contaminates the soil and ground/underground water by leaking water containing many serious pollutants as well as offensive oder. In terms of equity, this waste disposal method is not fair.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s damage to residence near to the landfills, while the waste produced other places. In order to satisfy the equity aspect, the waste generated a region should be disposed within the region. Incineration of Waste has been provided as the alternative. Government plans to construct waste incinerator in every anatomy, so the waste produced by local community is disposed within their local autonomous area. However, the location decision is not easy, since waste incinerator is one of the facilities to the community people. We can not apply the existing location models for this problem, because they show strong NIMBY phenomenon for the location. The location of waste incinerator should be determined very carefully with consideration of various location factors and criteria.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waste incinerators by utilizing GIS, which is a power research tool for location decision where various geographical factors related. We drive the location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termination of waste incinerators. They involve environmental, socio-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first, we eliminate the area which is located within the environmental location criteria such as slope, fault line, distance to river, and then eliminate ares which is conflict with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criteria.

  • PDF

압력식 쏘일네일링의 인발저항력 증가: 이론적 검증 (Pullout Resistance Increase in Soil-Nailing with Pressurized Grouting: Verification of Theoretical Solution)

  • 서형준;박성원;정경한;최항석;이인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419-433
    • /
    • 2009
  • Pressure grouting is a common technique in geotechnical engineering to increase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ground mass and to fill boreholes or void space in a tunnel lining and so on. Recently, the pressure grouting has been applied to a soil-nailing system which is widely used to improve slope stability. The soil-nailing design has been empirically performed in most geotechnical applications because the interaction between pressurized grouting paste and the adjacent ground mass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analyz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crease of pullout resistance induced by pressurized grouting with the aid of performing laboratory model tests and field tests. In this paper, two main causes of pullout resistance increases induced by pressurized grouting were verified: the increase of residual stress; and the increase of coefficient of pullout friction. From the laboratory tests, it was found that residual stress in borehole increases by pressurized grouting and dilatancy angle could be estimated by cavity expansion theory using the measured wall displacements. From the field test results, the pullout resistance of soil-nailing with pressurized grouting was found to be 10% larger than that of soil-nailing with gravitational grouting, mainly caused by mean normal stress increase and dilatancy effect. So, the pullout resistance could b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se two effects. The radial displacement increases with dilatancy angle increase and the dilatancy angle decreases with injection pressure increase. The measured pullout resistance obtained from field tests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stimated one from the cavity expansion theory.

  • PDF

광주읍성 축성암석의 재질분석과 산지해석 (Material Analysi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Gwangjueupseong (Gwangju Town Wall), Korea)

  • 이명성;전유근;서정석;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76
    • /
    • 2009
  • 광주읍성은 구 전남도청이 위치한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건립부지 내에서 지표조사 결과 확인된 유적이다. 성벽의 길이는 일부 유실구간을 제외하고 총 85.1m이며, 석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총 10종의 암석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석영안산암이 41.1%, 안산암이 35.7%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석영안산암은 성벽을 축성하는 주석재로 사용되었으며, 안산암은 주로 큰 부재 사이를 채우기 위한 사잇돌로 사용되었다.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으로 볼 때 축성암석의 산지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무등산 일대에 분포하는 암석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성인적 동질성을 검토한 결과, 산출상태, 전암대자율, 구성광물의 종류, 상대적 함량 및 조직, 지구화학적 특징이 서로 아주 유사하였다. 또한 무등산 남서쪽 사면의 증심사 계곡을 따라 석영안산암의 노두에서는 암석의 채석 흔적이 산재한다. 따라서 광주읍성의 축성에 사용된 대량의 석재는 무등산 남서 사면에서 조달하였으며, 석재의 이동은 광주천을 이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절대코일 와전류 신호의 임피던스 평면도 작성 (Drawing of Impedance Plane Diagrams of Absolute Coil ECT Signals by finite Element Analysis)

  • 신영길;이윤태;이정호;송명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5-324
    • /
    • 2004
  • 와전류 탐상에서 차동형 탐촉자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줄일 수 있어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차동신호는 인접한 두 코일의 임피던스 차이를 신호로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예측이나 해석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절대코일에 의한 신호는 상대적으로 형태가 단순하므로 신호예측이나 해석이 더 수월하다. 따라서 서로의 장, 단점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하면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코넬 평판과 튜브에서 절대코일 신호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리프트 오프, 충전율, 전도도, 탐상 주파수, 피검사체의 두께, 내, 외부 결함 등이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임피던스 평면도로 작성하고, 신호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절대신호에 대한 많은 실용적인 지식을 축적할 수 있었고, 절대신호와 차동신호 특성의 유사성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결함깊이와 주파수 변화에 따른 신호의 기울기를 대응곡선 그래프로 자성할 수 있었다.

임도설계용(林道設計用) 토량환산표(土量換算表)의 제작(製作) (Construction of Exchange Table of Earth Quantity for Forest Road Plan)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348-356
    • /
    • 1987
  • 산악지(山岳地) 임도설계(林道設計)의 시간(時間)과 인력(人力)을 절약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토량(土量)을 간편하게 산출(産出)하는 방법(方法)을 강구하였다. 이 방법(方法)을 적용하는 이론적(理論的) 배경(背景)으로 0선측량법(線測量法)의 도입(導入)과 2/3 절토노폭개념(切土路幅槪念) 및 절토량(切土量) = 성토량(盛土量) 개념도입(槪念導入)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와같은 원리(原理)들을 산악지림도시공(山岳地林道施工)에 적용한다는 전제하에 삼각함수법을 적용하여 토량환산표(土量換算表)를 표(表) 3과 4와 같이 제작하였다. 표(表) 3은 노폭(路幅)을 0.5m 괄약으로 구분(區分)하여 시공지 경사도별로 절토량(切土量)을 추정(推定)한 것이고, 표(表) 4는 현지(現地)에서 절토폭(切土幅)을 측정하여 절토량(切土量)을 산출(算出)하는데 적용하는 환산계수표(換算係數表)이다. 동표(同表) 등을 적용하면 토량계산(土量計算)을 위한 현지측량(現地測量)과 내업시간(內業時間)은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