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g fruit extrac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난지과실을 이용한 식초제조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Fruits)

  • 김동한;이정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8-75
    • /
    • 2000
  •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vinegar fermentation using fig, pear and persimmon were determined. Alcohol contents in the fermentatio broth of crushed fruits of fig, pear and persimmon were 7.5%, 5.1% and 6.8%, respectively. Alcohol contents increased up to 14.3~15.1% by adding 24% of sugar to the fruit juices. The total acidity of 7.04%, 3.30% and 3.66% were obtained for fig, pear and persimmon, respectively, through acetic acid fermentation of fruit juices containing 8% ethanol. Acetic acid yield increased by shaking during fermentation for pear and persimmon broth. Acetic acid yield increased 1.80~1.92 times by adding 0.5% of yeast extract to the fermentation broth of pear and persimmon. After fermentation, each fruit vinegar was clarified up to 93.1~97.4 of light transmittance by using 0.6% of kaki shibu for 4 days at 1$0^{\circ}C$. After aging for 60 days at 1$0^{\circ}C$, the acidity of fruit vinegar decreased slightly. Tannin content of persimmon vineger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e other, while light absorbance of pear vinegar was higher than the other vinegars. Acetic acid was identified as the main volatile organic acid in the fruit vinegars, while propionic, isobutyric and isovaleric acids were identified as the minors. The content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pear vinega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persimmon vinegar.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fig vinegar was preferred to the pear vinegar in the aspects of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but the fig vinegar had a strong background taste. Sensory scores of the persimmon vinegar increased significantly by pasteurization, but those of the fig and pear vinegars did not by pasteurization.

  • PDF

오디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능 및 항산화 효과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 이은주;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4-20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식용 가능한 오디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 및 숙취 해소 활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디Fig. 1. Contents of ADH ability of each solvent fraction of mulberry fruit extract. 추출물에 들어있는 총 페놀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오디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 TBARS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통하여 오디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알코올 분해능은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디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은 60% m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EDA)은 오디의 40% ethanol 추출물에서 BHT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났고, SOD 유사 활성은 BHT보다 오디 추출물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오디의 60% ethanol과 40%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98%, 97%로 ascorbic acid와 상응하는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분해능에서는 오디의 60% 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톳(Hizikia fusiformis), 무화과(Ficus carica) 및 배(Pyrus pyrifolia)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생선커틀릿용 튀김옷의 기능성 (Functional Evaluation of Fish Cutlet Batter Made from the Extracts of Hiziki Hizikia fusiformis Fig Fruit Ficus carica and Pear Pyrus pyrifolia)

  • 김민용;김종덕;김보영;신영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21-730
    • /
    • 2017
  •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al mixing ratio of functional materials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batter for fish cutlets. An optimal mixing ratio of the hiziki Hizikia fusiformis, fig fruit Ficus carica L. and pear Pyrus pyrifolia Niitaka extracts (HFP extract) of 3:1:1 was fou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were as follows: total phelonic contents of $1187.29{\pm}41.55mg/L$,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1.50{\pm}2.33%$, ascorbic acid content of $23.68{\pm}0.02g/100g$, ${\beta}-carotene$ content of $51{\pm}3.92{\mu}g/100g$, and sugar content of $12.7{\pm}0.1Brix^{\circ}$. A mixture of the extract, Korean herbal powder, and wheat flour was prepared as the fish cutlet batter. The fish cutlet prepared with the batter had a hardness of $166-202g/cm^2$ and Hunter's color scale values L of $31.14{\pm}2.1$ to $34.62{\pm}1.3$, a of $-4.89{\pm}0.21$ to $-2.26{\pm}0.19$ and b of $-20.65{\pm}2.65$ to $28.93{\pm}3.14$. The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VBN (volatile basic nitrogen) of the fish cutlets were measured to evaluate functionality and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cold storage at $-12^{\circ}C$, $-18^{\circ}C$, and $-24^{\circ}C$.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extracts /Korean herbal powder/ wheat flour was 1:6:3.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 분획의 피부 항염증 활성 연구 (Study on ski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ig (Ficus carica L.) fruit extract fractions)

  • 권희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16-423
    • /
    • 2023
  • 무화과는 잎, 뿌리, 줄기, 라텍스 외에 열매 자체에서도 각각 항산화, 미백, 항염증, 항균 효능이 보고된다. 본 연구팀에서는 천연물 기반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무화과 열매 l atex에 존재하는 ficin 효소의 피부 활성 뿐만 아니라 열매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미백 기능에 대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화장품 원료로 직접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융용매 추출법 개발 수요와 이를 활용한 피부 염증 완화 및 건선 조절기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융용매 추출법을 적용한 무화과 열매 추출 및 분획물들에 피부 염증 조절 및 건선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무화과 열매를 최적의 공융용매 조건으로 추출한 후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한 분획물의 피부염증 조절 기능을 비교하였다. 먼저,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RAW264.7 세포주에서 nitric oxide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RT-PCR을 이용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 조절을 관찰한 결과, 여러 분획물 중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와 같은 비극성 용매에서 TNF-α, IL-1α, IL-1β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이 억제되었다. 뿐만 아니라 HaCaT 각질형성세포 모델에서 TNF-α 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후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비교한 결과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in vitro 인간 건선 세포모델에서 chemokine CC motif ligand 20(CCL20) 발현을 확인한 결과 유의성 있게 mRNA 발현 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공융용매 추출 후 무화과 열매 분획물 중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분획에서 높은 항염증 활성 및 CCL20 케모카인 조절 기능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무화과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과 함께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피부진정 효과가 검증된다면 향후 뛰어난 피부 진정 천연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과실유래 단백질 조효소액과 과육의 근원섬유 분해 효과에 관한 연구 (Proteolytic Effect of Fruit Flesh and Crude Enzyme Extract from Fruits on Myofibrilar Protein)

  • 김미현;노정해;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3-329
    • /
    • 2010
  • 국내산 무화과, 키위, 배, 파인애플은 단백분해효과가 알려져 조리 중에 쓰여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이들 과실로부터 조효소액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 과실을 직접 소고기에 처리하여 연육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실에서 조효소액을 추출한 후 카제인과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분해 능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조효소액을 근원섬유 단백질에 처리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배를 제외하고 조효소액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할수록 myosin heavy chain이 170,000D 이하로 붕괴됨을 볼 수 있었다. 연육작용 측정에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소편화율을 관찰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로서 근원섬유단백질 분해 활성의 순서와 같았다. 소고기에 갈은 과육을 5% 및 10%로 처리하였을 때 침지액의 가용성 질소량을 측정한 결과, 과실 처리구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가용성 질소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을 갈아 소고기에 처리한 후 가열하여 전단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이 연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에 갈은 과실을 넣고 숙성하여 가열한 후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springiness와 gumminess의 경우 파인애플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위도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의 연육효과를 평가한 결과, 5% 첨가시 연도의 경우는 파인애플과 키위가 가장 연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호도의 경우 모든 과실에서 10% 첨가보다 5%가 더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