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fth whee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3초

제 5바퀴속도와 비교한 차량절대속도 추정 알고리즘 (Estimation of the Absolute Vehicle Speed using the Fifth Wheel)

  • 황진권;송철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8-65
    • /
    • 2003
  • Vehicle acceleration data from an accelerometer and wheel speed data from standard, 50-tooth antilock braking system wheel speed sensors are used to estimate the absolute longitudinal speed of a vehicle. We develop the four velocity estimation algorithms. And we compar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Butterworth filtered speed from the fifth wheel and find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absolute longitudinal vehicle speed during a hard braking maneuver lasting three seconds.

Development of A Feed Shaft Driving System Using The Fifth Wheel as a Speed Sensor

  • Kim, J.H.;Kim, K.U.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469-477
    • /
    • 1996
  •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ratio between the ground wheel and fed shaft of planters, a feedback control unit was designed to drive the feed shaft in proportional to the ground speed. The fifth wheel was used as a ground speed sensor for the control unit. Using this control unit a feed shaft driving system was developed and tested both in the laboratory and field to evaluate it performance .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drove the feed shaft in proportional to the ground speed in the normal planting speed range of 0.5 -0.8m/s with an error of less than 5%.

  • PDF

5륜을 이용한 주행 속도 비례형 파종축 구동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Feed Shaft Driving System for Planters Using the Fifth Wheel as a Speed Sensor)

  • 김중현;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399-405
    • /
    • 1996
  •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ratio between the tractor and attached seed planter, a feedback control unit to rotate the feed shaft of the planter in proportional to the ground speed of the tractor was designed. The fifth wheel was used as a ground speed sensor for the unit. Using this control unit a feed shaft driving system was developed and tested to estimate its performance both in laboratory and field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rotates the feed shaft proportionally to the ground speed in the range of the normal planting speed of 0.5-0.8m/s with errors less than 5%.

  • PDF

위상최적설계를 통한 트레일러 제5차륜 연결구조물의 경량화 및 내구성 (New Weight-reduction Design of the Fifth Wheel Coupler with a Trailer by Using Topology Optimization and Durability Tests)

  • 김철;이승윤;이영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37-143
    • /
    • 2016
  • The fifth wheel coupler is a heavy automotive coupling structure which connects a tractor and a trailer used for heavy-duty trucks widely. It is subjected to various loads simultaneously such as rolling, pitching and yawing loads as well as coupling frictional and impact loadings. Most of existing couplers have been overdesigned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ead weight to increase the fuel efficiency. The topology optimization was applied in order to find conceptual layout designs which could show major load paths and ribs locations, and then the size structural optimiz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heights and thicknesses of coupler ribs with the predetermined various loading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lim coupler with a minimum weight and high enough strength and stiffness. As the results of the topology optimum design, an efficient new coupling structure for truck trailers was designed. The weight of the new fifth wheel coupler was reduced by 4.9 %, compared with the existing one, even though all strength requirements were satisfied. The fatigue test of the new coupler was performed with cyclic vertical loads (+78.4 to +235.2 kN) and horizontal loads (-91.2 to +91.2 kN) simultaneously at 1 Hz and the life of 2,000,000 cycles were achieved without failure.

Stability Analysis of the Optimal Semi-Trailer Vehicles

  • Mongkolwongrojn, M.;Campanyim, P.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248-251
    • /
    • 2004
  • Stability of truck and trailer are the most significance in Thai automotive industry. This paper presents the mathematical model of a six-degree-of-freedom semi-trailer vehicle. 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to obtain the optimum design variables of the trailer which are the distance from the fifth wheel to the centroid of the trailer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roid of the trailer to the trailer axel. The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he steady side slip velocity, steady-state yawing velocity and steady-state angle between the tractor and the trailer. From the calculation , the optimum distance from the fifth wheel to the centroid of the trailer and the optimum distance from the centroid of the trailer to the trailer axle are 5.50 and 3.25 meters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the optimal semi-trailer vehicle was also examined in steady state. The steady side slip velocity, yawing velocity and the angle between tractor and trailer are also obtained using linearization technique under unit step disturbance of the tractor front wheel steering angle.

  • PDF

고속절단기의 진동.소음 저감 연구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of High-speed Cutter)

  • 기호철;박주표;차원준;최연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44-949
    • /
    • 2003
  • A High-speed cutter, a kind of electric tool is studied to reduce its vibration and noise. The experimental modal analysis, the operational deflection shapes(ODS) and the time domain analysis(TDA) are used in the SMS software to analyze the vibration signals from an operating high-speed cutters under steady state operating condition. The second mode and fifth m,)do of the base plate coincide with the driving frequencies of the motor, And the vibration of the wheel cover is caused by the gap between the main wheel cover and the sub wheel cover. The structural modification for the base plate was done to reduce the vibration. The effect of modification is verified through the test.

  • PDF

활주 직전과 제동 직전 속도의 상관관계 규명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Pre-Skidding and Pre-Braking Speed)

  • 류태선;전진우;박홍한;이수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1
    • /
    • 2009
  • 이 논문은 타이어-노면간 마찰계수(drag factor)와 노면에 발생된 스키드마크를 통해 제동직전 속도(pre-braking speed) 산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동직전 속도(pre-braking speed)와 활주직전 속도(pre-skidding speed)간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실차 주행 및 제동실험을 통해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두 대의 차량에 fifth wheel(오륜) 장비, 스피드건, vericom 2000 등 다양한 측정장비를 탑재하여 제동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자동차 속도, 제동거리, 활주거리, 감속도 등이 정밀 측정되었다. 실험자료의 분석을 통해 노면 마찰계수값과 활주직전 속도를 산정하고, 이후 활주직전 속도와 제동직전 속도를 비교하여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적으로 산정된 마찰계수값은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0.8보다 높았으며, 제동직전 속도는 활주직전 속도보다 $5{\sim}10km/h$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다양한 차종과 노면조건에 대한 후속실험을 통해 더욱 정교한 한국형 분석모형의 개발과 실무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애인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공공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ccessibility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based on the Disabled User Experience - Focus on the community center -)

  • 정지원;김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36-24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in barrier free laws for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It is mainly focused on accessibility by the disabled people who use an electric motion wheel chair, a wheel chair and crutches as well as a visual impaired person in the public resident centers. For this purpose, four resident centers in Busan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W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the disabled people with various handicaps to access and use facilities in four resident centers, and interviewed them afterwards. We found ou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and figured out the difference between barrier free laws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arrangement of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user's mov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disabled to access the public toilet easily and conveniently. Third, it is essential fo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to b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regulations. Fourth, we need to make better standards that could reflect real experiences of various disabled users. Fifth, we need to keep providing the best follow-up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using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saf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for designers to understand specific user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suggest improvement ideas for bette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보물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의 제작 기법 연구와 보존처리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nservation for Earthenware Horn Cups with a Horse Head Decoration(Treasure))

  • 권오영;함철희;유지아;김한슬;박창열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51-61
    • /
    • 2022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제7호 무덤에서 출토되었다. 뿔을 본떠 흙으로 만든 것으로 액체를 담아 사용된 것으로 생각되며 신라·가야 지역의 무덤에서 여러 형태의 뿔잔이 다수 출토되었다. 뿔잔 2점이 한 쌍으로 출토되었으며 크기는 서로 다르지만 전체적인 형태와 제작 기법은 거의 동일하다. 이번 처리를 마친 유물은 발굴된 두 개의 뿔잔 중에 큰 형태에 해당하며 구연부를 중심으로 말머리장식 쪽으로 균열이 두 군데에 있었으며 소실된 편도 관찰되었다. 뿔잔은 말의 가슴을 바닥에 닿게 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쪽은 말머리를 장식하고 반대쪽은 원추형의 뿔잔 입구가 있고 뒤쪽에 2개의 다리를 붙여 뿔잔의 균형을 맞춘 U자형의 형태이다. 뿔잔의 표면은 물레로 성형하고 말머리와 연결된 부분은 깎아 다듬은 자국이 있다. 말머리의 형상은 간결하게 귀·눈·코와 입 등 특징을 잘 파악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했으며 색은 회색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파괴 상태조사를 통하여 내부 구조를 알아보는 등 제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T영상을 통하여 제작 기법을 알아보고 상태를 진단하여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해 유물을 안정화 하였다. 보존상태 정밀진단 결과, 구연 두 곳에 결손부분이 있고 균열이 연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한 곳은 균열에 이격이 더해진 상태로 접합이 된 상태였다. 과거 접합이 이루어진 재료를 수습하여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질산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보존처리는 과거의 재료를 제거하고 균열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상태조사 및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보존처리 방안 모색, 기존 접착제의 안전한 제거 및 복원 재료의 가역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보존처리는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최상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고려 후기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의 해석과 의미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Celadon Inlaid with Sanskrit Mantr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 이준광
    • 미술자료
    • /
    • 제104권
    • /
    • pp.70-100
    • /
    • 2023
  • 불교가 융성했던 고려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청자에는 불교문화의 여러 단면이 담겨 있다. 그중 범자(梵字)가 새겨진 상감청자는 불교 중에서도 밀교와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을 것이란 점은 익히 알려져 왔으나 판독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는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전하고 있는 자료의 수가 적은 데다 잔존 범자도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강진 사당리 23호 요지에서 이루어진 4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운 자료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 자료들을 판독하여 기존 자료들도 몇 가지 유형에 편입시킬 수 있었다. 범자 판독과 해석을 통해 얻은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자에 상감된 범자는 진언(眞言)을 이루는 글자들이었다. 범자 한 자만 남아 있는 경우 해석을 유보해야 했지만, 그 밖의 범자들은 동심원 구조인 자륜진언(字輪眞言) 방식 속에서 '정법계진언', '육자대명진언', '감로수진언', '보루각진언', '구보살원주', '무량수여래심주', '멸악취진언'을 표기하고 있었음을 판독했다. 각 진언은 실담(悉曇, Siddham) 범자로 표기되어 있었다. 둘째, 제작 시기는 범자 배치 방식과 '감로수진언'이 40수 진언에 포함되는 양상을 근거로 13~14세기에 걸친 것으로 보았다. 특히 진언이 있는 동심원 구조의 상감청자 자료들은 제작 특징을 보아 13세기 말~14세기 전반으로 편년했다. 셋째, 상감된 진언들의 해석을 통해 모두 파지옥(破地獄)과 정토왕생(淨土往生)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 중 일부는 시아귀회(施餓鬼會)와 같은 망자(亡者)를 위한 불교 의례에 사용했으리라 판단했다. 또한 사당리 23호 요지와 '가'구역이 왕실용 자기 생산지로 추정되기 때문에 의례 또한 왕실 혹은 그 영향력 안에 있는 사찰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넷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원대 자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없었다. 그래서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원의 불교문화와 고려가 이미 품고 있던 밀교적 요소가 더해져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고려 후기 사회에 퍼져 있던 개인적 밀교 의례의 한 측면을 보여 주는 자료였다. 당장의 불안을 해소해 주길 바라는 데서 촉발된 밀교의 변화는 묘지(墓誌), 관등에서도 찾을 수 있었는데 파지옥과 극락왕생에 대한 염원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여섯째, 다른 공예품과 비교할 때 공통점으로 실담 범자를 사용했다는 점, '육자대명진언'을 중심적으로 활용했다는 점, 기와와 배치 방법이 유사하다는 점, 범종·목관·묘지의 진언과 의미상 상통한다는 점이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멸악취진언'과 '감로수진언'은 다른 공예품에서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상감청자 특유의 경제성과 제작의 용이성은 다른 공예품과 차별되는 장점으로, 바로 이 점 때문에 범자 진언을 새길 기명으로 청자가 채택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판독하지 못한 자료들은 추후 잔존 상태가 양호한 자료가 보고된다면 새로운 유형을 수립하여 편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