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Pea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답전윤환 작부체계에 따른 소득작물의 년차간 수량 및 수익성 비교 (Comparison of Crop Yield and Income among Different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s)

  • 권종락;윤영석;이광석;최부술;이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2-316
    • /
    • 1993
  • 경지이용률 향상을 위하여 1985년부터 1992년(8년간)까지 2년 1기 작부양식으로 4기에 걸쳐 소득이 높은 작물을 공시하여 다양한 작부양식으로 작물별 년차간의 수량과 작부양식간에 수량, 조수익, 소득의 년차간 변리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년차간 수량의 변리가 큰 작물은 고추(33.5%), 마늘(26.0%), 가을배추(25.7%) 등이고 적은 작물은 오이 (9.9%), 단옥수수(10.9%), 봄감자(11.0%) 등이였으며 벼는 4.4~13.3%의 변리를 보였다. 2. 소득이 높은 작물은 가을배추(956$\pm$132천원), 마늘(859$\pm$220천원), 고추(696$\pm$204천원) 등이였으며 낮은 작물은 보리(136$\pm$33천원), 강남콩(177$\pm$67천원), 완두(264$\pm$57천원) 등이었다. 변리가 심한 작물은 참깨(40.9%), 단옥수수(38.1%) 등이고 적은 작물은 땅콩(13.2%), 가을배추(13.9) 등이 었다. 3. 작부양식별 소득은 때-보리조합(992$\pm$228천원)에 비하여 토란-강남콩-벼조합(843$\pm$102천원)을 제외한 전조합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오이-가을배추-완두-벼조합(1,887$\pm$632천원)이 90% 증가되었고 다음은 참깨-마늘-벼조합(1,507$\pm$357천원)이 52% 증가되었으며 년차간의 소득 변리는 12.1~33.5%의 범위였다.

  • PDF

Water Use Efficiency in Five Different Species of One-year-old Seedlings Grown in a Field Nursery in Mongolia

  • Lee, Don-Koo;Park, Yeong-Dae;Batkhuu, Nyam-Osor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28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water use efficiency (WUE) in five species of one-year-old seedlings grown in a field nursery in Mongolia. Larix sibirica and Pinus sylvestris are the most dominant coniferous species while Ulmus pumila is an important deciduous species known well-adapted in harsh conditions such as in semi-arid forests and Gobi desert regions. Caragana arborescens (Siberian pea shrub) and Hippophae rhamnoides are N-fixing shrubs in Mongolia. Thirty one-year-old seedlings were sampled from each of the five species (a total of 150 samples) and measured for net photosynthetic rate (Pn) and transpiration rate (E). The Pn and E were used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WUE of each species. Pn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five species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n between L. sibirica and H. rhamnoides (p > 0.05). C. arborescens showed the highest Pn whereas U. pumila did the poorest. 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five species (p < 0.05). L. sibirica and U. pumila showed considerably lower E than other species. Thus, WUE values of coniferous species such as L. sibirica and P. sylvestri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deciduous or shrub species such as U. pumila, C. arborescens and H. rhamnoides (p < 0.01). It may result that conifers showed relatively high water use efficiency than deciduous or shrub trees due to their lower transpiration rates, which resulted i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leaves. This may indicate that L. sibirica and P. sylvestris can be widely used for rehabilitation works in Mongolia attributed to their dominant distributions but also their high drought-resistance properties.

  • PDF

겨울철 지하부의 가온처리가 경기장 잔디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dersoil Heating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Turfgrasses in Simulated Athletic Field During Winter Season)

  • 구자형;이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5-73
    • /
    • 2002
  • 한국의 겨울철 온도 조건하에서 가온에 의한 근권부의 온도조절이 잔디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shoot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겨울철 근권부의 온도를 20$\pm$2$^{\circ}C$로 유지한 결과 대조구의 잔디는 동해로 인해 생육이 멈춘 반면 온도 처리구에서는 공시된 한지형 잔디(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모두에서 녹색이 유지되었으며 예초를 요할 정도의 생육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들잔디의 경우 겨울철 근권부의 온도를 높여주어도 지상부의 생육은 불가능하였다. 2. 온도 처리구에서의 예초량은 tall fescue에서 가장 많았고, 엽록소 함량은 perennial ryegrass에서 가장 높았으며 Kentucky bluegrass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다른 종류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검붉은 색깔을 나타내는 shoot의 수가 많았다. 3. Shoot의 무기양분 함량은 N, P는 토양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K, Ca, Mg는 모래+peat moss에 비하여 모래+peat moss+soil 처리구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근권부의 가온조절은 한국의 겨울철 기온하에서 한지형 잔디의 생육을 도모하고 겨울철 잔디의 녹색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 녹음을 촉진시켜 잔디의 이용률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여름철 근권부의 냉온처리가 경기장 잔디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Cooling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Turfgrasses in Simulated Athletic Field during Summer Season)

  • 이혜정;송지원;구자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69-179
    • /
    • 2001
  • 근권부의 온도를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조절하고 토양조성을 달리하여 여름철 고온기에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Nuglade’),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L.‘Accent’),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Pixie’), Japanese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를 재배하고 잔디의 품질, 병해발생 정도 엽록소 함량을 조사하고 아울러 예지물의 무기물 함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여름철 근권부의 온도를 4~6$^{\circ}C$ 낮게 처리한 경우 한지형 잔디의 균일성을 현저히 높여주고 병의 발생률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그 효과는 perennial ryegrass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토양조성에 따라 변화가 없었으나 냉온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되었다. 2. 여름철 근권부의 냉온처리는 Kentucky blue-grass와 perennial ryegrass는 대조구에 비하여 약 2배, tall fescue는 2.5배 이상의 clipping무게 증가를 나타냈다. 난지형 잔디인 들잔디에서도 냉온처리구에서 생육의 증진효과를 보였다. 한지형 잔디는 모래 +peat moss를 80 : 20(v/v)으로 혼합한 토양에 비하여 모래+peat moss+일반토양을 80:10 : 10 (v/v/v)으로 혼합한 토양에서 많은 생장을 보였다. 3. 근권부의 냉온처리는 공시된 세 종류의 한지형 잔디에서 N, P, K, Ca그리고 Mg의 흡수를 증가시켰으나 들잔디에서는 흡수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양의 혼합비율에 따른 무기물함량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근권부의 냉온처리는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잔디의 생육저하를 감소시키고 여름철 하고현상을 예방하여 줌으로써 고온다습한 기후조건에서도 경기장의 잔디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 PDF

Biotic ligand model에 근거한 중금속 오염지역의 Pb 및 Cd 위해오염도 평가기법 개발 (Assessment of Risk Based Pollution Level of Pb and Cd in Metal Contaminated Soils Using Biotic Ligand Model)

  • 안진성;정슬기;문희선;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4호
    • /
    • pp.23-30
    • /
    • 2011
  • Risk based pollution level of Pb and Cd in metal contaminated soils depend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a target site was assessed using biotic ligand model. Heavy metal activity in soil solution defined as exposure activity (EA) was assumed to be toxic to Vibrio fischeri and soil organisms. Predicted effective activity (PEA) determined by biotic ligand model was compared to EA value to calculate risk quotient. Field contaminated soils (n = 10) were collected from a formes area and their risk based pollution levels were assess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the calculated risk quotient. Concentrations of Pb determined by aqua regia were 295, 258, and 268 mg/kg in B, H and J points and concentrations of Cd were 4.73 and 6.36 mg/kg in G and I points, respectively. These points exceeded the current soil conservation standards. However, risk based pollution levels of the ten points were not able to be calculated because concentrations of Pb and Cd in soil solution were smaller than detection limits or one (i.e., non toxic). It was because heavy metal activity in soil solution was dominant toxicological form to organisms, not a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oil. In addition, heavy metal toxicity was decreased by competition effect of major cations and formation of complex with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oil solu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ite-specific factors affecting bioavailability and toxicity for estimating reliable risk of Pb and Cd.

생강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inger Mosaic Virus)

  • 소인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7-72
    • /
    • 1980
  • 우리나라에 발병하고 있는 생강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의 기생범위, 물리화학적 성질, 혈청검정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조사하였다. 생강의 초기병징은 황록반문을 일으키고 후기에는 위축현상 및 괴경의 소구화를 이룬다. 포장이병율은 약 $43\%$이었다. 즙액전염, 접구전염(core grafting)이 이루어지며, 동부, 오이 Chenopodium amaranticolar, N. tabaccum var. Havana를 비롯하여 23종의 CMV감수성 식물에 병증을 나타낸다. 희석한계점은 $10^{-4}\~10^{-5}$ 범위이고, 온도한계활성점는 $65\~70^{\circ}C$사이이다. 혈청반응은 CMV 항혈청과 양성으로 나타난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립자의 크기는 $28\~32m\mu$의 구형이다. 이병엽육조직의 세포질 속에는 구형바이러스입자의 밀집상과 유리되어 있는 입자도 관찰되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생강에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CMV군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믿어진다.

  • PDF

새만금해역에서 밀도성층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Korea)

  • 김태인;이형래;장경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39-352
    • /
    • 2006
  • Seasonal and tidal variations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are investigated based on synoptic CTD observations between July 2003 and September 2005. CTD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ose obtained after closing the dike No. 4 and before closing the two final gaps, the Sinsi and the Garyeok, on the Saemangeum tidal harrier. A total of 19 field campaigns comprehend a wide temporal spectrum, that is, few seasons, spring and neap tides, and high and low waters. In addition, ADCPs were anchored and CTDs were cast at three stations for 25 h in July 2005. Water columns are vertically homogeneous in autumn and winter. The vertical homogeneity persists in spring but with an occasional weak stratification in i: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Increased reshwater runoff tends to stabilize the water columns and strong density stratification is established in summer. The mean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in summer used as a stratification parameter is the largest $(27.7\;J\;m^{-3})$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 the Geum River discharge dominates, the smallest $(16.9\;J\;m^{-3})$ is in the inner area of the barrier, in between the two $(21.6\;J\;m^{-3})$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as the stratification is generally strengthened in summer, strong winds or large tidal currents over the shallow depths frequently destratify the water column near the mouth of river runoff inside the tidal barrier. Periodic stratification, the development of stratification on the ebb and its breakdown on the flood, occurs in the mid-area inside the barrier induced by the tidal straining,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results of 25 h observation.

Evaluation of Cropping Model of Green Manure Crops with Main Crops for Upland-Specific

  • Chung, Doug Young;Park, Misuk;Cho, Jin-Woong;Lee, Sang-Eun;Han, Kwang-Hyun;Ryu, Jin-Hee;Hyun, Seong-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1-86
    • /
    • 2013
  • For organic farming, green manure crops such as leguminous forages and barley have been broadly used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by repeatedly cutting and mulching them directly as winter crop in the field in the rotation. In this investigation we selected 78 agricultural farm corporations as well as individual organic farmhouses related to crop rotation from greenmanure crops to main crop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cropping system between main crops and green manure cro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en manure cro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leguminous and nonleguminous crops, representing that those are limited to specific climate and farming systems of regions. Also the 10 or less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sudangrass, hairyvetch, italian ryegrass, sorghun, buckwheat, oat, pea, rye, clover, and canola which belong to leguminous crops which are presently cultivated from the organic farmhouses within the rotational crop system. We also confirmed that the major main crops are sweet potato, soybean, corn, tobacco, spinach from usage frequency analyzed by NetMiner H 2.6 which was used to estimate the rotational cropping system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and main crops.

답리작 춘계포장에서 보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의 혼파비율이 동위원소 희석법 및 차이법을 이용한 질소고정 및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ley, Italian ryegrass and Legume Mixture on Nitrogen Fixation and Transfer to Grasses on Spring Paddy Field using Isotope Dilution and Difference Method)

  • 이효원;이효진;김원호;윤봉기;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8-324
    • /
    • 2016
  • 본 연구는 전남농업기술원 답리작 시험포장에서 2006년과 2007년 사이에 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와 각종 두과를 혼파비율을 달리한 처리하여 파종하였다. 주구는 보리 및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와 자운영,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벳치, 사료용 완두였고 세구는 화본과와 두과를 각각 50:50, 60:40, 70:30 그리고 80:20이었다. 공중질소 고정량 및 이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소동위원소($^{15}N(NH_4)_2SO_4$)를 2007년 4월 15일 처리 후 쿼드랏 안의 식물체를 6월 8일에 수확하여 화본과 및 두과로 분리한 후 안정성동위원소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공중질소 고정률은 두과에서 화본과로, 질소이동은 차이법과 동위원소 희석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본 실험결과의 주요내용은 동위원소 초과는 화본과에서는 차가 없었던 반면 보리와 두과와 혼파비율이 60:40인 처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그 값은 보리와 혼파한 두과는 0에서 0.54 범위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와 두과 혼파에서는 초과 값이 더 높아 보리에서는 0.71에서 0.82, 두과는 0.37에서 1.01 사이였다. 공중 질소 이용비율은 보리와의 조합은 0%~49.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합은 0~60.5%의 범위로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차이법에 의한 이동량 시험에서는 보리와의 조합에서 12.3~90.9 kg/ha,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조합에서는 보리보다 더 많아 31.7~107.8 kg 사이였다. 한편 동위원소 희석법에서는 보리와 두과 혼파조합은 0~36.1 kg/ha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와 두과 혼파에서는 0~50.6 kg/ha로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조합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법에 의한 질소 이동량이 동위원소 희석법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씨고자리파리의 생태 및 기주식물에 대한 저항성 (Delia platura(Meigen): Bionomics and It`s Resistance to Host Plants)

  • 김태흥;조형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2
    • /
    • 1989
  • 전북 완주군 봉동지성의 골파단장을 중심으로 Delia속에 속하는 휴안용 4,000여 개체를 채집하여 사육실(24$\pm$$2^{\circ}C$, RH 70$\pm$5%, L: D=16h : 8h)에서 사육 및 동정, 연구의 공시충으로 하고, 생태 및 기주식물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한 휴안용과 우화된 성충을 동정한 결과 씨고자리파리, D. Platura(Meigen)가 주요종으로 나타났다. 산란전기는 9 일이었으며, 성충의 생명은 암컷이 50(3~77)일로 숫컷의24(1`59)일보다 2배 정도 길었다. 광이 주어지는 이른새벽부터 아침에 가장 높은 우화율을 나타내었으며, 숫컷이 약 2~3일 먼저 우화하였다. 토양깊이에 따른 우화상황은 표면에서 가장 빨랐으며 깊이 에 따라 운연되었 다. 월다용은 4월중순부터 우화하기 시작하여 5월초순까지 계속되었으며 발생최성기는 4월말이었다. 자웅 성비는 1 : 1. 02이었으며, 우화율은 휴안용이 79.63%로 비휴안용의 91. 16%보다 현저히 낮았다. 실험실에서 유충먹이로 양파가 선호성을 보였다. 기주별 산란선호성은 완두와 유채가 검정콩이나 팥보다 현저하게 높았고, 콩 품종별로는 밀양 17호와 백운이 현저하게 낮았다. 유충에 대한 콩 품종의 감수성은 남천이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