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icola seoulensi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Fibyicola seoulensis감염 10례 및 Htelluntchasmus falcatus감염 1례 (Ten Human Cases of Fibricola seoulensis Infection and Mexed One with Stellantchasmus and Metagonimus)

  • 홍성태;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95-97
    • /
    • 1986
  • 서울에 소재한 육군장병의 검변에서 Fibricola의 충란 양성자 10명을 관찰하여 프라지관텔로 치료하고, 이 증 한례에서 Fibricola seoulensis의 성충 59마리, 요꼬가와홉충 68마리 및 Stellantchasmus fnlcatus 2마리를 관찰하였다

  • PDF

Fibricola seoulensis 웅성생식세포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ultrastructures of the male germinal cells of Fibricola seoulensis)

  • 손원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183-192
    • /
    • 1993
  • Fibricola seoulensis의 고환내 생식세포 및 정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감염 흰쥐로 부터 회수한 충체를 고정, 탈수 침투 포매, 중합 등의 통상적인 시료제작 과정을 거친 후 JEM 1200EX-ll(JEOL, Japan)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원세포는 주로 고환의 내벽에서 관찰되었으며 비교적 큰 핵과 상대적으로 적은 세포질을 가지고 있었다. 정모세포는 핵의 량이 세포질 보다 조금 많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의 핵을 가지고 있었으며 비교적 염색질의 량이 적었다. 초기의 정자세포는 핵에 비하여 세포질의 량이 훨씬 많았고 핵주위를 사립체들이 둘러싸고 있었다. 발육이 진전된 정자세포에는 끈 모양의 염색질이 나타났고. 세포질에서는 결정체구조가 나타났으며 핵 근처에서는 2개의 축사 뿌리와 중심체가 관찰되었다. 고환과 저정낭에서 무수히 많은 정자의 단면이 관찰되었다 횡단면을 형태학적 특징과 구성요소를 토대로 분류·조합해 본 바 6가지 형으로 대별되었고 정자 부위별 횡단면의 특징적인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F. seoulensis의 정자는 2편모성이었으며 축사는 9쌍의 미세소관과 1개의 core complex로 이루어져서 전형적인 9 + 1형 구조이었다.

  • PDF

Acetylcholinesterase 조직화학법으로 관찰한 Fibricola seoulensis 신경계의 분포 (The nervous system of Fibricola seoulensis by acetylcholinesterase histochemistry)

  • 전은우;김창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21-330
    • /
    • 1993
  • Fibricola seoulensis의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켜 3, 4, 5. 6, 7일 별로 부 검 회수하여 생리 식염수로 씻은 후, 10% neutral formalin buffer에 고정 후 세척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 염색은 기질로 acetylthiocholine iodide를 사용한 효소조직화학적 방법으로 피낭유충과 여러 성장 과정에 있는 충체의 신경계 분포 발달과정을 관찰하고 억제제로는 eserine, iso-OMPA, BW284C51를 사용하였다. 신경계는 피낭유충과 성충의 전반부 부위의 인두와 구흡반과 후반부의 배설 신경총을 연결하는 3쌍의 종주신경간과 그들을 연결하는 횡신경 연합과 환상신경 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환상신경 연합은 충체표면 가까이에 위치한 종주신경간과도 연결되어 있다. 충체 발달의 모든 단계에서 구흡반 및 복흡반, 인두, 신경계에 acetylcholinesterase와 nonspeciaccholinesterase의 염색반응이 관찰되었다. F. seoulensis의 acetylcholinesterase 동위효소 유형은 분자량 69 kDa. 132 kDa의 2개의 분획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69 kDa 분획대가 주분획을 이루었다.

  • PDF

Experimental human infection with Fibricola cratera (Trematoda: Neodiplostomidae)

  • Shoop, Wesley-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4호
    • /
    • pp.249-252
    • /
    • 1989
  • Fibricola cratera is a strigeoid trematode indigenous to North America that, heretofore, was known only to infect wild mammals. Herein, it is reported that an experimental inoculation of a human volunteer produced a patellt infection that lasted 40 months. Symptoms of epigastric discomfort, loose stools and flatulence occurred over the first year of infection and ameliorated thereafter. Eggs per gram of stool were low (${\leq}2$) throughout the course of infection and were not detected by the standard technique of formalin-ether concentration. To monitor infection, the entire stool sample was examined each month after sieving through No. 10 (pore size 2 mm) and 100 (pore size $145{\;}{\mu\textrm{m}}$) sieves and collecting eggs on a No. 325 (pore size $45{\;}{\mu\textrm{m}}$) siev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North American strigeoid trematode capable of maturing in a human and is only the second species of strigeoid known to do so. The other species is F. seoulensis which has been implicated in 26 human infections in Korea.

  • PDF

Fi'bricola seoulenis 조직융해구의 투사전자현미경 소견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the tribocytic organ of Fibricola seoulensis)

  • 송호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15-320
    • /
    • 1993
  • Fibricola seoulensis 조직융해구(tribocytic organ)의 미세구조를 알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조직응해구의 표피에서 미세응모가 관찰되었다. 조직융해구에는 3가지 형태의 세포들이 관찰되는 데, 첫째는 방추형이고, 핵 및 원형질이 전자밀도가 낮고, 원형질내 직경 $0.1-0.2{\;}\mu\textrm{m}$의 과립이 소수 관찰된다 둘째는 방추형이고, 핵 및 원형질이 전자밀도가 높고, 직경 $0.1-0.2{\;}\mu\textrm{m}$의 미립자로 구성된 과립을 포함한다 셋째는 원형질이 전자밀도가 높고, 직경 $0.3-1.2{\;}\mu\textrm{m}$의 과립을 다수 포함한다. 위의 세포들 중, 첫째와 둘째 세포는 표피세포로, 셋째는 조직응해구의 특 이 분비세포로 추정한다. 이것은 조직융해구의 분비 기능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소견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Fibricola seoulensis의 인체감염 15례 (Fifteen Human Cases of Fibricola seoulensis Infection in Korea)

  • 홍성길;조태권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61-65
    • /
    • 1984
  • 1983년 12원부터 1984년 3월까지 서울에서 실시한 대편검사에서, Fibricola seculens심의 충란이 15명에게서 발견되었고, 이들을 Stoll씨 충란계산법으로 검사한 결과 EPG는 0∼500의 범위에 있었다. 이들 모두에게 Praziquantel을 20mg/kg의 용량으로 1회 투여하고, 그 중 9례를 대상으로 엄류하제를 이용하여 충체 수집을 시도하였다. 대상자 중 6례에서 F. seoulensis의 성충을 1∼78마리 수집할 수 있었다. 이들 15례에 대하여 치료 2∼6주후에 추적 검변한 결과 모두가 충란을 배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감염자들은 임상적인 증상이 전혀 없었고, 따라서 임상검사는 시행하지 않았다. 이들은 모두가 20대 한국인 남자로, 출현의 일환으로 뱀 또는 개구리를 구워서 또는 날로 1회 이상 먹은 경험이 있었다. 이들이 마지막으로 뱀을 먹은 시기는 각각 1981년 9월에서 1983년 11일 사이에 있었다. 이들의 대변에서 발견된 충란중 100개를 계측한 결과 길이가 0.081∼0.102mm, 폭이 0.051∼0.063mrn이었다. 약절반에서 난잔(operculum)가 확인가능하였고 대부분의 경계선이 충란 장축에 비스듬하게 관찰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뱀과 개구리를 먹는 민간의 습관을 고려하면 인체 fibricoliasis가 보다 널리 퍼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충란의 감별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앞으로 많은 증례의 발견이 기대된다.

  • PDF

Fibricola seoulensis에서 phosphatase의 분포와 동위효소유형 (Localization and isozyme patterns of phosphatase in Fibricola seoulensis)

  • 김홍자;김창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53-362
    • /
    • 1993
  • Fibricola seoulensis의 성체와 피낭유충에서 acid(Acpase)와 alkaline phosphatase (AIPase)의 분포와 동위효소유형 (유형)의 변화를 추구하고자 효소조직화학적 방법과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성체에서 Acpase는 pH 5가 최적의 활성이 나타났고. 분자량이 95 kDa. 85 kDa. 73 kDa. 62 kDa인 4종류의 동위효소가 동정되었다. 피낭유충에서 A쳬ase는 활성이 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고. 분자량이 62 kDa인 1종류의 동위효소가 동정되었다 성체와 피낭유충에 AIPase는 pH 8에서 최적의 활성이 나타났고, 피낭유충의 생식원기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 PDF

국내 일부 지역산 올챙이와 개구리의 Fibricola seoulensis 유충에 의한 감염상 (A Study on the Infection Statue of Tadpoles and Frogs by the Metacercariae of Fibricola seoulensis in Korea)

  • 홍성태;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72-78
    • /
    • 1985
  • A total of 220 tadpoles was captured in 6 areas and total 117 frogs, Rana nigromacuzata, were collected in 11 areas in Korea. They were examined for their infection status by the metacercariae of Fibricola seoulensis by peptic digestion technique an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with hematoBylineosin stain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983 to September, 1984.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The tadpoles of R. nigromaculata were positive for the metacercariae from 3.3% to 100% by area. The number of metacercariae per infected tadpole ranged from 1 to 584, and the mean number Per tadpole ranged from 7.6 to 221 by area. 2. The metacercariae from 16 tadpoles were counted by the body portion. A great majority of the metacercariae was collected from abdominal cavity, 98.3% of 484 counted larvae. And 6(1.2%) larvae were from proximal tail and 2(0.4%) from trunk. 3. Histological sections of tadpoles showed many metacercariae in abdominal cavity but none in other parts. The larvae were free in the spaces among intestinal loops or around primitive liver. A few larvae were in duct-like tissues near trunk wall. There was little infiltration of inaammatory cells. 4. The metacercarial infection rates of frogs ranged from 0% to 100% by area. The larval burden was 1 to 470 by infected frogs, and mean number ranged from 1 to 175.6 by area. By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ercariae of F. seoulensis may infect R. nigromaculata already in the stage of tadpole. Almost all of the metacercariae were concentrated in abdominal cavity of tadpoles. According to the infection status of frogs, this nuke is prevalent almost nationwidely in rice paddies in Korea.

  • PDF

Fibricolu seoulensis 중감염 마우스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Mice Heavily infected with Fibricola seoulensis)

  • Sun Huh;Jong-Yil Chai;Sung-Tae HONG;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45-54
    • /
    • 1988
  • 인체에 Fibricola seoulensis가 중감염되면 심한 복통 믹 설사가 초래된다. 또 과거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바로는 충체가 소장 점막에 심한 손상을 주며, 이에 따라 흡수장애가 초래되며 장출혈도 수반될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보다 명백히 하는 한편 위장관 증상의 발현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F. eoulensis 피낭유충 1,000개를 감염시킨 다음 나타나는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감염 11일째부터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여 16일째에는 모두 사망하였다. 감염군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체중이 줄고, 대조군은 증가하였다. 대변내의 잠혈은 감염 10일깨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감염 9일째부터 설사가 관찰되어 12일째에는 모두에서 나타났다. 혈액학적으로는 감염 12일군에서 혈색소 및 평균적혈구혈색소량의 감소가 보였고, 평균적혈구혈색소 농도는 감염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병리학적 소견을 보면, 십이지장에서 가장 병변이 심하고 회장 및 공장은 덜하였다. 융모 위축, 장선와 비대, 기질내 세포침윤 및 부종이 특징적인 소견이었다. 감염기간이 경과할수록 병변이 심해지고 융모대 선와의 높이 비율도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 seoulensis의 중감염이 마우스 전 소장에 보상하기 어려운 큰 손상을 주고 흡수장애 및 장출혈을 일으키며, 체중감소, 설사, 대변내 잠업. 출현 등의 임상증상을 일으킵으로써 결국은 사망까지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