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 optics communica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초

Manchester coded DPSK WIDM 통신 시스템에서 FWM의 영향 (Impact of FWM on manchester coded DPSK WDM communication systems)

  • 이호준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9-325
    • /
    • 1994
  • Stochastic 접근 방식을 사용한 Manchester 코드 파장분할다중 시스템의 성능이 산탄 잡음과 광섬유 비선형성에 기인한 four-wave mixing을 고려하여 평가되었다. DPSK 변조방식에 대하여 Manchester code 시스템의 결과는 기존의 non-return-to-zero 시스템과 비교된다. 더구나 최대 입력 전력(FWM에 의해 제한)과 최소 입력 전력(수신 감도에 의해 제한)의 비로서 정의된 dynamic range가 평가되었다. $1.55.{\mu}m$ 16채널 시스템에서 DPSK Manchester 코드 시스템의 dynamic range는 NRZ에 대한 관점에서 2.1dB의 개선을 보인다. 이 결과는 분산 천이 광섬유와 기존의 광섬유에 대해서 같은 결과를 얻어졌으며 10GHz의 채널 간격과 1Gbps/channel bit rate에서 이루어졌다.

  • PDF

사냑간섭계 원리를 이용한 자이로의 원리와 발전 전망 (Principles and Prospects of Sagnac Interferometer Gyroscopes)

  • 심규민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03-210
    • /
    • 2012
  • 사냑간섭계 원리를 이용한 자이로는 연구의 계기가 된 발명 또는 연구시기에 따라서 크게 3세대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사냑간섭계 원리를 이용한 첫 번째 자이로인 링레이저 자이로는 레이저의 발명에 의해서 1960년대 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사냑간섭계 원리를 이용한 2세대 자이로인 광섬유 자이로는 통신용 광섬유의 발명에 의해서 1970년대부터 연구되어 왔다. 원자의 파동성이 입증된 1990년대 후반에는 차기세대 자이로 개발을 위한 원자간섭계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세 분류의 사냑간섭계 원리를 이용한 자이로의 동작원리, 응용분야, 그리고 발전전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반도체 광 증폭기가 삽입된 광섬유 루프 미러를 이용한 NRZ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파장 변환기 (New wavelength converter for optical NRZ data signal using SOA-loop-mirror)

  • 이혁재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광 증폭기가 삽입된 광섬유 루프 미러를 이용한 NRZ(NonReturn to Zero)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파장 변환기를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기존의 비선형 광섬유 루프 미러는 RZ-to-RZ, NRZ-to-RZ, 그리고 RZ-to-NRZ 데이터 형태 변환이 가능한데 반해, 아직까지 NRZ-to-NRZ 변환에 대해 제안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1300 nm 대역 반도체 광 증폭기의 편광의존 이득 특성과 광섬유 루프 미러를 이용하여 1.5 Gbps 속도를 갖는 1300 nm 대역의 NRZ 데이터 신호를 1550 nm 대역의 NRZ 데이터 신호로 바꾸어 주는 NRZ-to-NRZ 파장 변환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표면 플라즈몬 광섬유 편광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surface plasmon fiber polarizer)

  • 이준옥;김철호;김광택;권광희;송재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9-174
    • /
    • 2003
  • 본 논문은 금속박막과 결합된 측면 연마 단일 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편광기에 관하여 이론 및 실험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금속 박막의 두께와 상부 유전체의 굴절률이 소자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직교 모드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예측을 토대로 광통신파장에서 편광 소멸비가 40 ㏈, 그리고 삽입 손실이 0.5 ㏈를 가지는 편광기를 구현하였다.

S/S+band에서 넓은 파장가변 영역을 가지고 50-GHz ITU-T격자에 맞는 채널을 생성하는 thulium이 첨가된 광섬유 레이저 (Widely tunable thulium-doped fiber laser anchored on 50-GHz ITU-T grid in S/S+ band)

  • 안성준;박철근;안승준;박종한;박남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21
    • /
    • 2004
  • S/S+band에서 ITU-T의 50 ㎓격자에 맞는 채널을 가지는 광대역 파장가변 thulium첨가 광섬유레이저(TTDFL)를 개발하였다. 1.4$\mu\textrm{m}$$1.5\mu\textrm{m}$두 대역의 광원으로 펌핑되는 thulium첨가 광섬유(TDF)의 반전에 관한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S/S+band에서 파장을 가변할 수 있는 레이저를 구현하였다. 이 파장가변 레이저는 65.1nm의 넓은 3-㏈ 대역폭 내에서 6.7㏈m이상의 평탄한 출력 스펙트럼을 보여주었고, 생성된 DWDM채널 수는 178개에 달하였다. 또한 보조 펌프의 출력을 더 높일경우 66.2 nm까지도 대역폭을 넓힐 수 있었고, 공진기 내부 필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의 주파수를 더욱 안정화 할 수 있음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 레이저는 S/S+band에서 기준 파장을 제공하는 유용한 광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측면 연마된 열확산 코어 광섬유와 외부 물질의 분산 특성 차이를 이용한 단파장 통과 필터 (A Short Wavelength Filter Based on Dissimilar Dispersive Property Between a Thermally Expanded Cored Fiber and an External Medium)

  • 김광택;이규효;신은수;황보승;손경락;김정근;이동호;송재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94-499
    • /
    • 2005
  • 코어가 확산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외부 물질 사이의 분산 특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차단 특성이 우수한 단파장 통과 필터(short-pass filter)를 구현하였다. 두 물질의 결합 방법으로 측면 연마 기법을 도입하였다. 실험 결과 소자의 대역경계 파장(band edge wavelength)은 코어의 확산 정도로 조절이 가능하였다. 일반 통신용 단일 모드 대신에 열확산 코어 확산 광섬유를 도입함으로써 더 예리한 파장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경계 파장을 400nm 이상 가변 할 수 있음을 관측하였다.

Deep Learning: High-quality Imaging through Multicore Fiber

  • Wu, Liqing;Zhao, Jun;Zhang, Minghai;Zhang, Yanzhu;Wang, Xiaoyan;Chen, Ziyang;Pu, Jixio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4권4호
    • /
    • pp.286-292
    • /
    • 2020
  • Imaging through multicore fiber (MCF)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biomedical domain. Although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image an object from a signal passing through MCF, these method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surroundings, such as vibration and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fiber's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apply a new, strong technique called deep learning to reconstruct the phase image through a MCF in which each core is multimode. To evaluate the network, we employ the binary cross-entropy as the loss function of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ith improved U-net structure. The high-quality reconstruction of input objects upon spatial light modulation (SLM) can be realized from the speckle patterns of intensity that contain th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s. Moreover, we study the effect of MCF length on image recovery. It is shown that the shorter the fiber, the better the imaging quality. Based on our findings, MCF may have applications in fields such as endoscopic imaging and optical communication.

광통신용 1.55 ${\mu}m$ PBH-DFB-LD 스펙트럼 특성 (Spectrum Characteristics of 1.55 ${\mu}m$ PBH-DFB-LD)

  • 장동훈;이중기;이승원;박경현;김정수;김홍만;황인덕;박형무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0-124
    • /
    • 1994
  • LPE와 간섭노광법을 이용하여 $1.55\mu\textrm{m}$ 파장의 InGaAsP/InP PBH-DFB-LD를 제작하여 스펙트럼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PBH-DFB-LD의 발진 임계전류는 15mA 이하이며, $1.55\mu\textrm{m}$ 파장에서 광출력 7mW 이상까지도 단일 종모우드로 동작하였으며 측모우드 억제율 35dB 이상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PBH-DFB-LD 발진파장의 온도 의존 특성은 $0.9\AA/^{\circ}C$ 이며, 금지대역폭 측정에 의한 회절격자의 결합계수(k)는 97cm-1로 평가되었다.

  • PDF

2.5Gbps 광통신용 InGaAs separate absorption grading multiplication (SAGM) advanche photodiode의 제작 및 특성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GaAs Separate Absorption Grading Multiplication Avalache Photodiodes for 2.5 Gbps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 유지범;박찬용;박경현;강승구;송민규;오대곤;박종대;김흥만;황인덕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40-346
    • /
    • 1994
  • 2.5Gbps 광통신시스템용 수광소자로서 charge plate층을 갖는 링구조의 separate absorption grading multiplication avalanche photodiode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Avalanche Photodiode의 제작은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과 Liquid Phase Epitaxy법을 이용한 에피성장과 Br:Methanol을 이용한 채널식각 방법을 사용하였고, passivation과 평탄화는 photosensitive polyimide를 이용하였다. 제작된 ADP는 10nA 이하의 작은 누설전류를 나타내었고, -38~39 V의 항복전압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ADP를 GaAs FET hybrid 전치증폭기와 결합하여 2.5Gbps 속도에서 $2^{23}-1$의 길이를 갖는 입력 광신호에 대해 $ 10^{-10}$ Bit Error Rate에서 -31.0dBm의 수신감도를 얻었다.

  • PDF

2.5Gbps 광통신용 저 chirping MQW-PBH-DFB-LD의 제작 (Fabrication of low chirping MQW-PBH-DB-LD for 2.5Gbps optical fiber communication)

  • 장동훈;이중기;조호성;김정수;박경현;김홍만;박형무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18-42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MOVPE를 이용한 MQW활성층을 DFB-LD 구조에 도입함으로서 2.5Gbps 광전송용 광원으로 사용된 $ 1.55.\mu$m 파장의 MQW-PBH-DFB-LD를 제작하였다. 활성층으로는 MOVPE를 이용하여 8쌍의 InGaAs/InGaAsP MQW층을 성장하였으며 2차 및 3차 결정성장은 LPE를 사용하였고 발진파장을 결정하는 회절격자 주기는 238nm로 하였다. MQW-PBH-DFB-LD의 평균 임계전류는 13.81mA, Slope efficiency는 0.137mW/mA이었고 발진파장은 1548.6nm의 특성을 얻었다. 그리고 2.5Gbps 대신호 변조시의 chirping특성을 조사하여 본 결과 0.55nm임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 PDF