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ament Winding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1초

KSR-III 복합재 가압탱크의 설계 및 제작

  • 공철원;윤종훈;장영순;이영무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2호
    • /
    • pp.124-13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KSR-III 복합재 가압탱크“에 대한 구조 설계/제작 과정을 기술하였다. 복합재 가압탱크는 라이너 위에 복합재가 덮어 씌워진 형태이다.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라이너는 AI 6061-0로 만들어 졌으며, 라이너는 헬륨가스 기밀만을 담당하였다. 복합재 탱크는 라이너 위에 T700/Epoxy로 와인딩 하였다. 알루미늄 라이너가 얇았기 때문에 다단계 경화 공정이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에 적용되었다. 다단계 경화 공정은 라이너의 실린더가 원형 형상을 잃지 않게 하였다. 보스부의 체결력은 보스링에 의하여 카본섬유로 분산되었다. 또한 보스링은 보스부의 국부적 변형을 막았다.

  • PDF

금속라이너를 가진 후프 와인딩 복합재 연소관의 파열예측 (Burst Prediction of Hoop Winding Composite Case with Metal Liner)

  • 한혁섭;김형근;이영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8-83
    • /
    • 2015
  • 복합재 연소관은 적층구조이므로 한 층이 손상되면 손상이 진전되어 전체 연소관의 파손이 발생한다. 금속재 라이너 위에 복합재를 와인딩하면 한 층이 손상되어도 전체 연소관의 파손이 발생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재 연소관에 후프 와인딩한 하이브리드 연소관의 파열압력을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과 연소관의 파열시험을 통하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하이브리드 연소관의 파열압력 예측을 통하여 알루미늄 라이너의 두께를 결정하고 복합재료의 적층두께를 결정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연소관 설계에 사용할 수 있다.

복합재료를 이용한 Off/On Shore에서의 복합하중을 받는 Tower에 대한 최적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Complex Loaded Tower Using Composite Materials in Off and On Shore)

  • 손충렬;변효인;김성준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4
    • /
    • 2002
  • Unlike Tubular Steel Tower, This Composite Material Tower is a low-technology Component, whose design is easy to optimize, and which therefore during the design process-lends itself easily as an object for possible cost reduction at very little effort. This may come in useful as the cost of a tower usually significant part of the total cost of a structure. This paper is written by the Composite Materials Tower which loaded Complex loading in Off and On shore. This Composite Material Tower is made by the Method of Filament Winding, and the Component of Composite Material is used by the Roving RS220PE-535. When it loaded Complex trading, there is a results which is bigger than steel tower deflection. We controlled this 1a18e deflection by stiffeners which has thickness 20mm. At last, Off and On Shore Tower which used Composite Materials is compared with Off and On Shore Tower which used Steel.

  • PDF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을 적용한 타입 IV 수소 압력용기 설계 연구 (A Study on Design of Type IV Hydrogen Pressure Vessels with Filament Winding Method)

  • 안성진;박현범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27-13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을 적용한 Type 4 압력용기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수소저장용 탱크의 설계인 점을 고려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는 고분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적용하였고 복합재 구조는 카본/에폭시를 Hoop 방향과 Helical 방향으로 적층하여 설계하였다. 이론적 접근으로 Helical 섬유의 각도와 Hoop, Helical 각각의 섬유 두께를 결정하여 설계하였다. 설계에 대한 안전성은 상용소프트웨어인 ANSYS를 활용하여 유한요소 해석으로 검증하였다.

수적층 및 필라멘트 와인딩을 이용한 GFRP튜브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압축 거동 (Stress-strain Relations of Concrete Confined with Tubes Having Varying GFRP Layers)

  • 이성우;최석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A호
    • /
    • pp.861-872
    • /
    • 2008
  • 콘크리트충전 유리섬유 복합소재 튜브는 좋은 내구성과 심한 부식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높은 화학적인 저항성으로 인해서 해양구조물에서 종종 사용된다. 이 연구는 원형 콘크리트충전 유리섬유 복합소재 튜브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유리섬유 직포 수적층, 필라멘트 와인딩 적층을 압축을 받는 관의 바깥 튜브로 사용하는 경우에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측면을 실험 분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유리섬유 층의 필라멘트 와인딩 각도의 효율성 검증 (2) GFRP 적층수가 강도 및 최고 변형률에 미치는 영향 평가 (3) 단부 재하조건이 구속효과 및 파괴양상에 미치는 영향 파악, 그리고 (4) 구속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모사하는 해석적인 모델 제시이다. 세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섬유 구성이 사용되었다: 직포층, ${\pm}45^{\circ}$ 필라멘트 와인딩 층, 그리고 ${\pm}85^{\circ}$ 필라멘트 와인딩 층. 각 층은 독립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함께 사용되었다. 시편의 비 및 지름이 서로 다른 경우도 실험하였다. 총 27개의 GFRP 튜브 시편을 이용해서 인장 실험을 수행하였고, 66개의 콘크리트충전 GFRP튜브 시편을 이용해서 압축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속상태의 콘크리트 응력-변형률 거동을 모사하는 해석적인 모델 및 영향계수를 제시하였다.

아로마틱 고분자를 적용한 기능성 PET 가공사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Functional PET Textured Yarn Coated with Aromatic Polymer)

  • 안다정;최철훈;이재웅;이상오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8-154
    • /
    • 2017
  •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hich is widely used for clothing and non-clothing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coated PET filaments with m-aramid resin to improve heat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In order to enhance adhesion between PET and m-aramid polymer, the adhesive polymer was coated on the PET filaments using a winding speed of 100m/min and then treated with m-arami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s used to analyze the surface of the adhesive polymer and m-aramid treated PET filament. The change of initial degradation temperature according to treatment was confirm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timicrobial activity analysis using bacterial reduction method showed that PET filament treated with adhesive polymer and m-aramid had an increased antibacterial effect compared to untreated PET filament.

스패어 타이어 웰 부에 설치되는 Type 4 복합재료 압력용기 설계 및 구조해석 (Design and Structural Analysis of Type 4 Composite Pressure Vessel Fitted in Spare Tire Well)

  • 임태훈;변종익;조민식;김한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70-577
    • /
    • 2018
  • Composite pressure vessels made through filament winding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Numerous studies regarding composite pressure vessel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utomotive industry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of trunks as well as the fuel efficiency. Compared with steel liquefied petroleum gas (LPG) vessels used in the conventional LPG vehicles, the use of type 4 composite pressure vessels has advantages in terms of reduction of the weight of vehicles.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ment of type 4 composite pressure vessels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spare tire well. Those type 4 composite pressure vessels are designed with torispherical dome shapes instead of geodecis dome shapes because of the space limitation. To reduce deformation due to the stress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vessels,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container, the reinforcing bar concept was applied. A structural analysis software, ABAQU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reinforcing bar on the axial deformation through the type 4 composite pressure vessel. As a result, the final winding angle of the composite layer was analyzed by applying $26^{\circ}/28^{\circ}/26^{\circ}/28^{\circ}/26^{\circ}/88^{\circ}$ The tensile stress was 939.2 MPa and the compressive stress was 249.3 MPa.

CFRP 파이프의 와인딩 적층 패턴 설계 및 HNT 나노입자 보강에 따른 수 환경에서의 기계적 물성 평가 (Comparison of Mechanical Properties on Helical/Hoop Hybrid Wound HNT Reinforced CFRP Pipe with Water Absorption Behavior)

  • 최지수;박수정;김윤해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74-179
    • /
    • 2021
  • 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강재 파이프는 신설과 도장, 또는 부식과 노후화로 인한 제반 시설 보수에 거대한 규모의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재 파이프의 대체재로, 내부식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한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파이프 구조의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다. 헬리컬 패턴 표면에 후프 패턴을 혼합적층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수분 환경에서의 에폭시 흡습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할로이사이트 나노튜브(Halloysite Nanotube, HNT)를 첨가하였다. HNT/CFRP 파이프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으로 제작하였으며, 기계적 물성 시험과 70℃ 고온 증류수 환경하에서 흡습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파이프 두께의 0.6%에 해당하는 후프 패턴의 적층 시,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냈다. 또한 0.5 wt.% HNT 첨가 시 상대적으로 높은 내흡습성을 가졌으며, 층간 계면에서의 박리 현상이 지연되어 가장 낮은 강도 저하율을 보였다.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재의 환경노화에 따른 기계적물성 평가 (Behavior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Filament-Winding-Laminated Composites due to Environmental Aging)

  • 최낙삼;윤영주;이상우;김덕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1-35
    • /
    • 2006
  •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filament-winded composites due to accelerated environmental aging have been evaluated under high temperature, water immersion and thermal impact conditions. Two kinds of laminated composites coated by an urethane resin have been used: carbon-fiber reinforced epoxy(T700/Epon-826, CFRP) and glass-fiber reinforced phenolic (E-glass/phenolic, GFRP). For tensile strength of $0^{\circ}$ composites, CFRP did high reduction by 25% under the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 and water while CFRP showed little degradation. However for water-immersed $90^{\circ}$ composites both CFRP and GFRP showed high reduction in tensile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modulus of $90^{\circ}$ composites were largely reduced in water-immersion as well as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Urethane coating on the composite surface improved the bending properties by 20%, however hardly showed such improvement for water-immersed $90^{\circ}$ composites.

  • PDF

소형 복합재료 고압력 용기에 대한 비선형적 구조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linear Structural Behavior of a High-Pressure Filament Wound Composite Vessel)

  • 황경정;박지상;정재한;김태욱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14
    • /
    • 2002
  • Structural behavior of high-pressure composite vessels of TYPE 3 (full-wrapped over a seamless aluminum liner) was studi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based on 3D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 Under high-pressure loading, a TYPE 3 composite vessel shows material nonlinearity due to elastic-plastic deformation of aluminum liner, and mismatch of deformation at the junction of cylinder and dome causes geometrical nonlinearity. Finite element modeling and analysis technique considering this nonlinearity was presented, and a pressure vessel of 6.8L of internal volume was analyzed. Design specification to satisfy requirements was determined based on analysis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